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기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수기계는 학습자의 반응에 따라 학습 자료를 제시하는 기계 장치이다. 에드워드 L. 손다이크는 1912년에 기계적 독창성을 통해 개인별 맞춤 학습이 가능한 책의 구성을 제안했고, 시드니 L. 프레시는 1932년에 자신이 개발한 기계가 교육의 산업 혁명을 이끌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수기계 | |
|---|---|
| 개요 | |
![]() | |
| 유형 | 교육 기술 |
| 개발자 | 시드니 프레시 B. F. 스키너 노먼 크라더 |
| 역사 | |
| 발명 | 1920년대 |
| 발명가 | 시드니 프레시 |
| 주요 개발자 | B. F. 스키너 노먼 크라더 |
| 특징 | |
| 작동 방식 | 일련의 질문 제시 즉각적인 피드백 제공 학습자의 반응에 따라 다음 질문 조정 |
| 프로그램 방식 | 선형 프로그래밍 (스키너) 분기형 프로그래밍 (크라더) |
| 장점 | 개별 맞춤 학습 가능 즉각적인 피드백으로 학습 효과 증대 자기 주도 학습 능력 향상 |
| 단점 | 기계적인 학습으로 흥미 저하 가능성 프로그램 개발에 많은 노력 필요 |
| 주요 인물 | |
| 관련 인물 | 시드니 프레시 B. F. 스키너 노먼 크라더 |
| 관련 개념 | |
| 관련 개념 | 프로그래밍 학습 교육 공학 행동주의 심리학 |
| 참고 문헌 | |
| 참고 문헌 | Hilgard & Bower (1966) Pressey (1926) Lumsdaine & Glaser (1960) Pressey (1927) Pressey (1932) Pressey (1950) Crowder (1959) Crowder (1960) Skinner (1968) Skinner (1961) Holland & Skinner (1961) Glaser (1965) Lumsdaine & Glaser (1960) Auto-Tutor (1964) |
2. 초기 선구자들
에드워드 L. 손다이크는 1912년에 개인별 맞춤 학습의 개념을 제시하였다.[14] 시드니 L. 프레시는 1932년에 자신이 개발한 기계가 "교육의 산업 혁명"을 이끌 것이라고 생각했다.[4]
1930년대 한국은 일제강점기 하에 있었고, 교육 체계 역시 일본의 통제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프레시의 주장과 새로운 교육 방식은 한국 사회와 교육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을 것이다.
프레시의 교수 기계는 현대 한국 교육 기술 발전에 일정한 영감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의 기계는 현대의 컴퓨터 기반 학습(CBT)이나 이러닝 시스템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다.
2. 1. 에드워드 손다이크
에드워드 L. 손다이크는 1912년에 "만약 기계적 독창성의 기적에 의해, 1페이지에서 지시된 것을 수행한 사람에게만 2페이지가 보이도록 책을 구성할 수 있다면, 현재 개인적인 지도가 필요한 많은 것을 인쇄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입니다."라고 언급하였다.[14] 이는 학생 개개인의 학습 수준에 맞춰 내용을 제공하는 개인별 맞춤 학습의 개념을 제시한 것이다.2. 2. 시드니 프레시
시드니 L. 프레시는 1932년에 "교육은 지금까지 이 나라에서 그 문제 해결에 독창성을 체계적으로 적용하지 않은 주요 활동입니다"라고 주장했다.[4] 그는 자신이 개발한 기계가 "교육의 산업 혁명"을 이끌 것이라고 생각했다.[4]1930년대 한국은 일제강점기 하에 있었고, 교육 체계 역시 일본의 통제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프레시의 주장과 새로운 교육 방식은 한국 사회와 교육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을 것이다. 또한, 당시 한국 사회는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기 때문에 교육에 대한 투자도 제한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레시의 교수 기계는 현대 한국 교육 기술 발전에 일정한 영감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의 기계는 학습자 스스로 학습 내용을 확인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는데, 이는 현대의 컴퓨터 기반 학습(Computer-Based Training, CBT)이나 이러닝(e-learning) 시스템의 초기 형태로 볼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ories of learning
https://archive.org/[...]
Appleton-Century-Crofts
1966
[2]
간행물
A simple apparatus which gives tests and scores—and teaches
1926-03-20
[3]
간행물
A machine for automatic teaching of drill material
1927-05-07
[4]
간행물
A third and fourth contribution toward the coming 'industrial revolution' in education
1932-11-19
[5]
간행물
Development and appraisal of devices providing immediate automatic scoring of objective tests and concomitant self-instruction
1950-04
[6]
서적
Automatic teaching: the state of the art
Wiley
1959
[7]
서적
Teaching machines and programmed learning I: a source book
Dept. of Audiovisual Instruction,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1960
[8]
서적
The technology of teaching
https://archive.org/[...]
Appleton-Century-Crofts
1968
[9]
간행물
Teaching machines
1961-11
[10]
서적
The analysis of behavior: a program for self-instruction
McGraw-Hill
1961
[11]
서적
Teaching machines and programmed learning II: data and directions
https://archive.org/[...]
Dept. of Audiovisual Instruction,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1965
[12]
서적
Teaching machines and programmed learning I: a source book
https://archive.org/[...]
Dept. of Audiovisual Instruction,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of the United States
1960
[13]
웹사이트
Auto-Tutor (1964)
https://paleofuture.[...]
2021-08-31
[14]
서적
Education: a first book
https://archive.org/[...]
Macmillan
1912
[15]
문서
Pressey's priority is supported by Ernest Hilgard in Hilgard E.R. 1966. Learning & the technology of instruction. Chapter 16 in Hilgard E.R. & Bower G.H. 1966. ''Theories of learning''. 3rd ed,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p554{{ndash}}561 Programmed learn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