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립소록도병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립소록도병원은 1916년 조선총독부에 의해 소록도자혜의원으로 개원한 이래,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쳐 196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소록도 갱생원 원장 피살 사건 및 소록도 학살 사건이 발생하였고, 해방 이후에는 국립소록도병원으로 개칭되었다. 2001년에는 한센병 보상법이 성립되었으며, 2004년 갱생원 입소자들의 보상 청구가 2009년 항소심에서 인정되었다. 현재 내과, 외과, 피부과 등을 갖춘 의료기관으로, 고흥 소록도 병사성당, 마리안느와 마가렛 사택 등 등록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록도 - 소록대교
    소록대교는 2001년 착공되어 2009년에 개통되었으나, 개통 후 고흥반도 진입 도로의 우회, 선박 운항 중단, 인도 미설치로 인해 소록도 주민들의 불편과 안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 고흥군 소재의 관공서 - 전라남도고흥교육지원청
    전라남도고흥교육지원청은 전라남도 고흥군 내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관할하며 지역 사회 연계를 통해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 지원 기관이다.
  • 고흥군 소재의 관공서 - 고흥우체국
    고흥우체국은 1907년 흥양우편취급소로 개소하여 명칭 변경과 승격 과정을 거쳐 1950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전라남도 고흥군 내 여러 우체국과 우편취급국을 관할한다.
  • 전라남도의 병원 - 국립나주병원
    국립나주병원은 전라남도 나주시에 위치한 보건복지부 산하 국립병원으로, 정신질환 예방 및 진료, 환자 사회복귀 촉진 등의 주요 직무를 수행하며 책임운영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전라남도의 병원 - 국립목포병원
    국립목포병원은 1962년 목포아동결핵병원으로 개원하여 결핵 환자 진료 및 연구, 교육, 홍보 등의 직무를 수행하는 질병관리청 산하의 국립병원이다.
국립소록도병원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국립소록도병원
영어 표기Sorokdo National Hospital
종류국립병원
상급 기관대한민국 보건복지부
주소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 소록해안길 65
웹사이트국립소록도병원
google_map소록도
연혁
개원1916년 2월 24일
전신소록도갱생원 (小鹿島更生園)
진료 정보
진료 과목9
병상 수710

2. 연혁

연도내용
1916년 2월 24일소록도자혜의원 개원[1]
1917년 5월 17일자혜의원 개원[1]
1934년 10월 1일소록도갱생원으로 명칭 변경[1]
1949년 5월 6일중앙나요양소로 명칭 변경[1]
1951년 9월 29일갱생원으로 명칭 변경[1]
1957년 12월 14일소록도갱생원으로 명칭 변경[1]
1960년 7월 1일국립소록도병원으로 명칭 변경[1]
1968년 11월 8일국립나병원으로 명칭 변경[1]
1975년 8월 20일치과 신설[1]
1977년 3월 16일간호조무사양성소 신설[1]
1982년 12월 31일국립소록도병원으로 명칭 변경[1]
2002년 5월 13일간호조무사양성소 폐지[1]
2001년「한센병 요양소 입소자 등에 대한 보상금 지급 등에 관한 법률(한센병 보상법)」 성립[1]
2004년갱생원 입소자 110명(후에 127명) 도쿄 지방 법원에 보상 청구[1]
2005년 10월 25일도쿄 지방 법원 청구 기각[1]
2009년항소심에서 청구 인정[2]


  • 소록도 갱생원 관련 주요 사건 (일제강점기)
  • * 1935년 제령으로 「조선 나병 예방법」이 공포[1]
  • * 1936년 나가시마 아이세이엔의 사무관 미야가와 료가 갱생원을 방문[1]
  • * 1942년 6월 20일, 소록도 갱생원 원장 스오 마사키가 입원 환자 이춘상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소록도 갱생원 원장 피살 사건) 발생[1]
  • * 1945년 소록도 학살 사건 발생[1]

2. 1. 일제강점기

1916년 조선총독부는 소록도 자혜의원을 개설하였다.[1] 1934년에는 소록도 갱생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1]

1935년에는 제령으로 「조선 나병 예방법」이 공포되었다.[1] 1936년에는 나가시마 아이세이엔의 사무관이었던 미야가와 료가 갱생원을 방문하기도 했다.[1]

1942년 6월 20일에는 소록도 갱생원 원장 스오 마사키가 입원 환자 이춘상에 의해 피살되는 사건(소록도 갱생원 원장 피살 사건)이 발생하였다.[1] 1945년에는 소록도 학살 사건이 발생하였다.[1]

2. 2. 해방 이후

1949년 5월 6일, 중앙나요양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1951년 9월 29일에는 갱생원으로, 1957년 12월 14일에는 소록도갱생원으로 명칭이 다시 변경되었다.[1] 1960년 7월 1일, 국립소록도병원으로 개칭되었다.[1]

1968년 11월 8일에는 국립나병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1982년 12월 31일에 다시 국립소록도병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1975년 8월 20일에는 치과가 신설되었고, 1977년 3월 16일에는 간호조무사양성소가 신설되었으나, 2002년 5월 13일에 폐지되었다.[1]

2001년에는 「한센병 요양소 입소자 등에 대한 보상금 지급 등에 관한 법률(한센병 보상법)」이 성립되었다.[1] 2004년에는 갱생원 입소자 110명(후에 127명)이 도쿄 지방 법원에 보상을 청구했으나,[1] 2005년 10월 25일 청구가 기각되었다. 갱생원 원고는 항소하여 2009년 항소심에서 청구가 인정되었다.[2]

3. 역대 병원장

대수성명재임 기간비고
초대蟻川亨|아리카와 도루일본어1916년 7월 10일 ~ 1921년 6월 6일
2대花井善吉|하나이 젠키치일본어1921년 6월 23일 ~ 1929년 10월 16일재직 중 사망
3대矢澤俊一郞|야자와 슌이치로일본어1929년 12월 28일 ~ 1933년 8월 26일
4대周防正季|스오 마사스에일본어1933년 9월 1일 ~ 1942년 6월 20일재직 중 사망
5대西龜三圭|니시키 산케이일본어1942년 8월 1일 ~ 1945년 8월 20일
6대김형태1945년 9월 21일 ~ 1947년 12월 13일
7대강대헌1947년 12월 13일 ~ 1948년 4월 15일
8대김상태1948년 4월 15일 ~ 1954년 10월 2일
9대손수경1954년 10월 11일 ~ 1958년 10월 31일
10대차윤근1958년 10월 31일 ~ 1960년 6월 3일
11대차남수1960년 6월 3일 ~ 1961년 1월 13일
12대최재위1961년 1월 13일 ~ 1961년 5월 3일
13대정양원1961년 5월 3일 ~ 1961년 7월 20일
14대조창원1961년 8월 24일 ~ 1964년 3월 7일
15대신영서1964년 3월 7일 ~ 1965년 1월 1일
16대윤석우1965년 1월 1일 ~ 1965년 7월 31일
17대정정모1965년 9월 27일 ~ 1966년 9월 1일
18대차윤근1966년 9월 1일 ~ 1969년 5월 1일재임(10대)
19대김웅식1969년 5월 5일 ~ 1970년 3월 24일
20대조창원1970년 3월 24일 ~ 1974년 2월 19일재임(14대)
21대장경식1974년 2월 19일 ~ 1974년 3월 8일
22대신정식1974년 3월 8일 ~ 1985년 12월 31일
23대손태휴1986년 2월 3일 ~ 1993년 5월 18일
24대이충경1993년 6월 3일 ~ 1994년 1월 15일
25대오대규1994년 1월 15일 ~ 1996년 10월 11일
26대김윤일1996년 10월 11일 ~ 2002년 5월 13일
27대김중원2002년 5월 13일 ~ 2007년 2월 28일
28대박형철2007년 10월 17일 ~ 2019년 12월 31일
29대윤현덕2020년 2월 21일 ~ 2021년 12월 30일
직무대리오동찬2021년 12월 31일 ~ 2022년 10월 6일
30대박혜경2022년 10월 7일 ~


4. 조직

국립소록도병원은 운영지원팀, 시설팀, 복지팀, 자원봉사팀, 의료행정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의료행정 부서에는 내과, 외과, 피부과, 치과, 안이비인후과, 약제과, 간호과가 있다.[6][7][8][9]

4. 1. 서무과

(주어진 원본 소스에 서무과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이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4. 2. 의료부

국립소록도병원 의료부에는 내과[6], 외과[7], 피부과[7][8], 치과[7], 안이비인후과[7][8], 약제과[7], 간호과[9]가 있다.

5. 소장 문화재

문화재명등록 번호
고흥 소록도 병사성당등록문화재 제659호
고흥 소록도 마리안느와 마가렛 사택등록문화재 제660호
소록도 한센인 생활유품등록문화재 제663호


6. 한센병 관련 사건 및 보상

1916년 조선총독부는 소록도 자혜의원을 개설하였다.[1] 1934년 소록도 갱생원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 1935년 제령 「조선 나병 예방법」이 공포되었다.[1]

1942년 6월 20일, 소록도 갱생원 원장 스오 마사키가 입원 환자 이춘상에게 피살되는 소록도 갱생원 원장 피살 사건이 발생하였다.[1] 1945년에는 소록도 학살 사건이 발생하였다.[1]

1960년 국립소록도병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 2001년 「한센병 요양소 입소자 등에 대한 보상금 지급 등에 관한 법률(한센병 보상법)」이 성립되었다.[1]

2004년 갱생원 입소자 110명(후에 127명)은 도쿄 지방 법원에 보상을 청구했으나,[1] 2005년 10월 25일 청구가 기각되었다. 갱생원 원고는 항소하여[1] 2009년 항소심에서 청구가 인정되었다.[2]

참조

[1] 웹페이지 訴状、小鹿島更生園・台湾楽生院補償請求弁護団 http://nanohana.html[...] 2004-08-23
[2] 웹사이트 小鹿島更生園の元入所者に対する補償金の支給決定|ハンセンボランティア「ゆいの会」 https://hansenvolunt[...] 2021-12-02
[3] 웹인용 국립소록도병원 정보 http://www.hira.or.k[...]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6-06-02
[4] 웹인용 보건복지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http://www.law.go.kr[...] 대한민국 법제처 2016-06-02
[5] 웹인용 병원조직 https://web.archive.[...]
[6] 문서
[7] 문서
[8] 문서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