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그리고리 네우이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고리 네우이민은 러시아의 천문학자이다. 1910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하고 풀코보 천문대에서 연구 활동을 했다. 74개의 소행성을 발견했으며, 주요 발견 소행성으로 951 가스프라, 762 풀코바 등이 있다. 또한 6개의 목성족 혜성과 쌍곡선 혜성 C/1914 M1 (네우이민)을 발견했다. 러시아 천문학회와 태평양 천문학회로부터 상과 메달을 수여받았으며, 1945년 노동 적기 훈장을 받았다. 달의 네우이민 크레이터와 소행성 1129 네우이미나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천문학자 - 조지 가모프
    조지 가모프는 알파 붕괴, 빅뱅 우주론, DNA 유전 암호 해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알파-베타-감마 이론을 발표하고 우주 배경 복사를 예측했으며, 과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러시아의 천문학자 - 이고리 드미트리예비치 노비코프
    이고리 드미트리예비치 노비코프는 블랙홀 및 일반 상대성 이론 연구에 공헌한 천체물리학자로, 러시아 우주 연구소 과장을 거쳐 코펜하겐 대학교 천문대 교수로 재직하며 블랙홀 연구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2023년 존 아치볼드 휠러 상을 수상했다.
  • 소련의 천문학자 - 야코프 젤도비치
    야코프 젤도비치는 소련의 물리학자, 천체물리학자로서 핵무기 개발에 참여했으며, 핵연쇄반응 이론, ZND 이론, 수냐예프-젤도비치 효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 소련의 천문학자 - 조지 가모프
    조지 가모프는 알파 붕괴, 빅뱅 우주론, DNA 유전 암호 해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으며, 알파-베타-감마 이론을 발표하고 우주 배경 복사를 예측했으며, 과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혜성 발견자 - 샤를 메시에
    샤를 메시에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 혜성 발견과 메시에 천체 목록을 만들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려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에 이름이 붙여졌다.
  • 혜성 발견자 - 하인리히 올베르스
    하인리히 올베르스는 독일의 의사이자 천문학자로, 팔라스와 베스타 두 소행성을 발견하고 혜성 궤도 계산법을 개발했으며, 올베르스의 역설을 제시하여 우주론 연구에 기여했다.
그리고리 네우이민
기본 정보
본명그리고리 니콜라예비치 네우이민
로마자 표기Grigori Nikolaevich Neujmin
출생일1886년 1월 3일 (구력 1885년 12월 22일)
사망일1946년 12월 17일
직업천문학자
국적
국적러시아 제국 (출생 시)
소련
분야
분야천문학
활동
활동 기관시메이즈 천문대
풀코보 천문대
업적
소행성 발견74개 (목록은 아래 참조)
발견한 소행성 목록
748 시메이자1913년 3월 14일
751 파이나1913년 4월 28일
752 슬라미티스1913년 4월 30일
753 티플리스1913년 4월 30일
762 풀코바1913년 9월 3일
768 슈트루비나1913년 10월 4일
769 타티야나1913년 10월 6일
779 니나1914년 1월 25일
780 아르메니아1914년 1월 25일
781 카르트벨리아1914년 1월 25일
787 모스크바1914년 4월 20일
789 레나1914년 6월 24일
791 아니1914년 6월 29일
814 타우리스1916년 1월 2일
824 아나스타시아1916년 3월 25일
825 타니나1916년 3월 27일
829 아카데미아1916년 8월 25일
830 페트로폴리타나1916년 8월 25일
847 아그니아1915년 9월 2일
848 인나1915년 9월 5일
877 발퀴레1915년 9월 13일
882 스베틀라나1917년 8월 15일
916 아메리카1915년 8월 7일
917 리카1915년 9월 5일
951 가스프라1916년 7월 30일
952 차이아1916년 8월 27일
1075 헬리나1926년 9월 29일
1099 피그네리아1928년 9월 13일
1110 야로슬라바1928년 8월 10일
1123 샤플레야1928년 9월 21일
1135 콜키스1929년 10월 3일
1137 라이사1929년 10월 27일
1140 크림1929년 12월 30일
1146 비알미아1929년 5월 7일
1147 스타브로폴리스1929년 6월 11일
1158 류다1929년 8월 31일
1189 테렌티아1930년 9월 17일
1190 펠라기아1930년 9월 20일
1202 마리나1931년 9월 13일
1210 모로조피아1931년 6월 6일
1236 타이스1931년 11월 6일
1255 실로바1932년 7월 8일
1269 롤란디아1930년 9월 20일
1271 이젤기나1931년 10월 10일
1277 돌로레스1933년 4월 18일
1289 쿠타이시1933년 8월 19일
1306 스키티아1930년 7월 22일
1307 킴메리아1930년 10월 17일
1309 히페르보레아1931년 10월 11일
1316 카잔1933년 11월 17일
1331 솔베이그1933년 8월 25일
1347 파트리아1931년 11월 6일
1351 우즈베키스타니아1934년 10월 5일
1379 로모노소바1936년 3월 19일
1386 스트렐리아1935년 7월 28일
1403 이델소니아1936년 8월 13일
1434 마르고트1936년 3월 19일
1459 마그니아1937년 11월 4일
1484 포스트레마1938년 4월 29일
1590 치올콥스카야1933년 7월 1일
1603 네바1926년 11월 4일
1653 야혼토비아1937년 8월 30일
1671 차이카1934년 10월 3일
1692 스보티나1936년 8월 16일
1725 CrAO1930년 8월 20일
1734 존골로비치1928년 10월 11일
1783 알비츠키1935년 3월 24일
2166 한다르1936년 8월 13일
2237 멜니코프1938년 10월 2일
2484 파레나고1928년 10월 7일
2536 코지레프1939년 8월 15일
3036 클라트1937년 10월 11일
3761 로만스카야1936년 7월 25일
4420 알 안드레예프1936년 8월 15일
명명
1129 네우이미나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
참고 자료
참고 자료발견된 소행성 목록

2. 생애 및 경력

러시아 제국 트빌리시에서 태어났다. 1910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하고 풀코보 천문대에서 근무했다. Русское астрономическое обществоru에서 학회상을,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영어에서 메달 6개를 받았다. 1945년 6월 10일 소련으로부터 노동 적기 훈장을 받았다.

2. 1. 초기 생애

러시아 제국 트빌리시에서 태어났다.[1] 1910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하고 풀코보 천문대에 소속되었다.[1]

2. 2. 학업 및 연구 활동

1910년에 상트페테르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하고 풀코보 천문대에서 연구 활동을 하였다.

3. 발견

소행성 센터는 그의 발견을 "G. N. 네우이민"이라는 이름으로 기록하며, 문헌에서도 그의 성이 이와 같이 표기된다. 그러나 현대 영어식 표기로는 네우이민(Neuymin)이 된다.

네우이민은 74개의 소행성과 6개의 목성족 혜성을 발견하거나 공동 발견했다.

3. 1. 소행성

네우이민은 74개의 소행성을 발견했다. 그가 발견한 주요 소행성은 다음과 같다.

  • 951 가스프라[1]
  • 762 풀코바
  • 748 시메이사
  • 751 파이나
  • 752 술라미티스
  • 753 티플리스
  • 768 스트루베아나
  • 769 타티야나
  • 779 니나
  • 780 아르메니아
  • 781 카르트벨리아
  • 787 모스크바
  • 789 레나
  • 791 아니

3. 2. 혜성

네우이민은 목성족 혜성 6개를 발견하거나 공동 발견했다. 그가 발견한 혜성은 다음과 같다.

  • 25D/네우이민
  • 28P/네우이민
  • 42P/네우이민
  • 57P/뒤 투아-네우이민-델포르트 (A 조각 포함)
  • 58P/잭슨-네우이민
  • 쌍곡선 혜성 C/1914 M1 (네우이민)

4. 수상 및 영예

러시아 천문학회 학회상과 태평양 천문학회 메달 6개를 수여받았다. 1945년 6월 10일 소련으로부터 노동 적기 훈장을 수여받았다. 달의 네우이민 크레이터와 프라스코비야 파르코멘코가 발견한 1129 네우이미나 소행성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5. 발견한 소행성 목록

소행성 이름발견 날짜
748 시메이사1913년 3월 14일
751 파이나1913년 4월 28일
752 술라미티스1913년 4월 30일
753 티플리스1913년 4월 30일
762 풀코바1913년 9월 3일
768 스트루베아나1913년 10월 4일
769 타티야나1913년 10월 6일
779 니나1914년 1월 25일
780 아르메니아1914년 1월 25일
781 카르트벨리아1914년 1월 25일
787 모스크바1914년 4월 20일
789 레나1914년 6월 24일
791 아니1914년 6월 29일
814 타우리스1916년 1월 2일
824 아나스타시아1916년 3월 25일
825 타니나1916년 3월 27일
829 아카데미아1916년 8월 25일
830 페트로폴리타나1916년 8월 25일
847 아그니아1915년 9월 2일
848 인나1915년 9월 5일
877 발퀴레1915년 9월 13일
882 스베틀라나1917년 8월 15일
916 아메리카1915년 8월 7일
917 리카1915년 9월 5일
951 가스프라1916년 7월 30일
952 카이아1916년 10월 27일
1075 헬리나1926년 9월 29일
1099 피게르니아1928년 9월 13일
1110 야로슬라와1928년 8월 10일
1123 셰플레야1928년 9월 21일
1135 콜키스1929년 10월 3일
1137 라이사1929년 10월 27일
1140 크리미아1929년 12월 30일
1146 비아르미아1929년 5월 7일
1147 스타브로폴리스1929년 6월 11일
1158 루다1929년 8월 31일
1189 테렌티아1930년 9월 17일
1190 펠라기아1930년 9월 20일
1202 마리나1931년 9월 13일
1210 모로소비아1931년 6월 6일
1236 타이스1931년 11월 6일
1255 실로와1932년 7월 8일
1269 롤란디아1930년 9월 20일
1271 이세르기나1931년 10월 10일
1277 돌로레스1933년 4월 18일
1289 쿠타이시1933년 8월 19일
1306 스키티아1930년 7월 22일
1307 키메리아1930년 10월 17일
1309 히페르보레아1931년 10월 11일
1316 카잔1933년 11월 17일
1331 솔베이그1933년 8월 25일
1347 파트리아1931년 11월 6일
1351 우즈베키스타니아1934년 10월 5일
1379 로모노소바1936년 3월 19일
1386 스토레리아1935년 7월 28일
1403 이델소니아1936년 8월 13일
1434 마르고1936년 3월 19일
1459 마그냐1937년 11월 4일
1484 포스트레마1938년 4월 29일
1590 치올코프스카야1933년 7월 1일
1603 네바1926년 11월 4일
1653 야콘토비아1937년 8월 30일
1671 차이카1934년 10월 3일
1692 수보티나1936년 8월 16일
1725 CrAO1930년 9월 20일
1734 종골로비치1928년 10월 11일
1783 알비츠키1935년 3월 24일
2166 한달1936년 8월 13일
2237 멜니코프1938년 10월 2일
2484 파레나고1928년 10월 7일
2536 코지레프1939년 8월 15일
3036 크라트1937년 10월 11일
3761 로만스카야1936년 7월 25일
4420 알란드레프1936년 8월 15일


참조

[1] 간행물 What's Dvorak doing on Mercury? https://www.newscien[...] 1994-12-17
[2] 웹사이트 Minor Planet Discoverers https://minorplanetc[...] MPC 2021-07-24
[3] 웹사이트 (1129) Neujmina = 1914 WE = 1926 AE = 1929 PH https://minorplanetc[...] MPC 2021-07-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