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뇰은 1808년 리옹에서 로랑 모르게에 의해 창조된 프랑스의 인형극 캐릭터이자, 이 인형극을 통칭하는 이름이다. 기뇰은 원래 가난한 구두 수선공으로 묘사되었으며, 그의 아내 마들롱, 헌병 플라졸레와 같은 등장인물들과 함께 공연을 펼쳤다. 기뇰은 이탈리아의 코메디아 델아르테의 영향을 받아 탄생했으며, 모르게의 가족들에 의해 대를 이어 공연되었다. 20세기에는 어린이용 공연으로 주로 상연되었으며, 오늘날까지 리옹 지역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형극 - 꼭두각시
    꼭두각시는 줄, 손, 막대 등으로 조작하는 인형극을 의미하며,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분류되어 텔레비전, 영화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될 뿐만 아니라, 정치적 은유나 가짜 계정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 인형극 - 춘천인형극제
기뇰
기본 정보
기뇰 공연
파리에서 공연 중인 기뇰
유형인형극 캐릭터
원산지프랑스
창조자로랑 무르게
첫 등장1808년경
성별남성
특징
외모전통적인 리옹 노동자 복장 착용
모자 착용
성격활기차고 장난기 넘침
사회 비판적
주요 등장인물
친구뇨네트
폴리시넬
지방관
기뇰의 역할
역할사회 비판
약자 대변
오락 제공
인기프랑스 문화의 상징
어린이와 어른 모두에게 사랑받는 캐릭터
관련 정보
관련 용어기뇰 극장
기뇰 인형
참고기뇰은 프랑스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사회 비판과 오락을 결합한 독특한 캐릭터로 평가받는다.

2. 역사

로랑 모르게는 1769년 리옹에서 태어났다.[1] 그는 견직물 직공에서 행상으로 변신한 후, 1798년 손님을 끌기 위해 인형극을 시작했다.[4] 1804년에는 인형극을 전업으로 삼아 리옹의 직물업 직공들을 상대로 일상의 사건을 재미있게 전하는 연극으로 인기를 모았다.[4] 당시 견직공들은 저임금으로 가혹한 노동에 시달렸기 때문에, 지배층을 비판하는 신랄하고 통쾌한 기뇰의 연극은 가난한 노동자들을 크게 기쁘게 했다.[4]

기뇰의 원형이 된 인형극은 견직물 무역을 통해 이탈리아에서 프랑스로 전해졌다.[2] 1610년 이탈리아의 조반니 브리오치(Giovanni Briocci)가 견사 집산지로 번성했던 리옹에 이탈리아의 손 인형극 브라티니(burattini)를 들여왔다.[2] 브리오치는 발치사였는데, 손님을 끌기 위해 인형극을 보여주자 큰 인기를 얻어 발치사를 그만두고 인형극 흥행을 전업으로 삼았다.[3]

모르게의 자녀와 손주 16명은 그의 전통을 이어 인형극을 계속했다.[1] 1820년 무르게의 아이들이 흥행을 돕기 시작하여 극단으로 주변을 순회하게 되었고, 1838년에는 리옹에 상설 극장이 만들어졌다.[4]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어른을 위한 공연은 거의 사라지고 어린이용 공연이 전국에서 상연되었다.[4]

기뇰은 사회 풍자 외에도 지역 방언인 parler lyonnais프랑스어 (리옹 방언)의 중요한 보호자가 되었다. 원래는 노동자들의 오락으로 시작되어 어른들을 위한 골계적인 인형극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풍자적인 슬랩스틱 코미디로 인기를 얻었지만, 현재는 어린이들을 위한 오락으로 기뇰이 우스꽝스럽게 악당을 물리치는 권선징악 이야기나 피노키오와 같은 동화가 주요 공연 내용이 되었다.

2. 1. 기뇰의 탄생과 초기 발전 (18세기 후반 ~ 19세기 초)

로랑 모르게는 기뇰의 창시자로, 1769년 3월 3일 리옹의 비단 직공 집안에서 태어났다.[1] 프랑스 혁명으로 비단 산업이 어려워지자, 모르게는 행상과 발치사로 일하며 생계를 유지했다.[1] 1797년(혹은 1798년) 모르게는 환자를 끌기 위해 인형극을 시작했는데,[1] 이는 이탈리아의 코메디아 델아르테와 풀치넬라(영국의 펀치와 주디)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2][3]

1804년, 모르게는 인형극의 성공으로 치과 진료를 그만두고 전업 인형극 배우가 되었다.[1] 그는 리옹 노동자 계층의 관심사를 반영한 시나리오를 직접 쓰고, 당시 뉴스에 대한 즉흥적인 언급을 추가하며 인기를 얻었다.[1] 1808년, 모르게는 포도주를 좋아하는 구두 수선공 그나프롱과 함께, 리옹 관객에게 친숙한 캐릭터인 기뇰을 창조했다.[1] 기뇰의 아내 마들롱, 헌병 플라졸레 등 다른 캐릭터들도 등장했으나,[1] 주로 기뇰과 그나프롱의 조력자 역할에 머물렀다.[1]

플라졸레(왼쪽)와 기뇰(오른쪽).


기뇰은 원래 비단 직공이었지만, 극중 상황에 따라 집사, 행상, 목수, 구두 수선공 등으로 직업이 바뀌었다. 결혼 여부도 마들롱의 남편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그녀에게 반한 구혼자가 되기도 하는 등 유동적이었다. 변하지 않는 것은 가난함 속에서도 유머와 정의감을 잃지 않는 기뇰의 모습이었다.[1]

2. 2. 무르게 가문의 활동과 기뇰의 대중화 (19세기 초 ~ 20세기 초)

로랑 모르게의 자녀와 손주 16명이 그의 전통을 이어받아 인형극을 계속했다.[1] 1820년 무르게의 아이들이 흥행을 돕기 시작하며 극단 형태로 주변 지역을 순회했고,[4] 1838년에는 리옹에 기뇰 상설 극장이 설립되었다.[4]

기뇰은 원래 비단 직공이었으나, 시나리오에 따라 집사, 행상, 목수, 구두 수선공 등 다양한 직업을 가졌다. 가난하지만 유머 감각과 정의감이 넘치는 인물로 묘사되며, 항상 선이 악을 이기는 승리를 보여주었다. 기뇰의 통렬한 풍자는 때로는 어린이용으로 순화되거나 그랜드 오페라를 패러디하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2. 3. 현대의 기뇰 (20세기 후반 ~ 현재)

20세기에 들어서면서 기뇰은 어른을 위한 공연보다는 어린이용 공연으로 주로 상연되었다. 리옹에서는 무르게의 후손들이 카페 극장에서 공연을 이어갔다.[4] 로랑 무르게의 마지막 후손인 장 기 무르게는 2012년 10월 8일, 리옹의 기뇰 극장에서 평생을 일한 후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장 기는 할머니 오귀스틴과 부모님을 돕는 일을 배우면서 일했다. 그는 나중에 사망할 때까지 극장 감독이 되었다.[1] 2008년에는 무르게 가문의 인형 컬렉션을 바탕으로 한 미술관이 리옹 교외의 브란다 마을에 개관했다.[4] 오늘날 기뇰은 전통 공연과 현대 공연 모두 리옹 지역 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리옹 방언(parler lyonnais프랑스어) 보존에도 기여하고 있다.

3. 주요 등장인물

로랑 모르게는 리옹 관객의 일상생활에 더 가까운 캐릭터를 개발했다. 처음에는 포도주를 좋아하는 구두 수선공 그나프롱을, 1808년에는 기뇰을 만들었다. 이후 기뇰의 아내 마들롱과 헌병 플라졸레 등 조력자 역할의 캐릭터들이 등장했다.[1]

원래는 노동자들을 위한 오락으로 시작되어 어른들을 위한 풍자극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현재는 주로 어린이들을 위한 오락으로 공연된다.

3. 1. 기뇰 (Guignol)

기뇰은 원래 관객 대부분처럼 명목상 비단 직공이었지만, 그의 직업은 시나리오에 따라 바뀌었고 결혼 여부도 변했다. 그는 집사, 행상, 목수, 구두 수선공, 또는 실업자로 등장했고, 때로는 마들롱의 남편으로, 때로는 그녀에게 반한 구혼자로 나타났다.[1] 기뇰에게 변하지 않는 것은 가난함이었지만, 더 중요한 것은 그의 유머 감각과 정의감이었다. 프랑스어에서 "guignol"을 "바보"를 의미하는 모욕으로 사용하는 것은 잘못된 표현인데, 기뇰은 실제로는 영리하고 용감하며 관대하기 때문이다. 그의 승리는 항상 선이 악을 이기는 승리였다.[1]

3. 2. 그나프롱 (Gnafron)

로랑 모르게는 리옹 관객의 일상생활에 더 가까운 캐릭터를 개발했는데, 처음에는 포도주를 좋아하는 구두 수선공인 그나프롱이었다.[1] 그나프롱은 기뇰의 친구로, 이 둘은 함께 극을 이끌어가는 주요 인물이다.

3. 3. 마들롱 (Madelon)

기뇰의 아내(혹은 구혼 대상)이다.[1] 기뇰의 직업과 결혼 여부는 시나리오에 따라 바뀌는데, 때로는 마들롱의 남편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마들롱에게 반한 구혼자가 되기도 한다.[1]

3. 4. 플라졸레 (Flageolet)



헌병으로, 기뇰과 그나프롱의 조력자 역할을 한다.[1]

4. 기뇰과 한국의 인형극

기뇰은 프랑스의 전통 인형극으로, 한국의 인형극과 비교할 수 있다. 기뇰은 원래 노동자들의 오락으로 시작되어 어른들을 위한 풍자적인 인형극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현재는 어린이들을 위한 오락으로 변화하였다. 주요 공연 내용은 기뇰이 악당을 물리치는 권선징악 이야기나 피노키오와 같은 동화가 주를 이룬다. 극단이 학교 등을 순회하거나, 공원 등 야외에 설치된 무대에서 공연된다.

4. 1. 꼭두각시놀음과의 비교

기뇰은 원래 노동자들의 오락으로 시작되어 어른들을 위한 골계적인 인형극으로 인기를 얻었다. 풍자적인 슬랩스틱 코미디로 인기를 얻었지만, 현재는 어린이들을 위한 오락으로 기뇰이 우스꽝스럽게 악당을 물리치는 권선징악 이야기나 피노키오와 같은 동화가 주요 공연 내용이 되었다. 이는 한국의 꼭두각시놀음이 서민들의 삶과 애환을 반영하고 사회 현실에 대한 풍자와 해학을 통해 민중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유사하다. 꼭두각시놀음의 박첨지, 홍동지 등의 캐릭터는 기뇰, 그나프롱과 같이 서민을 대표하는 인물로 볼 수 있다.

4. 2. 한국 사회에서 기뇰의 의미

기뇰은 원래 노동자들의 오락으로 시작되어 어른들을 위한 풍자적인 인형극으로 인기를 얻었다. 기뇰은 사회 비판적인 시각과 유머를 통해 권력에 대한 저항과 사회 정의를 추구하는 민중의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에서 민주주의와 사회 정의를 위해 노력하는 시민들의 모습과 연결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Décès du dernier descendant du créateur de Guignol https://www.lepoint.[...] 2012-10-10
[2] 웹사이트 What a show ! http://www.museedela[...]
[3] 논문 ヨーロッパの人形劇について(第1報) : フランスの指人形劇-ギニョール https://doi.org/10.2[...] 夙川学院短期大学
[4] 뉴스 Guignol : fin d’une dynastie http://www.liberatio[...] Liberation 2012-10-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