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은 1996년 착공하여 2004년 녹동~상무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8년 상무~평동 구간이 개통되어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 총 20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광주교통공사에서 운영한다. 노선 길이는 20.6km이며, 대부분의 열차는 소태역과 평동역 사이를 운행하고,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된다. 광주시는 1호선을 화순군과 나주시까지 연장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광역시의 철도 - 호남선
    호남선은 대전에서 목포를 잇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 쌀 수송을 위해 건설되어 복선화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KTX 운행과 호남고속선 개통으로 운행 시간이 단축되었으며, 현재 다양한 열차가 운행되고 서대전~논산 구간 직선화 사업이 추진 중이다.
  • 광주광역시의 철도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200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부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는 서울과 부산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1990년 건설 계획 결정 후 3단계에 걸쳐 건설되어 2015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프랑스 TGV 기술 도입으로 서울-부산 간 소요시간을 단축하고 KTX 열차 운행을 통해 전국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핵심 교통망이 되었다.
  • 200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대불선
    대불선은 2004년 대불국가산업단지 개발 계획에 의해 건설되어 일로역과 대불역을 운영하며 총 12.0km 구간을 한국철도공사에서 관리하는 철도 노선이다.
  • 광주 도시철도 - 광주송정역 (도시철도)
    광주송정역 (도시철도)은 광주 도시철도 1호선에 있는 지하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상무, 남광주, 소태, 녹동 방면과 평동 방면으로 운행하고, 호남선, 호남고속선 광주송정역과 연결되어 있다.
  • 광주 도시철도 - 돌고개역
    돌고개역은 광주 도시철도 1호선에 있는 지하철역으로,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추고 있으며, 2004년 4월 28일에 개업하였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이름광주 도시철도 1호선
고유 노선 색상#009088
로고
노선 종류도시 철도
운영 기관광주교통공사
노선 상태운영 중
개통일2004년 4월 28일
노선 길이20.6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복선 (녹동역 구내 제외)
전철화 방식직류 1500V 가선 집전 방식
보안 장치ATC · ATO
최고 속도100 km/h
노선 번호1
광주 도시철도 노선망광주 도시철도
노선 정보
기점녹동역
종점평동역
역 수20
수송 실적 (1일 평균, 2017년)51,259명
차량 기지용산차량사업소, 옥동차량사업소
자동 열차 제어 장치/자동 열차 운전 장치 최고 속도80km/h
설계 최고 속도100km/h
전철화 방식 상세가공전차선, 가공강체가선
운행 정보
노선 개통일2004년 4월 28일 (녹동 ~ 상무)
2008년 4월 11일 (상무 ~ 평동)
노선 운영자광주교통공사
기타

2. 연혁

날짜내용
1994년 1월 1일광주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
1994년 11월광주 도시철도 1호선 기본계획 확정[3]
1996년 2월 17일1단계 녹동~상무 구간 착공
1996년 8월 28일1호선 기공식
1999년 11월 2일2단계 건설사업 계획 승인[3]
2000년 4월 6일2단계 상무~평동 구간 착공
2004년 4월 28일1단계 녹동~상무 구간 개통[3]
2006년증심사입구역학동·증심사입구역으로, 호남대입구역운천역으로 각각 역명 변경
2008년 4월 11일2단계 상무~평동 구간 개통[3]
2013년 7월 25일송정리역광주송정역으로 역명 변경
2016년 8월 30일전 역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2. 1. 건설 과정

1994년 1월 1일, 광주 지하철 건설본부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11월에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 기본계획이 확정되었다.[3] 1996년 2월 17일 1단계 녹동~상무 구간이 착공되었고, 같은 해 8월 28일에 1호선 기공식이 열렸다.

1999년 11월 2일에는 2단계 건설사업 계획이 승인되었으며,[3] 2000년 4월 6일 2단계 상무~평동 구간이 착공되었다.

이후 2004년 4월 28일 1단계 구간이 부분 개통되었고, 2008년 4월 11일 2단계 구간이 개통되면서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전 구간이 완전 개통되었다.

2. 2. 개통 및 운영

2004년 4월 28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인 녹동~상무 구간이 개통되었다.[3] 2008년 4월 11일에는 2단계 구간인 상무~평동 구간이 개통되었다.[3]

2006년에는 증심사입구역이 학동·증심사입구역으로, 호남대입구역이 운천역으로 각각 역명이 변경되었다. 2013년 7월 25일에는 송정리역이 광주송정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 2016년 8월 30일에는 모든 역사에 스크린도어 설치가 완료되었다.

3. 노선 정보

4. 역 목록

호남고속선
광주선
경전선
(광주송정역)1.118.0118도산Dosan道山0.718.7119평동Pyeongdong平洞1.920.5



2021년 기준으로 대부분의 열차는 평동역소태역 사이를 운행하며, 시간당 한 대 정도의 열차가 녹동역까지 운행한다.[1]

4. 1. 역 목록

호남고속선
광주선
경전선
(광주송정역)1.118.0118도산Dosan道山0.718.7119평동Pyeongdong平洞1.920.5



2021년 기준으로 1호선은 20개의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의 열차는 평동역과 소태역 사이를 운행하며, 시간당 한 대 정도의 열차가 녹동역까지 운행한다.[1]

5. 이용객 변화추이

다른 도시에 있는 도시철도 노선과는 달리,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은 경유하는 지역 중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이 광주송정역과 금남로 밖에 없으며, 광주의 유동 인구가 많은 광주종합버스터미널, 광주광역시청, 일곡지구, 첨단지구, 수완지구와 주요 대학인 전남대조선대를 경유하지 않는다.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이 상무대로를 너무 직선으로 지나가는 바람에, 유동 인구가 매우 적은 쌍촌동이나 화정동 일대를 경유하고 있어서, 전국에 있는 모든 도시철도 중 이용객이 가장 적다.[4]

5. 1. 연도별 이용객 변화

역 노선1일 평균 승차 인원[4]
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
1호선32,98735,34338,14343,14247,13347,78648,51849,27949,50049,331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
49,46050,18250,95951,25951,73552,929


6. 운행

주로 소태역~평동역 구간을 운행한다. 녹동역까지 운행하는 열차는 시간당 1대 정도이다.

7. 차량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있다.

8. 차량기지

용산차량기지와 옥동차량기지가 있다.

9. 향후 계획

광주광역시는 현재 1호선을 남쪽으로는 화순군까지, 북쪽으로는 나주시까지 연장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최근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1호선 연장을 '5+2 광역경제권' 사업에 포함시키겠다고 약속했다.[2]

참조

[1] 웹사이트 광주도시철도공사 모바일 https://www.grtc.co.[...]
[2] 웹사이트 Seoul Newspaper:Presidential Committee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ccepted Gwangju's new proposal of 5+2 project http://news.naver.co[...] 2009-02-11
[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38호 http://theme.archive[...] 1999-11-02
[4] 웹사이트 알림마당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www.gwangjusu[...] 2014-0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