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권태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권태하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육상 선수로,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마라톤 종목에 출전하여 9위를 기록했다. 청주 출신으로 일본 유학 후 메이지 대학을 졸업했으며, 하코네 역전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올림픽 이후에는 미국 유학을 거쳐 조선 육상계에 기여했으며, 손기정을 다음 올림픽 후보로 추천하기도 했다. 광복 후에는 조선 마라톤 보급회 위원장을 맡았고, 대한육상경기연맹 회장을 역임하며 대한민국 육상 발전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육상 감독 - 이진일
    이진일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로, 800m가 주 종목이며 올림픽 참가, 세계 주니어 선수권 은메달, 아시안 게임 금메달 2회와 도핑 파문, 복귀 후 아시안 게임 금메달, 코치 활동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 대한민국의 육상 감독 - 김재룡 (육상 선수)
    김재룡은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한국 마라톤의 황금기를 이끈 육상 선수로, 1987년 동아마라톤 한국 신기록 수립, 1991년 동아마라톤 우승,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10위, 1993년 슈투트가르트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4위, 1994년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5위 등을 기록하며 국가대표로 활약했다.
  • 일제강점기의 육상 선수 - 손기정
    손기정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이자 체육인으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일본 대표로 출전해야 했으며, 광복 후에는 육상 지도자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체육 발전에 기여했다.
  • 일제강점기의 육상 선수 - 남승룡
    남승룡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시대의 마라톤 선수이자 육상 지도자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전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그의 삶은 드라마와 영화로도 다뤄졌다.
  • 대한민국의 남자 마라톤 선수 - 손기정
    손기정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육상 선수이자 체육인으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나 일본 대표로 출전해야 했으며, 광복 후에는 육상 지도자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체육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남자 마라톤 선수 - 남승룡
    남승룡은 일제강점기와 대한민국 시대의 마라톤 선수이자 육상 지도자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전남대학교 교수를 역임했으며, 그의 삶은 드라마와 영화로도 다뤄졌다.
권태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32년 올림픽에서의 권태하
출생일1906년 6월 2일
출생지충청북도 청주시
사망일1971년 10월 10일 (65세)
신장1.65m
체중54kg
종목마라톤
개인 최고 기록2:35:12 (1932년)
인물 정보 (한글)
이름 (한글)권태하
인물 정보 (로마자)
이름 (로마자)Kwon Tae-ha
인물 정보 (한자)
이름 (한자)權泰夏
인물 정보 (일본어)
이름 (히라가나)ごん たいか
이름 (가타카나)クォン・テハ
경력
직업육상 선수, 육상 감독
학력충주교현공립보통학교

2. 인물·생애

권태하는 충청도 청주의 유복한 집안 출신으로, 경성 (현: 서울)의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 일본으로 유학, 리츠메이칸 중학교를 거쳐 메이지 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3]

광복 후에는 대한민국에 거주하며, 김은배, 손기정, 남승룡과 함께 "조선 마라톤 보급회"[2]를 조직하여 위원장을 맡았으며, 이 단체는 한국 전쟁으로 해산되었다.[2] 1961년에는 대한육상경기연맹 회장에 취임하는 등 육상 경기 관련 직책을 역임했다.[2]

2. 1. 학창 시절 및 선수 경력

권태하는 충청북도 청주시의 유복한 집안에서 태어났다. 서울특별시의 휘문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 일본 리츠메이칸 중학교를 거쳐 메이지 대학 법학부에 입학했다.[3] 메이지 대학 시절에는 하코네 역전 경주에 1927년부터 매년 출전하여 뛰어난 기량을 선보였다. 1928년에는 4구간, 1930년에는 7구간에서 구간 신기록을 세우며 구간상을 수상했고, 럭비 선수로도 활동했다.[3]

1932년 메이지 대학 졸업 후에는 경성부에서 양정고등보통학교 선수들과 함께 훈련했다.[3] 같은 해 5월 8일,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마라톤 조선 예선에서 2시간 35분 12초의 기록으로 첫 마라톤 출전임에도 우승을 차지했다.[3] 5월 25일 도쿄에서 열린 최종 예선에서도 2시간 36분 50초로 우승하며,[4] 김은배, 복싱의 황을수와 함께 조선인 최초의 올림픽 대표 선수로 선발되었다.[5]

올림픽 본선에서는 무더운 날씨 속에 9위를 기록했다.[5] 골인 지점인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체력이 다해, 골인 지점 10m 앞에서 움직일 수 없게 되었다.[5] 관중들의 응원 속에, 스태프의 도움을 받기 직전 권태하는 마지막 힘을 짜내 걸었고, 골인과 동시에 쓰러져 들것에 실려 갔다.[5] 이 모습은 관중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고, 현지 언론에서도 입상한 쓰다 세이이치로나 김은배보다 더 크게 보도되었다.[5] 대일본체육협회의 『제10회 올림픽 대회 보고서』에도 이 모습이 상세히 기록되었다.[5]

2. 2. 올림픽 이후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이후, 마라톤 대표팀 코치였던 쓰다 세이이치로와의 불화로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에 유학하여 체육학을 전공했다.[3] 유학 중에도 조선 육상계에 관심을 가졌으며, 1933년에는 양정고보에 재학 중이던 손기정을 "다음 올림픽 후보"로 추천하는 편지를 보냈다.[4] 손기정은 훗날 이 편지가 마라톤에 매진하는 계기가 되었다고 회고했다.[4]

1936년 베를린 올림픽을 앞두고 손기정남승룡이 대표 선수로 확정된 후, 코치로 선임된 쓰다 세이이치로에 대해 "승리하기 위해서는 코치에서 제외해야 한다"라는 논설을 조선 신문에 투고했다.[5] 또한 오다 미키오손기정, 남승룡 등에게도 같은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5] 손기정남승룡도 쓰다에게 의문을 제기했고, 결국 쓰다는 코치직을 사임했다. 쓰다 본인은 병으로 인해 사임했다고 회고했으며, 대일본체육협회의 베를린 올림픽 보고서에서도 병으로 인한 사임으로 기록되어 있다.[1] 손기정남승룡은 베를린 올림픽에서 각각 금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하여, 권태하의 안목과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

3. 해방 이후 활동 및 대한민국 육상 발전에 기여

해방 후, 김은배, 손기정, 남승룡과 함께 "조선 마라톤 보급회"[2]를 조직하여 위원장을 맡았다. 이 단체는 한국 전쟁으로 인해 해산되었다.[2] 1961년에는 대한육상경기연맹 회장에 취임하여 대한민국 육상 발전에 기여했다.[2]

4. 평가 및 의의

권태하는 일제강점기 조선의 육상 선수로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불굴의 의지로 올림픽에 출전하여 조선 민족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었다.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마라톤에 조선 대표로 출전하여 9위를 기록했는데, 골인 지점 10m 앞에서 탈진했지만 관중들의 응원 속에 마지막 힘을 짜내 결승선을 통과하는 모습은 큰 감동을 주었다.[1]

해방 이후에는 대한민국 육상 발전을 위해 헌신했다. 김은배, 손기정, 남승룡과 함께 조선 마라톤 보급회[2]를 조직하고 위원장을 맡았으며, 1961년에는 대한육상경기연맹 회장에 취임하는 등 육상 경기 관련 요직을 역임했다.[2]

그의 도전 정신과 스포츠맨십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특히, 1933년에는 손기정을 "다음 올림픽 후보"로 추천하는 등 후진 양성에도 힘썼으며,[1]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손기정과 남승룡이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도록 지원했다.

참조

[1] 서적 第11回オリンピック大会報告書 1937
[2] 웹사이트 권태하(權泰夏) http://encykorea.aks[...] 2022-02-20
[3] 웹인용 Taika Gon https://web.archive.[...] SR/Olympic Sports 2011-07-11
[4] 백과사전 권태하 http://people.aks.ac[...]
[5] 백과사전 권태하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