광주월드컵경기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월드컵경기장은 2002년 FIFA 월드컵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조별 리그 경기와 8강전 경기가 개최되었다. 특히 대한민국과 스페인의 8강전에서 대한민국이 승리하여 4강에 진출하는 역사적인 경기가 열린 곳이다. 2003년부터 K리그 광주 상무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고, 2011년부터 광주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5년 피스컵,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등 국제 스포츠 대회를 개최했으며,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쌍촌역에서 가깝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경기장 - 목포국제축구센터
- 광주광역시의 축구 경기장 - 광주무등경기장
과거 광주광역시에 위치했던 종합 스포츠 시설인 광주무등경기장은 야구장과 주경기장을 포함하여, 1988년 서울 올림픽 축구 경기와 K리그, FA컵 등의 주요 경기를 개최하고 한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했지만, 현재는 노후화로 인해 대부분의 시설이 철거되고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가 건립되었다. - 광주광역시의 축구 경기장 - 광주축구전용구장
광주축구전용구장은 2002년 광주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으로 준공 후 2020년 리모델링을 통해 축구 전용 경기장으로 재개장했으며, 광주 FC의 K리그1 승격으로 관중석이 10,000석 규모로 증설되었다. - 광주광역시의 육상 경기장 - 광주무등경기장
과거 광주광역시에 위치했던 종합 스포츠 시설인 광주무등경기장은 야구장과 주경기장을 포함하여, 1988년 서울 올림픽 축구 경기와 K리그, FA컵 등의 주요 경기를 개최하고 한국 스포츠 발전에 기여했지만, 현재는 노후화로 인해 대부분의 시설이 철거되고 광주-기아 챔피언스 필드가 건립되었다. - 광주광역시의 육상 경기장 - 광주축구전용구장
광주축구전용구장은 2002년 광주월드컵경기장 보조경기장으로 준공 후 2020년 리모델링을 통해 축구 전용 경기장으로 재개장했으며, 광주 FC의 K리그1 승격으로 관중석이 10,000석 규모로 증설되었다.
광주월드컵경기장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거스 히딩크 경기장 |
위치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금화로 240 (풍암동 423-2번지) |
일반 정보 | |
소유 | 광주광역시청 |
운영 | 광주광역시체육회 |
개장 | 2002년 1월 9일 |
기공 | 1998년 11월 16일 |
건설 기간 | 3년 2개월 |
건설 비용 | 1,587억 8천 8백만 원 |
설계 | 스페이스 그룹 오브 코리아 (Space Group of Korea) |
표면 | 천연잔디 (필드), 우레탄 (트랙) |
규모 | 필드: 105 × 68 미터 |
트랙 | 400 미터 × 8 레인 |
수용 좌석 수 | 40,245석 |
사용 정보 | |
이전 명칭 | 해당 없음 |
주요 사용 팀 | 광주 상무 FC (2003년~2010년) 광주 FC (2011년~2024년) |
주요 개최 대회 | 2002년 FIFA 월드컵 2005년 피스컵 2007년 전국체육대회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2024년) 코리아컵 K리그1 (2003년~2020년) K리그2 (2013년~2019년) |
2. 역사
2002년 FIFA 월드컵 경기장 중 하나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8강전에서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을 꺾고 아시아 국가 최초로 4강 진출을 확정지은 역사적인 경기장이다. 당시 대한민국 대표팀 감독이었던 거스 히딩크 감독에게 경의를 표하고자 경기장 명칭을 '''거스 히딩크 스타디움'''으로 변경하는 방안이 검토되기도 했다.
월드컵 이후 2003년부터 광주 상무 피닉스(현 김천 상무 FC)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었으나, 시민 구단 설립 여론에 따라 2010년을 마지막으로 계약이 종료되었다. 2011년부터 광주 FC의 홈 구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7년 전국체육대회와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의 주 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메인 스탠드 및 백 스탠드는 지붕으로 덮여 있지만, 사이드 스탠드는 지붕이 없다.
2005년에는 피스컵 경기가 개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