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글 효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글 효과는 사람들이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고 예상할 때 정보를 기억하려는 노력을 덜 기울이는 현상을 말한다. 2011년 연구를 통해 처음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사람들은 정보를 나중에 확인할 수 있다고 믿을 경우 정보를 기억하지 않고, 정보가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기억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어려운 질문을 받았을 때 컴퓨터를 먼저 떠올리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디지털 기억상실증과 연관되어 연구되고 있다. 구글 효과는 분산 기억의 일종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그 존재 여부에 대한 비판과 논란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억 편향 - 사후 확신 편향
    사후 확신 편향은 사건 발생 후 자신이 그 사건을 미리 알고 있었다고 믿는 경향으로, 과거 사건의 예측 가능성을 과대평가하는 인지적 편향이며, 놀라움, 성격, 나이 등에 영향을 받고 기억 왜곡, 책임 회피 등과 관련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난다.
  • 기억 편향 - 출입구 효과
    출입구 효과는 공간 이동 시 이전 공간에 대한 기억이 흐려지는 현상으로, 공간적 이동이 기억에 미치는 영향, 가상 및 실제 환경에서의 효과, 뇌의 상황 모델 갱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언어 학습, 인지적 공감 격차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 구글 - 구글 두들
    구글 두들은 구글 검색 엔진의 로고를 특별한 날이나 인물, 사건 등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되는, 정적인 이미지부터 대화형 게임, 애니메이션 비디오 등 다양한 형식의 창의적인 콘텐츠이다.
  • 구글 - 웨이모
    웨이모는 알파벳의 자회사로,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 기반 센서 시스템과 인공지능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자율 주행 기술을 개발하고 로보택시, 트럭 운송 및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기술적 한계, 안전 문제, 규제 및 지역 주민 반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구글 효과
개요
유형심리적 현상
설명쉽게 이용 가능한 정보에 대한 의존으로 인해 중요한 정보를 기억하는 능력의 감소
관련 용어디지털 치매
정보 과부하
특징
주요 특징정보의 즉각적인 가용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억력 감퇴
원인정보 검색에 대한 과도한 의존, 기억하려는 노력 감소
영향암기 능력 저하
문제 해결 능력 저하
비판적 사고 능력 저하
연구 결과
연구 내용인터넷 검색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사람들은 정보 자체를 기억하기보다 정보 접근 방식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음
시사점온라인 정보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장기적인 인지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예방 및 대처
권장 사항정보 검색 빈도 줄이기
암기 및 회상 연습
비판적 사고 능력 향상
균형 잡힌 디지털 생활 유지
추가 정보
관련 연구Sparrow, Liu, Wegner (2011)
Roser, Gazzaniga, Ivry (2016)
참고 자료위키백과, 학술 논문, 뉴스 기사 등

2. 역사

구글 효과는 2011년 벳시 스패로(컬럼비아 대학교), 제니 류(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대니얼 M. 웨그너(하버드 대학교)의 연구를 통해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되었다.[2] 이들은 일련의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할 때 정보를 기억하려는 노력을 덜 기울인다는 것을 밝혀냈다.

2015년에는 카스퍼스키 랩의 설문조사를 통해 '디지털 기억상실증'이라는 용어가 만들어졌으며, 온라인상의 사실뿐만 아니라 개인 정보까지도 구글 효과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4]

2. 1. 연구의 진행 과정

이 현상은 2011년 7월 벳시 스패로우(컬럼비아 대학교), 제니 류(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대니얼 M. 웨그너(하버드 대학교)의 논문에서 처음 설명되고 명명되었다.[2] 연구는 네 단계로 진행되었다.
1단계: 피험자들에게 쉽고 어려운 퀴즈 질문에 답하게 한 후, 일상적인 단어와 화면 및 구글과 같은 기술 관련 단어를 포함하는 수정된 스트룹 과제를 수행하도록 했다. 피험자들은 특히 어려운 질문 후에 기술 단어에 더 느리게 반응했는데, 이는 퀴즈 질문이 컴퓨터를 생각하도록 점화 효과를 유발했음을 나타낸다.[3]
2단계: 피험자들은 여러 퀴즈 문장을 읽었다. 절반은 문장이 저장되어 나중에 찾아볼 수 있다고 믿게 했고, 나머지 절반은 명시적으로 기억하도록 지시했다. 이후 두 그룹 모두 문장 회상에 대한 테스트를 받았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고 믿은 그룹이 정보를 기억하는 데 덜 적극적이었다.[3]
3단계: 피험자들은 퀴즈 내용을 읽고 입력한 후, 해당 항목이 삭제, 저장, 또는 특정 위치에 저장되었다는 알림을 받았다. 이후 인지 과제를 통해 정확한 진술을 보았는지, 저장되었는지, 저장되었다면 어디에 저장되었는지 질문했다. 정보가 저장되었다고 믿는 그룹이 정보 자체보다 정보의 저장 위치를 더 잘 기억했다.[3]
4단계: 피험자들은 상식적인 내용을 입력했고, 각 내용은 일반적인 이름의 폴더(예: 항목, 사실)에 저장되었다는 말을 들었다. 이후 진술 자체와 저장된 폴더에 대한 두 가지 회상 과제가 주어졌다. 정보와 정보의 저장 위치(폴더)를 함께 기억하는 것이 어렵다는 사실을 확인했다.[3]

2. 2. 디지털 기억상실증

'디지털 기억상실증'이라는 용어는 2015년 카스퍼스키 랩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4] 이 조사 결과는 '구글 효과'가 온라인상의 사실뿐만 아니라 중요한 개인 정보까지 기억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4] 조사에 따르면, 91%의 사람들이 세부 정보를 기억하는 대신 인터넷을 사용했고, 44%는 스마트폰을 사용했다.[4] 카스퍼스키 랩은 미국에서 16세에서 55세 사이의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익숙해야 할 전화번호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기억하지 못했는데, 이는 기기를 사용하여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정보를 잊어버렸다는 결론으로 이어졌다.[5] 카스퍼스키가 각국의 16세 이상 총 6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19]

3. 구글 효과의 주요 특징

사람들은 정보 자체를 기억하기보다는 정보가 저장된 위치를 기억하는 경향이 있다. 정보를 나중에 다시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면 정보를 굳이 기억하려 하지 않는다. 심지어 정답을 알고 있는 질문에도 컴퓨터를 먼저 떠올리는 경향이 있다. (특히 어려운 질문일 경우)[3][6]

2011년의 원 연구는 세 가지 주요 결과를 도출했다.


  • 사람들은 일반적인 지식 질문을 받을 때, 심지어 정답을 알고 있을 때조차 컴퓨터를 먼저 떠올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 효과는 질문이 어렵고 답을 모를 때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사람들은 나중에 찾아볼 수 있다고 생각하면 정보를 기억하려는 경향이 적다. 반대로, 자료를 기억하라는 명시적인 지시는 회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정보가 저장되면 사람들은 정보 자체를 기억하기보다는 정보가 있는 위치를 기억할 가능성이 훨씬 더 높다. 또한 사람들은 사실 또는 위치 중 하나를 기억하는 경향이 있으며, 둘 다 기억하지는 않는다. 이 효과는 정보가 위치 이름보다 더 기억하기 쉬울 때에도 지속된다.[3][6]


또한, 인터넷을 통해 학습한 정보가 백과사전을 통해 학습한 정보보다 덜 정확하고 덜 확신을 가지고 회상되는 관련 현상이 설명되었다. 게다가, 인터넷을 통해 학습한 정보를 회상하는 사람들은 양쪽 후두회, 왼쪽 측두회, 양쪽 중간 전두회를 포함한 여러 뇌 영역에서 활성 감소를 보였다. 이는 백과사전 그룹과 비교했을 때의 결과이다.[8]

3. 1. 분산 기억 (Transactive Memory)

스패로우 등은 구글 효과를 일종의 분산 기억(Transactive Memory)으로 해석했다. 즉, 사람과 컴퓨터가 상호 연결된 시스템처럼 작동하여, 정보 자체보다는 정보를 찾을 수 있는 '위치'(누가, 또는 어디에 정보가 있는지)를 기억한다는 것이다. 이는 전통적인 분산 기억 개념을 디지털 환경으로 확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3]

2012년 라브 R. 바쉬니(Lav R. Varshney)의 연구는 구글 효과가 박사 학위 논문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고 제안했는데, 인용된 참고 문헌의 수가 장기적으로 증가하는 것은 정보 자체보다는 관련 정보를 찾는 위치(즉, 어떤 논문에 정보가 있는지)에 대한 기억이 향상되는 경향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7]

그러나 일부 연구자들은 구글 효과가 진정한 의미의 분산 기억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이들은 컴퓨터가 단순한 도구일 뿐이며, 사람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이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전통적인 분산 기억과 달리, 정보는 인터넷이 없다고 해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단지 더 느리고 찾기 어려울 뿐이다.[10][11]

4. 비판 및 논란

구글 효과의 실존 여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2018년 네이처에 게재된 대규모 재현 연구에서는 구글 효과가 재현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왔다.[12][26][27]

일부 연구자들은 구글 효과가 분산 기억의 한 형태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컴퓨터는 단순한 정보 검색 도구일 뿐이라고 강조한다. 이들은 인터넷이 없어도 정보는 사라지지 않고 단지 찾기 어려울 뿐이라고 설명한다.[10][11][24][25]

백과사전 등을 통해 얻은 정보보다 인터넷을 통해 얻은 정보가 덜 정확하고 덜 확신을 가지고 회상된다는 연구 결과도 발표되었다.[8][22]

참조

[1] 뉴스 Google is changing your brain, study says, and don't you forget it http://www.mercuryne[...] San Jose Mercury News 2011-07-16
[2] 웹사이트 Study Finds That Memory Works Differently in the Age of Google http://news.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011-07-14
[3] 논문 Google Effects on Memory: Cognitive Consequences of Having Information at Our Fingertips http://scholar.harva[...] 2011-08-05
[4] 뉴스 Study: Most Americans suffer from 'Digital Amnesia' http://wtop.com/heal[...] WTOP-FM 2015-07-01
[5] 뉴스 "Can't recall phone numbers? Blame 'digital amnesia'" Boston Herald 2015-10-12
[6] 논문 Focused search and retrieval: The impact of technology on our brains 2012-12-01
[7] 논문 The Google effect in doctoral theses 2012-02-10
[8] 논문 Behavioural and brain responses related to Internet search and memory 2015-10-01
[9] 논문 The Google generation: the information behaviour of the researcher of the future 2008
[10] 논문 Transactive Memory Reconstructed: Rethinking Wegner's Research Program 2016-03-01
[11] 논문 Socially embedded cognition 2013-12-01
[12] 논문 Evaluating the replicability of social science experiments in Nature and Science between 2010 and 2015 https://www.nature.c[...] 2018-08-27
[13] 웹사이트 "「デジタル健忘症」の傾向は日本でも--カスペルスキー" https://japan.zdnet.[...] 2021-08-16
[14] 뉴스 Google changing what we remember http://www.mercuryne[...] 2021-08-16
[15] 논문 インターネットの利用傾向がテキストの読みに与える影響 https://doi.org/10.1[...] 日本教育工学会
[16] 웹사이트 Study Finds That Memory Works Differently in the Age of Google http://news.columbia[...] Columbia University 2021-08-16
[17] 논문 Google Effects on Memory: Cognitive Consequences of Having Information at Our Fingertips http://scholar.harva[...] 2011-08-05
[18] 뉴스 Study: Most Americans suffer from 'Digital Amnesia' http://wtop.com/heal[...] 2021-08-16
[19] 뉴스 "Can't recall phone numbers? Blame 'digital amnesia'" https://www.bostonhe[...] Boston Herald 2021-08-16
[20] 논문 Focused search and retrieval: The impact of technology on our brains 2012-12-01
[21] 논문 The Google effect in doctoral theses 2012-02-10
[22] 논문 Behavioural and brain responses related to Internet search and memory 2015-10-01
[23] 논문 The Google generation: the information behaviour of the researcher of the future 2008
[24] 논문 Transactive Memory Reconstructed: Rethinking Wegner's Research Program 2016-03-01
[25] 논문 Socially embedded cognition 2013-12-01
[26] 논문 Evaluating the replicability of social science experiments in Nature and Science between 2010 and 2015 https://www.nature.c[...] 2018-08-27
[27] 논문 No conclusive evidence that difficult general knowledge questions cause a "Google Stroop effect". A replication study https://peerj.com/ar[...] 2020-1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