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은 2010년 개봉한 이준익 감독의 영화로, 1592년 임진왜란 직전의 조선을 배경으로 한다. 맹인 검객 황정학과 왕족의 서자 이몽학을 중심으로, 평등 세상을 꿈꾸며 반란을 일으키는 이몽학과 이를 막으려는 황정학, 그리고 이몽학에게 복수를 꿈꾸는 서자 견자의 갈등을 그린다. 영화는 이몽학의 난을 통해 권력, 배신, 복수 등 다양한 인간 군상을 보여주며, 2010년 뉴욕 아시안 영화제 폐막작으로 상영되었고, 몬트리올 판타지아 영화제에서 감독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몽학의 난 - 김덕령
    조선 선조 때의 무신이자 임진왜란 의병장인 김덕령은 이몽학의 난에 연루되어 억울하게 옥사했으나, 사후 신원되어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충장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며, 그의 공을 기리는 충장로와 충장사가 광주에 있다.
  • 이몽학의 난 - 홍가신
    홍가신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의병장, 성리학자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고 이몽학의 난을 진압하는 데 기여했으며,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선조의 신임을 받아 사후 영원부원군에 추봉되고 문장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이준익 감독 영화 - 평양성 (영화)
    2011년 개봉한 이준익 감독의 코믹 시대극 영화 《평양성》은 668년 고구려-당 전쟁을 배경으로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의 평양성 공격을 중심으로 김유신, 연남건, 연남생 등의 이야기를 다루었으며, 해외 영화제 상영 및 긍정적 평가, 정진영의 황금촬영상 수상 등의 성과가 있었다.
  • 이준익 감독 영화 - 자산어보 (영화)
    《자산어보》는 신유박해로 흑산도에 유배된 정약전이 창대의 도움을 받아 『자산어보』를 집필하는 과정을 그린 영화로, 18세기 조선의 사회상과 정치적 격변기를 묘사하며 흥행과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반란을 소재로 한 영화 - 아바타 (2009년 영화)
    제임스 카메론 감독의 2009년 공상과학 영화 《아바타》는 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해 판도라 행성에 온 인류와 나비족의 갈등을 배경으로, 아바타 프로그램에 참여한 제이크 설리가 나비족과 함께 판도라를 지키는 이야기이며, 혁신적인 기술과 시각 효과로 흥행했고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 반란을 소재로 한 영화 -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
    혹성탈출: 진화의 시작은 2011년 개봉한 SF 영화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연구 중 유전자 조작으로 지능이 향상된 침팬지 시저가 인간에게 반란을 일으키고 ALZ-113 바이러스가 인류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포스터
영화 포스터
원제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로마자 표기Gureumeul Beoseonan Dalcheoreom
영제Blades of Blood
감독이준익
제작조철현, 이정세
각본조철현, 오승현, 최석환
원작박흥용의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출연황정민, 차승원, 백성현, 한지혜
음악김수철, 김준석
촬영정정훈
편집김상범, 김재범
제작사영화사 아침, 타이거 픽쳐스
배급사SK텔레콤
개봉일2010년 4월 28일
상영 시간107분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장르액션
영화 등급15세 이상 관람가
흥행 수익820만 미국 달러

2. 줄거리

1592년 임진왜란 직전의 조선, 선조 25년, 임진왜란의 기운이 조선의 숨통을 조여오고 민초들의 삶은 피폐해져만 가던 때였다. 황정학(황정민)과 이몽학(차승원)은 평등 세상을 꿈꾸며 ‘대동계’를 만들어 관군을 대신해 왜구와 싸웠지만, 조정은 이들을 역모로 몰아 대동계를 해체시킨다.

16세기 후반, 조선 왕조는 일본의 침략 위협으로 혼란에 빠진다. 임금의 가계에서 나온 서출인 이몽학은 무능한 왕을 몰아내고 스스로 왕위에 오르려 반군을 일으킨다. 그는 잔혹하게 사람을 죽이고 예전 동지들을 배신하며 피로 물든 길을 나아간다. 황정학은 이몽학에게 중상을 입은, 이몽학에게 가족을 잃은 서자 견자(백성현)를 구해준다. 두 사람은 이몽학을 찾아 그를 죽이려 한다.

이몽학의 대연합 반군이 정부군을 크게 무찌른 후, 황정학은 홀로 그와 맞선다. 긴 싸움 끝에 이몽학의 무술이 너무 뛰어나 맹인 검객은 쓰러진다. 정학의 죽음을 확인한 견자는 조선의 수도인 서울이자 이몽학의 최종 목표지로 향한다. 한편, 이몽학은 일본군이 접근하여 마을과 정착지를 약탈하고 학살할 것을 알고도, 반군 진영에 보호를 구하며 모인 백성들을 버려둔 채 대연합군을 서울로 진격시킨다. 반군은 서울을 점령하지만, 왕이 이미 수도를 버렸고 궁궐은 황폐하여 혼란과 좌절에 빠진다. 반군보다 먼저 궁궐에 도착한 견자는 옥좌로 향하는 이몽학을 막아선다. 잠시 후 일본군이 도착하여 조총으로 반군을 학살하기 시작한다. 견자는 이몽학을 죽이는 데 성공하지만, 일본군의 손에 죽는다.

3. 등장인물


  • '''주요 인물'''

황정민은 전설적인 맹인 검객 황정학 역을 맡았다. 황정학은 이몽학의 폭주를 막으려는 인물이다. 차승원이몽학 역을 맡았다. 이몽학은 왕족의 서자로, 평등 세상을 꿈꾸며 반란을 일으키는 인물이다. 한지혜이몽학과 황정학 사이에서 갈등하는 기생 백지 역을 맡았다. 백성현이몽학에게 가족을 잃고 복수를 꿈꾸는 서자 견자 역을 맡았다.

  • '''조연'''

김창완은 무능하고 부패한 왕권의 상징인 선조 역을 맡았다. 송영창은 한신균 역, 정규수는 방짜쟁이 역, 신정근은 유 대감 역, 류승룡은 정 대감 역, 양영조는 이장각 역, 이해영은 한필주 역, 이영석은 김 내관 역, 염동헌은 박 대감 역, 이달형은 송 대감 역, 최용현은 최 대감 역, 박용범은 조 대감 역, 이창익은 이 대감 역, 정민성은 황윤길 역, 박진우는 김성일 역, 이재구는 최 사또 역, 전대병은 임철민 역, 김지은은 초향 역, 임재윤은 정여립 역, 한덕호는 의금부 판사 역, 양도현은 견자형 1 역, 김민수는 견자형 2 역, 정제헌은 견자형 3 역, 김민승은 견자형 4 역, 송창곤은 제관 1 역, 윤영걸은 제관 2 역, 서승원은 형리 2 역, 김병오는 형리 4 역, 류성훈은 망나니 3 역, 강현중은 대동계 부하 역, 지일주는 유생 역, 최대성은 임철민 부하 1 역, 강득종은 임철민 부하 2 역, 조성희는 임철민 부하 3 역, 최태환은 자객 2 역, 이설구는 옥졸 1 역, 김서원은 공터 포졸 1 역을 맡았다.

  • '''특별출연'''

김보연은 기생 어멈 역으로, 김상호는 박돌석 역으로, 조경훈은 자객 1 역으로 특별출연했다.

3. 1. 주요 인물

황정민은 전설적인 맹인 검객 황정학 역을 맡았다. 황정학은 이몽학의 폭주를 막으려는 인물이다. 차승원이몽학 역을 맡았다. 이몽학은 왕족의 서자로, 평등 세상을 꿈꾸며 반란을 일으키는 인물이다. 한지혜이몽학과 황정학 사이에서 갈등하는 기생 백지 역을 맡았다. 백성현이몽학에게 가족을 잃고 복수를 꿈꾸는 서자 견자 역을 맡았다.

3. 2. 조연

김창완은 무능하고 부패한 왕권의 상징인 선조 역을 맡았다. 송영창은 한신균 역, 정규수는 방짜쟁이 역, 신정근은 유 대감 역, 류승룡은 정 대감 역, 양영조는 이장각 역, 이해영은 한필주 역, 이영석은 김 내관 역, 염동헌은 박 대감 역, 이달형은 송 대감 역, 최용현은 최 대감 역, 박용범은 조 대감 역, 이창익은 이 대감 역, 정민성은 황윤길 역, 박진우는 김성일 역, 이재구는 최 사또 역, 전대병은 임철민 역, 김지은은 초향 역, 임재윤은 정여립 역, 한덕호는 의금부 판사 역, 양도현은 견자형 1 역, 김민수는 견자형 2 역, 정제헌은 견자형 3 역, 김민승은 견자형 4 역, 송창곤은 제관 1 역, 윤영걸은 제관 2 역, 서승원은 형리 2 역, 김병오는 형리 4 역, 류성훈은 망나니 3 역, 강현중은 대동계 부하 역, 지일주는 유생 역, 최대성은 임철민 부하 1 역, 강득종은 임철민 부하 2 역, 조성희는 임철민 부하 3 역, 최태환은 자객 2 역, 이설구는 옥졸 1 역, 김서원은 공터 포졸 1 역을 맡았다.

3. 3. 특별출연

김보연은 기생 어멈 역으로, 김상호는 박돌석 역으로, 조경훈은 자객 1 역으로 특별출연했다.

4. 제작 과정

배우 황정민은 맹인 검객 역할을 소화하기 위해 시각장애인 학교를 방문하여 그들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다.[2] 황정민은 시각장애인 연기가 "여전히 연기하기 쉬운 역할은 아니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2]

5. 개봉 및 평가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은 2010년 4월 29일 대한민국에서 개봉했다.[3] 603개의 스크린에서 상영되어 박스오피스 2위를 기록하며, 2,675,391달러의 수익을 올렸다.[4] 전국적으로 총 1,389,295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국내 총 수입은 8,217,720달러에 달했다.[5][6]

2010년 7월 8일 뉴욕 아시안 영화제(New York Asian Film Festival)에서 국제 초연되었으며, 폐막작으로 상영되었다.[7][8] 이준익 감독은 캐나다 몬트리올 판타지아 영화제(Fantasia Festival)에서 심사위원상 감독상을 수상했다.[9]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은 외국어 영화 아카데미상(오스카상) 한국 출품작 후보 6편 중 하나였다.[10]

필름 비즈니스 아시아는 이 영화에 10점 만점에 7점을 주면서 액션과 캐릭터를 칭찬하며 "대부분의 한국 무협 드라마보다 한 수 위"라고 평가했다.[3] 버라이어티는 이 영화에 대해 엇갈린 평가를 내리면서 "일본 침략 직전의 정치적 내분이 불필요하게 광범위하고 이미지 중심적인 연출로 묘사되어 캐릭터 간 갈등이 흐릿해진다"고 지적하는 동시에 "이 영화는 수많은 속임수 같은 특수 효과 과시작들을 쉽게 능가하며, 여러 유럽과 아시아 배급사들이 일찍이 이 영화를 선택한 이유를 설명해 준다"고 언급했다.[11]

6. 영화의 주제와 사회적 함의

Film Business Asia는 이 영화에 10점 만점에 7점을 주면서 액션과 캐릭터를 칭찬하며 "대부분의 한국 무협 드라마보다 한 수 위"라고 평가했다.[3] Variety는 이 영화에 대해 엇갈린 평가를 내리면서 "일본 침략 직전의 정치적 내분이 불필요하게 광범위하고 이미지 중심적인 연출로 묘사되어 캐릭터 간 갈등이 흐릿해진다"고 지적하는 동시에 "이 영화는 수많은 속임수 같은 특수 효과 과시작들을 쉽게 능가하며, 여러 유럽과 아시아 배급사들이 일찍이 이 영화를 선택한 이유를 설명해 준다"고 언급했다.[11] 영화는 임진왜란 직전의 혼란스러운 시대를 배경으로 권력, 욕망, 배신, 복수 등 다양한 인간 군상의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이몽학의 난을 통해 민중들의 저항과 좌절을 그리며, 이상과 현실의 괴리, 그리고 권력의 허망함을 드러낸다.

참조

[1] 웹사이트 Splendid drinks up Lee's Blood http://www.filmbiz.a[...] 2010-03-22
[2] 웹사이트 Film giants shift gears with new release http://koreajoongang[...] 2010-04-29
[3] 웹사이트 Blades of Blood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 http://www.filmbiz.a[...] 2010-05-29
[4] 웹사이트 South Korea Box Office: April 30–May 2, 2010 https://boxofficemoj[...] 2013-07-11
[5] 웹사이트 Korean Box Office http://www.hancinema[...] 2013-07-11
[6] 웹사이트 Blades of Blood (2010) https://boxofficemoj[...] 2013-07-11
[7] 웹사이트 NYAFF paints the town Red with Blood, pink cinema and uncut Cliff http://www.filmbiz.a[...] 2010-05-21
[8] 웹사이트 Blades Of Blood (Korea, 2010) http://www.subwaycin[...]
[9] 웹사이트 Asian films dominate Fantasia awards http://www.filmbiz.a[...] 2010-07-30
[10] 웹사이트 Korea selects Oscar Dream http://www.filmbiz.a[...] 2010-09-03
[11] 웹사이트 Blades of Blood https://www.variety.[...] 2010-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