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불초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금불초족은 국화과의 한 족으로, 금불초아족과 플루케아아족으로 구성된다. 금불초아족은 금불초속을 포함한 여러 속을 포함하며, 플루케아아족은 담배풀속을 포함한 여러 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2년 4월 현재 Global Compositae Database에서 인정하는 금불초족의 속 목록이 존재하며, 계통 분류 연구에 따르면 국화아과에 속하며, 여러 다른 족들과 자매군 관계를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금불초족 - 담배풀
담배풀은 7월에서 9월 사이 흰색 또는 연한 보라색 꽃을 피우는 여러해살이풀로,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대한민국 중부 이남 지역에서 자생하고 어린 잎은 식용, 뿌리와 잎은 약용으로 사용된다. - 1819년 기재된 식물 - 길뚝개꽃족
길뚝개꽃족은 국화과의 하위 분류군으로 왜떡쑥족과 함께 참취족과 자매 관계이며, 국화아과 내에서 특정한 계통학적 위치를 차지하는 다양한 아족과 속을 포함한다. - 1819년 기재된 식물 - 해바라기족
해바라기족은 국화과의 큰 족으로, 해바라기, 돼지감자, 금계국, 코스모스 등 다양한 식물들을 포함하며 돼지풀과 같은 문제성 잡초도 속해 있고, 분류학적 연구가 진행 중이다.
금불초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금불초족 | |
![]() | |
분류 정보 | |
학명 | Inuleae |
명명자 | Cass. |
하위 분류 | 본문 참조 |
2. 하위 분류
금불초족에는 금불초아족(Inulinae)과 플루케아아족(Plucheinae) 등의 아족이 있다.[3][4]
아족 이름 | 속(屬) 수 |
---|---|
금불초아족(Inulinae) | 27개 |
플루케아아족(Plucheinae) | 35개 |
2. 1. 금불초아족 (Inulinae)
금불초속(''Inula'' L.)- ''Allagopappus'' Cass.
- ''Anvillea'' DC.
- ''Asteriscus'' Moench
- ''Blumea'' DC.
- ''Buphthalmum'' L.
- ''Caesulia'' Roxb.
- ''Chiliadenus'' Cass.
- ''Chrysophthalmum'' Phil.
- ''Dittrichia'' Greuter
- ''Duhaldea'' DC.
- ''Ighermia'' Wiklund
- ''Iphiona'' Cass.
- ''Jasonia'' Cass.
- ''Lifago'' Schweinf. & Muschl.
- ''Limbarda'' Adans.
- ''Merrittia'' Merr.
- ''Nanothamnus'' Thomson
- ''Pallenis'' (Cass.) Cass.
- ''Pentanema'' Cass.
- ''Perralderia'' Coss.
- ''Pulicaria'' Gaertn.
- ''Rhanteriopsis'' Rauschert
- ''Rhanterium'' Desf.
- ''Schizogyne'' Cass.
- ''Telekia'' Baumg.
- ''Vicoa'' Cass.
- ''Vieraea'' Sch.Bip.[3]
2. 2. 플루케아아족 (Plucheinae)
3. 속 목록 (Genera)
Inuleaela족에 속하는 속 목록은 다음과 같다.[1]
금불초아족(Inulinae) | 플루케아아족(Plucheinae) |
---|---|
| |
4. 계통 분류
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5] 2014년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6][7][8] 금불초족은 국화아과에 속하는 하나의 족이다.
4. 1. 2002년 파네로와 펑크 연구
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한[5]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4. 2. 2014년 갱신된 계통 분류
다음은 2002년 파네로와 펑크(Panero & Funk)의 연구에 기초하고[5] 2014년 갱신된 국화과의 계통 분류이다.[6][7][8]{| class="wikitable"
|-
! 국화아과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금잔화족
|-
|
{| class="wikitable"
|-
| 왜떡쑥족
|-
|
|}
|}
|-
|
{| class="wikitable"
|-
| '''금불초족'''
|-
|
{| class="wikitable"
|-
| 아트로이스마족
|-
|
{| class="wikitable"
|-
| 페데아족
|-
|
{| class="wikitable"
|-
| 헬레니움족
|-
|
|}
|}
|}
|}
|}
|}
참조
[1]
웹사이트
Inuleae Cass.
https://web.archive.[...]
Compositae Working Group (CWG)
2022-04-05
[2]
간행물
Journal de Physique, de Chimie, d'Histoire Naturelle et des Arts
[3]
간행물
Florula belgica, opera majoris prodromus, auctore ...
[4]
간행물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5]
저널
Toward a phylogenetic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Compositae (Asteraceae)
https://www.biodiver[...]
[6]
저널
Resolution of deep nodes yields an improved backbone phylogeny and a new basal lineage to study early evolution of Asteraceae
https://www.research[...]
2017-01-03
[7]
저널
A comprehensive generic‐level phylogeny of the sunflower family: Implications for the systematics of Chinese Asteraceae
https://www.research[...]
2017-01-23
[8]
서적
Systematics, Evolution, and Biogeography of Compositae
https://botany.si.ed[...]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lant Taxonomy
2016-1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