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리제 74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글리제 742는 1934년 제럴드 카이퍼에 의해 백색 왜성으로 확인된 천체이다. 다섯 번째 또는 여섯 번째로 발견된 백색 왜성이며, 초기에는 특징 없는 스펙트럼을 보였으나 이후 특이한 흡수 밴드가 발견되었다. 1970년에는 원편광 현상으로 인해 자기장을 가진 최초의 백색 왜성으로 밝혀졌으며, 1980년대에는 이 흡수 밴드가 수소 흡수선의 제만 효과로 설명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색왜성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백색왜성 - 프로키온
프로키온은 작은개자리에 있는 밝은 쌍성계로, F형 주계열성 단계를 거의 마친 주성 프로키온 A와 백색 왜성인 프로키온 B로 이루어져 밤하늘에서 여덟 번째로 밝게 보이며 여러 문화권에서 숭배받고 과학적으로 연구되는 별이다. - 용자리 - 스트루베 2398
스트루베 2398은 HD 173739(스트루베 2398 A, 글리제 725 A)와 HD 173740(스트루베 2398 B, 글리제 725 B)로 이루어진 이중성계입니다. - 용자리 - 엘타닌
엘타닌은 용자리에 있는 분광형 K5 III의 거성으로, 태양보다 질량과 반지름이 크며 다른 별을 분류하는 기준점으로 사용되어 왔고, 광행차 현상 발견과 자코비니 유성군 복사점 위치와 관련이 있으며, 아랍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미국 해군 함선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 글리제 천체 - 시리우스
시리우스는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로, 8.6광년 거리에 있는 쌍성계이며, 고대 이집트에서 나일 강 범람 예측에 중요했고, 여러 문화권에서 신화와 전설의 중심이 되었으며, 색깔에 대한 역사적 논쟁과 에드먼드 핼리의 고유 운동 관측으로 알려져 과학과 대중문화에 널리 사용된다. - 글리제 천체 - HD 140283
HD 140283은 "메투셀라 항성"으로도 불리는 오래된 저금속성 항성으로, 추정 나이가 우주의 나이와 비슷하여 논란이 있으며, 왜소은하에서 기원했을 가능성과 낮은 금속 함량을 특징으로 하지만, 나이 측정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최근 연구들은 우주의 나이와의 모순을 줄이는 방향으로 나이를 재평가하고 있다.
| 글리제 742 | |
|---|---|
| 관측 정보 | |
| 시대 | J2000.0 (ICRS) |
| 별자리 | 용자리 |
| 겉보기 등급 | 13.19 |
| 특징 | |
| B-V 색지수 | +0.05 |
| U-B 색지수 | -0.85 |
| 분광형 | DAP4.5 |
| 측성학 | |
| 고유 운동 (적경) | +85.774 |
| 고유 운동 (적위) | +505.050 |
| 시차 | 77.6525 |
| 시차 오차 | 0.0317 |
| 세부 정보 | |
| 출처 | GJ 742 |
| 질량 | 1.029 |
| 반지름 (km) | 5960 |
| 반지름 (태양반경) | 0.00857 |
| 항성 정보 | |
| 이름 | A.C +70°8247 |
![]() | |
| 별자리 | 용자리 |
| 겉보기 등급 | +13.24 |
| 거리 | 43 ± 2 광년(13.2 ± 0.7 파섹) |
| 연주시차 | 0.076 ± 0.004 초각(76[± 24] ± 4 밀리초) |
| 분광형 | DA;w |
| 질량 | 0.96 ± 0.1 태양질량 |
| 크기 | 0.0073 R⊙ |
| 광도 | 0.028 ± 0.008 L⊙ |
| 표면 온도 | 25,000 ± 200 K |
| 다른 이름 | 글리제 742 GRW +70 8247 AC+70 8247 |
2. 속성
G. P. 카이퍼가 1934년에 이 별을 관측하여 백색 왜성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다섯 번째 또는 여섯 번째로 발견된 백색 왜성이다.[6] 1970년, 이 별에서 방출되는 빛이 원편광을 띠는 것이 관측되어 자기장을 가진 최초의 백색 왜성으로 알려졌다.[12][13] 1980년대에는 이 별의 특이한 흡수 밴드가 수소 흡수선이 제만 효과에 의해 이동된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14][15][16]
2. 1. 발견 및 초기 관측
19세기 Carte du Ciel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사진이 촬영되었지만, 이 별이 백색 왜성으로 밝혀진 것은 1934년에 G. P. 카이퍼가 관측한 이후였다.[6] 이는 다섯 번째 또는 여섯 번째로 발견된 백색 왜성이다. 처음에는 그 스펙트럼이 거의 특징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었지만,[6] 이후 관측을 통해 특이한 넓고 얕은 흡수 밴드가 있음이 밝혀졌다.[10][11]2. 2. 특이한 흡수 밴드와 자기장 발견
이후 관측에서 특이하고 넓고 얕은 흡수 밴드가 발견되었다.[10][11] 1970년, 이 별이 방출하는 빛이 원편광을 띠는 것이 관측되어 자기장을 가진 최초의 백색왜성으로 확인되었다.[12][13] 1980년대, 특이한 흡수 밴드는 수소 흡수선이 제만 효과에 의해 이동된 것으로 설명되었다.[14][15][16]3. 한국의 관점
글리제 742는 한국에서 관측 가능한 별이지만, 이와 관련된 특별한 한국의 관점이나 역사적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다.
참조
[1]
간행물
2262849634963004416
[2]
웹사이트
LAWD 73
2007-11-05
[3]
논문
Compilation of Eggen's UBV data, transformed to UBV (unpublished)
http://cdsads.u-stra[...]
1986
[4]
논문
An atlas of optical spectra of white-dwarf stars
[5]
웹사이트
GJ 742
https://www.montreal[...]
2024-05-30
[6]
논문
Two New White Dwarfs of Large Parallax
http://adsabs.harvar[...]
1934-10
[7]
논문
Some new members of the Hyades cluster
http://adsabs.harvar[...]
1934-04
[8]
논문
Zwei weiße Zwerge unter den physischen Hyadenmigliedern
http://adsabs.harvar[...]
1938-05
[9]
논문
List of Known White Dwarfs
http://adsabs.harvar[...]
1941-08
[10]
논문
Annual Report of the Director of the Mount Wilson Observatory (1937-1938)
http://adsabs.harvar[...]
1938
[11]
논문
Studies of the White Dwarfs. I. Broad Features in White Dwarf Spectra
http://adsabs.harvar[...]
1957-07
[12]
논문
Discovery of Circularly Polarized Light from a White Dwarf
http://adsabs.harvar[...]
1970-08
[13]
논문
The Spectral Dependence of Circular Polarization in Grw+70°8247
1972
[14]
논문
Further identifications of hydrogen in Grw +70°8247
http://adsabs.harvar[...]
1985-02-15
[15]
논문
The optical spectrum of hydrogen at 160-350 million gauss in the white dwarf Grw +70°8247
http://adsabs.harvar[...]
1985-05-01
[16]
논문
A centered dipole model for the high field magnetic white dwarf GRW +70°8247
http://adsabs.harvar[...]
1988-04-01
[17]
논문
Two New White Dwarfs of Large Parallax
http://adsabs.harvar[...]
1934-10
[18]
논문
Some new members of the Hyades cluster
http://adsabs.harvar[...]
1934-04
[18]
논문
Zwei weiße Zwerge unter den physischen Hyadenmigliedern
http://adsabs.harvar[...]
1938-05
[18]
논문
List of Known White Dwarfs
http://adsabs.harvar[...]
1941-08
[19]
논문
Annual Report of the Director of the Mount Wilson Observatory (1937-1938)
http://adsabs.harvar[...]
1938
[20]
논문
Studies of the White Dwarfs. I. Broad Features in White Dwarf Spectra
http://adsabs.harvar[...]
1957-07
[21]
논문
Discovery of Circularly Polarized Light from a White Dwarf
http://adsabs.harvar[...]
1970-08
[22]
논문
Further identifications of hydrogen in Grw +70°8247
http://adsabs.harvar[...]
1985-02-15
[23]
논문
The optical spectrum of hydrogen at 160-350 million gauss in the white dwarf Grw +70°8247
http://adsabs.harvar[...]
1985-05-01
[24]
논문
A centered dipole model for the high field magnetic white dwarf GRW +70°8247
http://adsabs.harvar[...]
1988-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