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셀베르투스 로타링기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셀베르투스 로타링기우스는 10세기 로트링겐의 귀족으로, 로트링겐 왕을 칭했으나 여러 차례 동프랑크 왕국과 서프랑크 왕국에 굴복했다. 그는 939년 안더나흐 전투에서 오토 1세에게 패배하여 도주 중 라인강에 빠져 익사했다. 기셀베르투스는 카롤링거 왕조의 외손이었으며, 하인리히 1세의 딸 게르베르가와 결혼하여 로렌 공작이 되었다. 그의 영지는 오토 1세에 의해 하인리히 1세에게 주어졌고, 게르베르가는 서프랑크의 루이 4세와 재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타링기아 국왕 - 카롤루스 2세 칼부스
    카롤루스 2세 칼부스는 경건왕 루트비히의 아들로 서프랑크 왕국을 다스리며 서로마 황제가 되었으나, 바이킹족 침략과 귀족 반발에 직면했고 이탈리아 원정 중 사망했다.
  • 로타링기아 국왕 -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
    카롤루스 3세 크라수스는 카롤링거 왕조 출신으로 프랑크 황제, 동프랑크와 서프랑크의 왕을 겸하며 샤를마뉴 제국을 일시적으로 재통일했으나, 무능함과 질병, 바이킹 침략 방어 실패로 폐위되어 제국 분열을 초래했다.
  • 로렌 공작 - 르네 2세 드 로렌 공작
    르네 2세 드 로렌 공작은 1473년 로렌 공작이 되어 낭시 전투에서 승리하여 부르고뉴 전쟁을 종식시켰으며, 보데몽 백작과 바르 공작 작위를 상속받고 가문을 번성시킨 인물이다.
  • 로렌 공작 - 프랑수아 1세 드 로렌
    프랑수아 1세 드 로렌은 앙투안 로렌 공작의 장남으로 1544년부터 1545년까지 로렌 공작을 지냈으며, 크리스티나 덴마크 여왕과 결혼하여 샤를 3세를 두었으나 1545년 요절하여 아내가 섭정을 맡았다.
  • 10세기 프랑스 사람 - 위그 카페
    위그 카페는 987년부터 996년까지 프랑크 왕국의 왕으로 재위하며 카페 왕조의 시조가 되었고, 왕위 계승을 위해 아들 로베르 2세를 공동 왕으로 임명하여 카페 왕조 세습의 기반을 다졌다.
  • 10세기 프랑스 사람 - 아르눌푸스 레멘시스
    아르눌푸스 레멘시스는 랭스 대성당 사제이자 랭스 대주교로 임명되었으나, 정치적 격변 속에서 반역을 시도하다 폐위 후 복권되었으며, 이후 정치적 현실에 순응하며 카롤링거 가문의 멸망을 가속화했다.
기셀베르투스 로타링기우스
기본 정보
작위로트링겐 공작
배우자작센의 게르베르가
자녀하인리히
알베라데
헤드비게
게르베르가
가문레니에 가문
아버지레니에 1세
어머니알베라다
사망일939년 10월 2일 (49세)
상세 정보
생년890년경

2. 생애

기셀베르트는 로트링겐의 유력 귀족 가문 출신으로, 부계와 모계 모두 카롤링거 왕조와 연결되는 혈통을 지녔다. 그의 아버지는 레니에 1세였으며, 어머니는 대머리왕 카를 2세의 딸이었다.

아버지 사후 로트링겐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했던 기셀베르트는 920년서프랑크의 왕 샤를 3세로부터 독립하여 로트링겐의 왕을 칭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동프랑크의 왕 하인리히 1세에게 의탁하게 되었다. 924년 그는 서프랑크 왕국에 충성을 맹세했으나, 샤를 3세가 폐위되고 사망하자 925년 로트링겐 귀족들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기도 했다.

그러나 928년 하인리히 1세와의 전쟁에서 패배한 후, 하인리히 1세는 로트링겐을 장악했다. 하인리히 1세는 기셀베르트를 달래기 위해 자신의 딸 게르베르가와 결혼시키고 그를 로트링겐 공작으로 임명했다. 또한 마스트르히트(Maastricht)의 성 세르비우스 대 수도원도 그에게 주었다. 이를 통해 로트링겐은 동프랑크 왕국(훗날의 독일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934년에는 하인리히 1세의 명으로 서프랑크 왕 라울에게 사절로 파견되기도 했다.[2]

936년 하인리히 1세가 사망하고 오토 1세가 왕위를 계승하자, 기셀베르트는 938년 오토 1세의 동생 하인리히가 일으킨 반란에 프랑켄 대공 에버하르트와 함께 가담했다. 동시에 서프랑크 왕 루이 4세에게 귀순하고 지원을 요청하며 오토 1세에게 대항했다.

939년 10월 2일, 기셀베르투스는 안더나흐 전투에서 오토 1세의 군대에게 기습을 당해 패배했다. 그는 라인강을 건너 도피하려다 강물에 빠져 익사했다.[3] 그의 사후 로트링겐 공작위와 영지는 오토 1세의 동생 하인리히 1세에게 넘어갔으며, 부인 게르베르가는 서프랑크 왕 루이 4세와 재혼했다.

2. 1. 초기 생애와 배경

기셀베르트는 로트링겐의 유력한 지역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 그의 가계는 부계와 모계 모두 카롤링거 왕조와 연결되는데, 아버지는 마스(Maasgau) 백작 기셀베르트와 황제 로타르 1세의 딸 이멘가르트 사이에서 태어난 레니에 1세였다. 어머니는 에시나다(Hersinda) 또는 알베라다(Alberada)로, 서프랑크의 왕 대머리왕 카를 2세의 딸이었다.

911년 동프랑크 왕국의 루트비히 4세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로트링겐 지역 귀족들은 동프랑크 왕국과 서프랑크 왕국 중 어느 쪽에 속할지를 두고 분열되었다. 이때 기셀베르트의 아버지 레니에 1세는 서프랑크 왕국을 지지하는 파벌의 중심 인물로 활동하며 동프랑크파와 대립했다. 결국 서프랑크파가 승리하면서 로트링겐은 서프랑크 왕 샤를 3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920년 아버지 레니에 1세의 뒤를 이은 기셀베르트는 샤를 3세로부터 독립하여 스스로 로트링겐의 왕을 칭하려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샤를 3세에게 패배하였고, 결국 동프랑크 왕국의 하인리히 1세에게 의탁하게 되었다. 동프랑크와 서프랑크는 921년 11월 본 조약을 통해 서로의 영토를 인정하고 휴전을 맺었으나, 서프랑크 내부에서는 샤를 3세와 파리 백작 로베르 1세 사이의 갈등이 깊어졌다. 결국 923년 샤를 3세는 로베르 1세의 사위인 부르고뉴 공작 라울에 의해 폐위되었다.

기셀베르트는 처음에는 새롭게 서프랑크 왕이 된 라울을 지지하는 입장을 취했다. 하지만 라울로부터 정치적 압력을 받게 되자, 다시 동프랑크의 하인리히 1세에게로 돌아섰다. 이러한 정치적 격변기를 거치며 기셀베르트는 로트링겐 지역에서 자신의 입지를 다지기 위한 기반을 모색하고 있었다.

2. 2. 로트링겐의 통치자

911년 동프랑크의 루트비히 4세가 사망하자, 로트링겐 지역은 동프랑크와 서프랑크 중 어느 쪽에 속할지를 두고 귀족들 사이에 대립이 발생했다. 기셀베르투스의 아버지 레니에 1세는 서프랑크 왕국을 지지하는 파벌의 지도자로서 활동했고, 결국 로트링겐은 서프랑크 왕 샤를 3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920년 아버지의 뒤를 이은 기셀베르투스는 샤를 3세로부터 독립하여 스스로 로트링겐의 왕을 칭했으나, 샤를 3세에게 패배하여 동프랑크의 왕 하인리히 1세에게 피신했다. 921년 11월, 동프랑크와 서프랑크는 본 조약을 통해 서로의 영토를 인정하고 휴전을 약속했다. 그러나 서프랑크 내부에서 923년 샤를 3세가 라울에 의해 폐위되는 정치적 혼란이 발생했다. 기셀베르투스는 처음에는 새로운 서프랑크 왕이 된 라울을 지지했지만, 라울의 압력을 받게 되자 다시 동프랑크의 하인리히 1세에게 의탁했다.

하인리히 1세는 925년(혹은 928년) 기셀베르투스를 로트링겐 대공으로 정식 임명했으며, 928년에는 자신의 딸 게르베르가를 기셀베르투스와 결혼시켰다. 이를 통해 로트링겐은 동프랑크 왕국(훗날 독일 왕국)의 일부로 편입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하인리히 1세는 또한 919년 자신이 설립한 마스트르히트(Maastricht)의 성 세르비우스 대 수도원의 관리권도 기셀베르투스에게 넘겨주었다. 934년 기셀베르투스는 하인리히 1세의 명을 받아 프랑켄 대공 에버하르트 등과 함께 서프랑크 왕 라울에게 사절로 파견되기도 했다.[2]

936년 하인리히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오토 1세가 왕위를 계승하자, 기셀베르투스는 938년 오토 1세의 동생 하인리히가 일으킨 반란에 프랑켄 대공 에버하르트와 함께 가담했다. 동시에 그는 서프랑크 왕 루이 4세에게 귀순하여 충성을 맹세하고 지원을 요청했으며, 이후 약 3년간 실질적인 독립 상태를 유지했다.

그러나 939년 10월 2일, 기셀베르투스는 안더나흐 전투에서 오토 1세의 군대에게 기습 공격을 받아 패배했다. 그는 라인강을 건너 도피하려다 강물에 빠져 익사했다.[3] 그의 사후 로트링겐 대공의 지위는 오토 1세에게 항복한 오토의 동생 하인리히 1세에게 돌아갔으며, 기셀베르투스의 부인 게르베르가는 서프랑크의 왕 루이 4세와 재혼했다.

2. 3. 동프랑크 왕국과의 관계

911년 동프랑크의 왕 루트비히 4세가 사망하자, 로트링겐 지역은 동프랑크와 서프랑크 중 어느 쪽에 속할지를 두고 귀족들 사이에 대립이 발생했다. 기셀베르투스의 아버지 레니에 1세는 친 서프랑크파의 지도자로서 동프랑크파와 맞섰고, 결국 서프랑크파가 승리하여 로트링겐은 서프랑크의 왕 샤를 3세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

920년 아버지의 뒤를 이은 기셀베르투스는 샤를 3세로부터 독립하여 로트링겐 왕을 자처했으나, 샤를 3세에게 패배하고 동프랑크의 왕 하인리히 1세에게 피신했다. 동프랑크와 서프랑크는 921년 11월 본 조약을 통해 서로의 영토를 인정하고 휴전을 약속했다. 그러나 이후 서프랑크에서 샤를 3세가 923년 라울에 의해 폐위되자, 기셀베르투스는 처음에는 라울을 지지했으나 곧 압력을 느끼고 다시 동프랑크의 하인리히 1세에게 의탁했다.

하인리히 1세는 925년(또는 928년) 기셀베르투스를 로트링겐 공작으로 정식 임명하고, 928년에는 자신의 딸 게르베르가를 그와 결혼시켜 관계를 공고히 했다. 이 결혼을 통해 로트링겐은 사실상 동프랑크 왕국(훗날의 독일 왕국)의 영토로 편입되는 것이 확정되었다. 기셀베르투스는 934년 하인리히 1세의 명을 받아 프랑켄 공작 에버하르트 등과 함께 서프랑크 왕 라울에게 사절로 파견되기도 했다[2].

936년 하인리히 1세가 사망하고 오토 1세가 왕위를 계승하자, 기셀베르투스는 938년 오토 1세의 동생 하인리히가 일으킨 반란에 프랑켄 공작 에버하르트와 함께 가담했다. 그는 서프랑크 왕 루이 4세에게 도움을 요청하며 오토 1세에게 대항했다. 그러나 939년 10월 2일, 안더나흐의 라인강변에서 오토 1세 군대의 기습 공격을 받아 패배했고, 도주하던 중 강물에 빠져 익사했다[3]. 그의 사후 로트링겐 공작위는 오토 1세에게 항복한 동생 하인리히에게 넘어갔다.

2. 4. 반란과 죽음

936년 하인리히 1세가 사망하고 오토 1세가 동프랑크 왕위를 계승했다. 이후 938년, 오토 1세의 동생 하인리히가 왕위 계승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키자, 기셀베르투스는 프랑켄 대공 에버하르트와 함께 하인리히 측에 가담했다. 동시에 그는 서프랑크의 왕 루이 4세에게 귀순하여 충성을 맹세하고 원조를 요청했다. 이로 인해 기셀베르투스는 939년 안더나흐 전투에서 패배할 때까지 약 3년간 로트링겐에서 실질적인 독립 상태를 유지했다.

939년 10월 2일, 기셀베르투스는 동맹들과 함께 안더나흐의 라인강변에서 연회를 열던 중 오토 1세 군대의 급습을 받았다. 이어진 안더나흐 전투에서 기셀베르투스의 군대는 패배했고, 그는 도피하던 중 라인강에 빠져 익사했다.[3]

기셀베르투스 사후, 오토 1세는 로트링겐 대공위를 자신에게 항복한 동생 하인리히 1세에게 넘겨주었다. 기셀베르투스의 부인 게르베르가는 이후 서프랑크의 왕 루이 4세와 재혼했다.

2. 5. 사후

기셀베르투스는 939년 안더나흐 전투에서 오토 1세에게 패배하고 도주하던 중 라인강에 빠져 익사했다.[3] 그의 사후 로트링겐 대공위와 영지는 오토 1세가 자신의 동생인 하인리히 1세에게 넘겨주었다. 기셀베르투스의 부인 게르베르가는 이후 서프랑크의 왕 루이 4세와 재혼하였다.

3. 가족 관계


  • 아버지 : 로렌의 레니에 1세
  • 어머니 : 에시나다, 카를 2세의 딸
  • 부인 : 겔베르가, 하인리히 1세의 딸

아들 하인리히와 후견인 오토 폰 베르됭(?)


928년 동프랑크 왕 하인리히 1세의 딸 겔베르가와 결혼했다. 자녀는 다음과 같다.

이름생몰년비고
알베라다929년경 - ?루시 백작 르노와 결혼
하트비히?요절
하인리히932년경 - 944년 이전로트링겐 공작 오토 폰 베르됭에게 양육되었으나, 오토가 사망하기 전에 요절하여 로트링겐 공작위를 계승하지 못했다[4].
겔베르가935년경 - 978년베르망두아 백작 알베르 1세와 결혼



기젤베르투스가 사망한 후 과부가 된 겔베르가는 939년 서프랑크 왕 루이 4세와 재혼했다.

참조

[1] 서적 Der Herzog in Lotharingien im 10. Jahrhundert
[2] 문서
[3] 문서
[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