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시철도 1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은 1996년 착공하여 2004년 녹동~상무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8년 상무~평동 구간이 개통되어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 총 20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주교통공사에서 운영한다. 노선 길이는 20.6km이며, 대부분의 열차는 소태역과 평동역 사이를 운행하고,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된다. 광주시는 1호선을 화순군과 나주시까지 연장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철도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광주광역시의 철도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200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부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는 서울과 부산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90년 건설 계획 결정 후 3단계에 걸쳐 건설되어 2015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프랑스 TGV 기술 도입으로 서울-부산 간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KTX 열차 운행을 통해 전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핵심 교통망이 되었다. - 200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대불선
대불선은 2004년 대불국가산업단지 개발 계획에 의해 건설되어 일로역과 대불역을 운영하며 총 12.0km 구간을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하는 철도 노선이다. - 광주 도시철도 - 광주송정역 (도시철도)
광주송정역 (도시철도)은 광주 도시철도 1호선에 있는 지하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상무, 남광주, 소태, 녹동 방면과 평동 방면으로 운행하고, 호남선, 호남고속선 광주송정역과 연결되어 있다. - 광주 도시철도 - 돌고개역
돌고개역은 광주 도시철도 1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4년 4월 28일에 개업하였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노선 이름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고유 노선 색상 | #009088 |
![]() |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운영 기관 | 광주교통공사 |
노선 상태 | 운영 중 |
개통일 | 2004년 4월 28일 |
노선 길이 | 20.6 km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수 | 복선 (녹동역 구내 제외)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가선 집전 방식 |
보안 장치 | ATC · ATO |
최고 속도 | 100 km/h |
노선 번호 | 1 |
광주 도시철도 노선망 | 광주 도시철도 |
노선 정보 | |
기점 | 녹동역 |
종점 | 평동역 |
역 수 | 20 |
수송 실적 (1일 평균, 2017년) | 51,259명 |
차량 기지 | 용산차량사업소, 옥동차량사업소 |
자동 열차 제어 장치/자동 열차 운전 장치 최고 속도 | 80km/h |
설계 최고 속도 | 100km/h |
전철화 방식 상세 | 가공전차선, 가공강체가선 |
운행 정보 | |
노선 개통일 | 2004년 4월 28일 (녹동 ~ 상무) 2008년 4월 11일 (상무 ~ 평동) |
노선 운영자 | 광주교통공사 |
기타 |
2. 연혁
날짜 | 내용 |
---|---|
1994년 1월 1일 | 광주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 |
1994년 11월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기본계획 확정[3] |
1996년 2월 17일 | 1단계 녹동~상무 구간 착공 |
1996년 8월 28일 | 1호선 기공식 |
1999년 11월 2일 | 2단계 건설사업 계획 승인[3] |
2000년 4월 6일 | 2단계 상무~평동 구간 착공 |
2004년 4월 28일 | 1단계 녹동~상무 구간 개통[3] |
2006년 | 증심사입구역을 학동·증심사입구역으로, 호남대입구역을 운천역으로 각각 역명 변경 |
2008년 4월 11일 | 2단계 상무~평동 구간 개통[3] |
2013년 7월 25일 | 송정리역을 광주송정역으로 역명 변경 |
2016년 8월 30일 | 전 역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
2. 1. 건설 과정
1994년 1월 1일, 광주 지하철 건설본부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11월에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기본계획이 확정되었다.[3] 1996년 2월 17일 1단계 녹동~상무 구간이 착공되었고, 같은 해 8월 28일에 1호선 기공식이 열렸다.1999년 11월 2일에는 2단계 건설사업 계획이 승인되었으며,[3] 2000년 4월 6일 2단계 상무~평동 구간이 착공되었다.
이후 2004년 4월 28일 1단계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고, 2008년 4월 11일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
2. 2. 개통 및 운영
2004년 4월 28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녹동~상무 구간이 개통되었다.[3] 2008년 4월 11일에는 2단계 구간인 상무~평동 구간이 개통되었다.[3]2006년에는 증심사입구역이 학동·증심사입구역으로, 호남대입구역이 운천역으로 각각 역명이 변경되었다. 2013년 7월 25일에는 송정리역이 광주송정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016년 8월 30일에는 모든 역사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3. 노선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