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굴목(Ostreida)은 이매패강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비엘레, 카터, 코안이 2010년에 제안한 이매패류 분류 체계에 포함된다. 굴상과 아래에 주름굴과와 굴과를 포함하며, 가리비아목, 굴아목, 네즈미노테상과, 이시가키상과, 납작조개상과 등을 하위 분류로 가진다. 굴은 한국에서 중요한 수산 자원으로 굴과에 속하며, 남해안 지역에서 대량 양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굴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학문 분야 | 생물학 |
계 | 동물계 |
문 | 연체동물문 |
강 | 이매패강 |
아강 | 익형아강 |
목 | 굴목 |
학명 | Ostreida |
명명자 | Fërussac, 1822 |
하위 분류군 계층 | 과 |
하위 분류군 | 굴과 Gryphaeidae |
2. 2010년 분류
2010년 비엘레(Bieler)와 카터(Carter) 그리고 코안(Coan)은 이매패류의 분류 체계를 개정하면서 굴목을 포함한 이매패강에 대한 새로운 분류 체계를 제안했다.[3][1]
- 굴상과 (Ostreoidea)
- * 주름굴과 (Gryphaeidae)
- * 굴과 (Ostreidae)
3. 하위 분류
가리비아목과 굴아목으로 나뉜다. 가리비아목은 가리비, 부채조개 등을 포함하며, 굴아목은 2010년 비엘레(Bieler), 카터(Carter), 코안(Coan)이 제안한 새로운 분류 체계에 포함되었다.[1] 굴아목에는 이시가키상과(Dimyoidea), 굴상과(Ostreoidea), 네즈미노테상과(Plicatuloidea)가 속한다.
- 가리비아목
- * 가리비상과 (Pectinoidea)
- ** Entoliidae 과
- ** 가리비과
- ** Propeamussiidae 과
- ** 가시조개과
- ** Syncyclonemidae 과
- * 납작조개상과 (Anomioidea)
- ** 납작조개과
- ** 창조개과
- 굴아목
- * 이시가키상과(Dimyoidea)
- ** 이시가키과 (Dimyidae)
- * 굴상과(Ostreoidea)
- ** 주름굴과 (Gryphaeidae)
- ** 굴과 (Ostreidae)
- ** 베코가키과 (Gryphaeidae)
- ** 토사카가키아과 (Lophinae)
- ** 굴아과 (Ostreinae)
- * 네즈미노테상과(Plicatuloidea)
- ** 네즈미노테과(Plicatulidae)
3. 1. 가리비아목
가리비아목은 가리비, 부채조개 등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가리비상과 (Pectinoidea)
- * Entoliidae 과
- * 가리비과
- * Propeamussiidae 과
- * 가시조개과
- * Syncyclonemidae 과
- 납작조개상과 (Anomioidea)
- * 납작조개과
- ** 납작조개아과
- ** 아과
- * 창조개과
3. 1. 1. 가리비상과 (Pectinoidea)
wikitext- 가리비상과(Pectinoidea)
- * Entoliidae 과
- ** Pectinellala
- * 가리비과(Pectinidae)
속 |
---|
가리비속(Pecten (bivalve)) (Pectenla) |
Aequipectenla |
둥근가리비속(Amusium) (Amusiumla) |
Anguipectenla |
Annachlamysla |
Argopectenla |
Bractechlamysla |
Chlamysla |
Coralichlamysla |
Cryptopectenla |
Decatopectenla |
Delectopectenla |
Equichlamysla |
Excellichlamysla |
Flexopectenla |
Glorichlamysla |
Gloripalliumla |
Haumeala |
Hyalopectenla |
Juxtamusiumla |
Lissopectenla |
Mesopeplumla |
Mimachlamysla |
Minnivolala |
Mirapectenla |
Nodipectenla |
Notochlamysla |
Patinopectenla |
Pedumla |
Pseudohinnitesla |
Semipalliumla |
Serratovolala |
Somalipectenla |
Talochlamysla |
Veprichlamysla |
Volachlamysla |
- * 과
- * 가시조개과(Spondylidae)
- ** 가시조개속(Spondylus) (Spondylusla)
- * 과
- ** Cyclochlamysla
- ** Cyclopectenla
- ** Parvamussiumla
- ** Propeamussiumla
- ** Similipectenla
3. 1. 2. 납작조개상과 (Anomioidea)
납작조개과는 얇고 납작한 껍데기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3. 2. 굴아목
굴아목은 2010년 비엘레(Bieler), 카터(Carter), 코안(Coan)이 이매패강 분류를 수정하면서 제안한 새로운 분류 체계에 포함되었다.[1] 굴아목에는 이시가키상과(Dimyoidea), 굴상과(Ostreoidea), 네즈미노테상과(Plicatuloidea)가 속한다.3. 2. 1. 굴상과 (Ostreoidea)
2010년 비엘레(Bieler)와 카터(Carter) 그리고 코안(Coan)은 출판된 이매패류의 분류 체계에서 굴목을 포함한 이매패강 분류를 개정하여, 이매패류에 관한 새로운 분류 체계를 제안했다.[3]- 굴상과 (Ostreoidea)
- 주름굴과 (Gryphaeidae)
- 굴과 (Ostreidae)
- 베코가키과 (Gryphaeidae) - Hyotissala, Neopycnodontela, Parahyotissala, Pycnodontela
- 굴과 (Ostreidae)
- Crassostreinaela 아과 - Crassostreala, Saccostreala, Striostreala
- 토사카가키아과 (Lophinae) - 토사카가키속 Lophala, Alectryonellala, Anomiostreala, Dendostreala
- 굴아과 (Ostreinae) - 굴속 Ostreala, Booneostreala, Nanostreala, Planostreala, Pretostreala, Pustulostreala, Tiostreala
3. 2. 2. 이시가키상과 (Dimyoidea)
이시가키과 (Dimyidae) - 이시가키속 (Dimya)3. 2. 3. 네즈미노테상과 (Plicatuloidea)
네즈미노테과(Plicatulidae) - 네즈미노테속(Plicatula)참조
[1]
서적
Classification of Bivalve families
Malacologia
2010
[2]
간행물
Ostreoida
2010-07-09
[3]
서적
Classification of Bivalve families
Malacologia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