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저부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저부하는 전력 수요의 최저 수준인 기초 부하 수요에 맞는 전력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는 발전 방식이다. 전력망 운영자는 전력 공급과 수요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기저부하 발전소를 사용하며, 석탄, 원자력, 복합화력, 수력, 지열, 바이오가스, 바이오매스, 태양열, 해양 온도차 발전 등이 기저부하 발전소로 활용된다. 과거에는 변동이 없는 발전소를 사용했지만, 기술 발전으로 분산형 발전소나 급전 가능 발전소로도 충족 가능하다. 최근에는 신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기저부하 발전의 역할 변화가 예상되며,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과 같은 유연성 자원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기저부하 발전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필수적이지만, 발전 방식에 따라 안전성 및 환경 문제에 대한 논란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전 기술 - 분산 발전
    분산 발전은 전력 수요 근처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송전 손실을 줄이며 전력 공급 안정성을 향상하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투자 비용과 기술적 복잡성, 발전량 변동 등의 과제가 남아있어 에너지 정책 지원과 기술 발전을 통해 지속 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발전 기술 - 수력
    수력은 물의 위치 및 운동 에너지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발전 방식이 존재하며 전 세계 전력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환경 문제, 사회적 영향, 국가 간 갈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 친환경 기술 개발과 국제 협력이 필요하다.
기저부하
개요
정의전력 수요의 최소 수준
설명특정 기간 동안 전력망에서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 공급량. 일반적으로 24시간 또는 1년 단위로 측정됨.
중요성안정적인 전력 공급 유지
발전 설비 투자 및 운영 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
에너지 정책 결정에 활용
특징
안정성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해야 함.
경제성낮은 비용으로 전력 공급이 가능해야 함.
예측 가능성수요 예측이 용이해야 함.
유연성수요 변화에 대한 대응이 가능해야 함.
기저 부하 발전
정의기저 부하를 담당하는 발전 설비
종류원자력 발전
석탄 화력 발전
수력 발전
특징대규모 발전 설비
낮은 변동비
높은 이용률
기저 부하의 변화
원인에너지 효율 향상
신재생 에너지 발전 비중 증가
전기 자동차 보급 확대
수요 반응 프로그램 확산
영향기저 부하 감소
전력 시스템의 유연성 요구 증가
새로운 발전 기술 및 시스템 운영 방식 필요
과제
신재생 에너지 변동성신재생 에너지 발전량 변동에 따른 전력 시스템 불안정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의 필요성 증가
전력망의 유연성 확보 중요
노후 발전 설비노후 발전 설비의 효율 저하 및 안전 문제
새로운 발전 설비 투자 필요
발전 설비 교체 시 환경 영향 고려
전력 수요 관리효율적인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구축 필요
수요 반응 프로그램 활성화
에너지 절약 캠페인 추진
미래 전망
분산형 전원 확대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 등 분산형 전원 확대
마이크로 그리드 및 스마트 그리드 구축
양방향 전력 거래 시스템 도입
에너지 저장 기술 발전배터리, 양수 발전, 수소 에너지 등 에너지 저장 기술 발전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경제성 확보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안전성 및 환경 영향 평가
전력 시스템 디지털 전환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전력 시스템 운영
스마트 미터 보급 확대
사이버 보안 강화

2. 정의 및 필요성

전력망 운영자는 수요 고객에게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전력의 공급과 수요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전력 공급도 수요에 맞는 적절한 조절이 필요하다.[37] 이는 전력 품질 문제와도 이어진다.

역사적으로 대규모 전력망에서는 기저 부하를 충족하기 위해 공급이 변하지 않는 일정한 발전소를 사용했지만, 수요 만족을 위한 특별한 기술적 사항은 없다. 따라서 기저 부하를 굳이 기저 부하 발전소로만 충족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양의 분산형 발전소나 급전 가능 발전소를 통해서도 충족할 수 있다.[38][39]

기저 부하 발전소는 전력 공급망에서 하루 수요의 최저 수준인 기초 부하 수요에 맞는 전력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기저 부하 발전소는 지정된 지역의 지속적인 에너지 수요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충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전 시설로, 일정한 출력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며, 일반적으로 전력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발전 시설보다 비용이 저렴하다.[24]

전력망에 연결된 각 기저 부하 발전소는 전력 수요의 기초 부하를 처리하기 위한 발전량을 할당받는다. 전력의 기초 부하는 전력망의 부하 지속 곡선에 의해 결정된다. 전형적인 전력 시스템의 경우, 경험상 기초 부하는 대략 연간 최대 부하의 35-40% 정도이다.[26]

3. 기저 부하 발전의 경제성

재생 에너지 발전 보급률이 높은 전력망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저부하발전소보다 유연한 대응이 가능한 첨두부하발전소가 더 많이 필요하다.


발전과 송배전이 분리된 전력망에서 전력망 운영자는 가장 저렴한 발전원을 찾기 위해 장단기 입찰을 거치는데, 이때 경제성뿐만 아니라 전력공학과 전력망 유지 측면도 고려해야 한다.[44]

원자력 발전소와 석탄 발전소는 고정비용이 높고 설비이용률도 높지만,[45] 한계비용이 매우 낮다는 장점이 있다.[15] 반면 천연가스 발전소와 같은 첨두부하발전소는 고정비용이 낮고 설비이용률이 낮지만 한계비용이 높다.[46]

석탄이나 원자력 발전소는 항상 일정한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며, 공급량을 변경하기도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전력 소비 수요에 맞게 공급량을 조절하지 않는다. 발전소가 공급량 변경이 불가능하게 설계된 경우도 있다. 하지만 프랑스의 극히 일부 원자력 발전소는 물리적으로 부하 추종 발전소로 사용되어 수요에 맞게 약간씩 공급량을 변경하기도 한다.[47][48]

일반적으로 연료로 가스를 사용하는 복합화력발전소는 기저부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부하 변동에 맞게 비용 효율적으로 전력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49]

미국의 전력망 운영자인 내셔널 그리드 plc.의 CEO인 스티브 홀리데이는 기저부하라는 용어가 이제는 "구식"이라며 의미가 없어진다고 말했다.[50][36]

4. 기저 부하 발전의 종류

기저 부하 발전은 전력 공급망에서 하루 수요의 최저 수준, 즉 기초 부하 수요를 충족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발전소는 지정된 지역의 지속적인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일정한 출력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며, 일반적으로 다른 발전 시설보다 저렴하다.[24]

기저 부하 발전에 사용되는 발전원으로는 연료를 사용하는 원자력 발전과 석탄 화력 발전이 대표적이다. 자연 에너지 중에서는 수력 발전, 지열 발전,[41] 바이오가스, 바이오매스, 태양열 발전, 해양 온도차 발전 등이 기저 부하를 충족하는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25]

전력망에 연결된 각 기저 부하 발전소는 전력 수요의 기초 부하를 처리하기 위한 발전량을 할당받는다. 전력의 기초 부하는 전력망의 부하 지속 곡선에 의해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연간 최대 부하의 35-40% 정도이다.[26]

고객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첨두 시에는 천연가스 발전소와 같은 첨두 부하 발전소가 사용된다. 그러나 반드시 기저 부하 발전소만이 기저 부하를 충족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양의 간헐적 전력원과 급전 가능 발전소로도 기저 부하를 충족할 수 있다.[27][28]

일반적으로 기저 부하 발전소는 대형이며, 대부분의 전력을 전력망을 통해 공급한다. 따라서 전력망이 필요로 하는 기저 부하 전력을 지속적으로 보충하는 데 효율적이다.

복합화력발전소는 기저 부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부하 변동에 맞춰 비용 효율적으로 전력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49]

과거에는 대규모 전력망이 기저 부하를 충족하기 위해 변동이 없는 발전소를 사용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기저 부하는 적절한 양의 간헐적 전력원과 발전 가능 발전으로도 충분히 충족될 수 있다.[8][9]

발전소는 저비용 발전, 효율, 정격 출력 발전 수준에서의 안전성 등을 기반으로 기저 부하가 지정된다. 기저 부하 발전소는 정격 생산 수준으로 일정하게 운용하는 것이 경제적이기 때문에 전력 소비 수요에 맞춰 생산량을 변동하지 않는다. 더 높은 비용의 복합 사이클 발전 설비나 연소 터빈의 이용은 최소화되며, 이 발전소들은 소비의 더 빠른 변화에 맞춰 운전을 조절할 수 있다.

4. 1. 원자력 발전



원자력 발전소는 고정비용이 높고 설비이용률도 높지만, 한계비용이 매우 낮다는 장점이 있다.[45] 출력을 조정하는 데 며칠이 걸리지만,[30] 현대 원자력 발전소는 Load following power plant|부하 추종 발전소영어로서 운용하거나 수요 변화에 맞춰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31] 그러나 일본의 원자력 발전소는 모델이 오래되어 부하 추종 발전을 할 수 없다.

원자력 발전은 연료비가 낮고,[32] 정적 운전 operating temperature|동작 온도영어까지 가열하는 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저 부하 수요를 위해 운용된다. 원자력 발전소는 통상 보전, 연료 교체, 정기 개수 등을 제외하고 최대 출력에 가깝게 지속적으로 운용된다.

프랑스의 일부 원자력 발전소는 부하 추종 발전소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어느 정도 출력을 변경한다.[47][48]

4. 2. 석탄 화력 발전

석탄 화력 발전소는 고정비용이 높고 설비이용률이 높은 반면, 한계비용은 매우 낮다는 특징이 있다.[45] IEA는 석탄 발전소가 이산화 탄소 배출량이 많아 기후 변화의 원인이 되므로 기저 부하로 가동해서는 안 된다고 제안했다.[17]

일부 석탄 발전소는 전력 소비 수요에 맞춰 생산량을 변경하지 않는데, 이는 때때로 일정한 수준으로 생산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모든 발전소가 수요에 맞춰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은 아니다. 복수의 발전 장치를 가진 발전소는 각 장치를 최대한 피크 효율에 가깝게 운용함으로써, 수요에 더 잘 부합하도록 활용된다.

4. 3. 수력 발전

수력 발전소는 공급이 거의 바뀌지 않는 기저부하발전소 중 하나이다.[41] 또한, 수력 발전소는 급전 가능 발전소 중 기저부하 충족에도 적절한 발전소에 속한다. 전력망 운영자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전력망에서 발전소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전력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42][43]

4. 4. 신재생 에너지

지열 발전,[41] 바이오가스, 바이오매스, 태양열 발전, 해양 온도차 발전 등은 공급량이 거의 일정하여 기저부하발전소로 활용할 수 있다.[25] 이러한 신재생 에너지원들은 수리 및 정기 점검을 제외하면 연중 계속 가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신재생 에너지 확대 정책을 적극 지지하며, 이러한 에너지원들이 기저부하를 담당할 수 있다고 본다.

5. 유연성 자원

전력망 운영자는 수요 고객에게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전력의 공급과 수요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전력 공급도 수요에 맞는 적절한 조절이 필요하다.[37] 이는 전력 품질 문제와도 이어진다.

역사적으로 대규모 전력망에서는 기저부하를 충족하기 위해 공급이 변하지 않는 일정한 발전소를 사용했지만, 수요 만족을 위한 특별한 기술적 사항은 없다. 그래서 기저부하를 굳이 기저부하발전소로만 충족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한 양의 분산형 발전소나 급전 가능 발전소를 통해서도 충족할 수 있다.[38][39]

발전과 송배전의 경영이 구분된 전력망일 경우, 전력망 운영자는 가장 저렴한 발전원을 찾기 위해 장단기 입찰을 거치는데, 이때 경제적인 면뿐만 아니라 전력공학과 전력망 유지 측면에서의 고려도 필요하다.[44]

원자력과 석탄 발전소는 고정비용이 높고 설비이용률도 높지만,[45] 한계비용이 매우 낮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천연가스 발전소와 같은 첨두부하발전소는 고정비용이 낮고 설비이용률이 낮지만 한계비용이 높다.[46]

석탄이나 원자력 발전소는 항상 일정한 전력 공급을 유지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며 공급량을 변경하기도 매우 어렵기 때문에 전력 소비 수요에 맞게 공급량을 변경하지 않는다. 또한, 변경이 불가능하게 발전소가 설계된 경우도 있다. 하지만 프랑스의 극히 일부 원자력 발전소는 물리적으로 부하 추종 발전소로 사용하며 수요에 맞게 약간씩 공급량을 변경하기도 한다.[47][48]

미국의 전력망 운영자인 내셔널 그리드 plc.의 CEO인 스티브 홀리데이 등은 기저부하라는 용어는 이제 "구식"이라며 의미가 없어진다고 말했다.[50][36]

5. 1. 급전 가능 발전

급전 가능 발전소 중 기저부하 충족에 적절한 발전소로는 일부 가스 발전소와 풍력 발전(블레이드 피치형), 수력 발전소가 있다. 전력망 운영자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 전력망에서 발전소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전력 공급을 조절할 수 있다.[42][43]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일부 복합화력발전소는 기저부하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부하 변동에 맞게 비용 효율적으로 전력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49]

6. 미래 전망 및 과제



내셔널 그리드 plc.의 CEO 스티브 홀리데이 등은 기저부하라는 용어가 이제 "구식"이라며 의미가 없어진다고 말했다.[50][36]

기저 부하 발전소는 전력 공급망에서 하루 수요의 최저 수준인 기초 부하 수요에 맞는 전력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지정된 지역의 지속적인 에너지 수요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충족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전 시설로, 일정한 출력으로 에너지를 생산한다.[24] 전력망에 연결된 각 기저 부하 발전소는 전력 수요의 기초 부하를 처리하기 위한 발전량을 할당받는다. 전력의 기초 부하는 전력망의 부하 지속 곡선에 의해 결정된다. 전형적인 전력 시스템의 경우, 기초 부하는 대략 연간 최대 부하의 35-40% 정도이다.[26]

7. 논란



기저부하 발전은 전력 수요의 최저 수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와 관련하여 여러 논란이 존재한다.

원자력 발전과 석탄 화력 발전은 고정비용이 높고 설비이용률이 높은 반면, 한계비용이 매우 낮다는 장점이 있다.[45][15] 그러나 석탄 발전소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이 많아 기후 변화의 원인이 된다는 비판을 받으며, IEA는 석탄 발전소를 기저 부하로 가동해서는 안 된다고 제안했다.[17] 원자력 발전소는 안전 문제와 핵폐기물 처리 문제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천연가스 발전소와 같은 첨두부하발전소는 고정비용이 낮고 설비이용률이 낮지만 한계비용이 높다.[46][16] 일부 복합 화력 발전소는 기저 부하 전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른 부하 변동에 맞게 비용 효율적으로 전력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어 기저 부하와 첨두 부하 모두에 사용 가능하다.[49][20]

내셔널 그리드 plc.의 CEO였던 스티브 홀리데이는 기저부하라는 용어가 "구식"이라며 의미가 없어졌다고 주장하기도 했다.[50][36][21][5] 그러나 2019년 CEO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원자력이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다는 것을 상상하기 어렵다"고 언급하며 원자력 발전의 필요성을 인정하기도 했다.[22]

한편, 대한민국에서는 탈원전 정책을 둘러싼 논쟁이 있었다. 탈원전 정책은 원자력 발전의 비중을 줄이고 재생 에너지 발전의 비중을 늘리는 정책이다. 그러나 탈원전 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하는데, 이들은 원자력 발전이 탄소 배출을 줄이는 데 기여하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탈원전 정책이 미세먼지 문제 해결과 에너지 전환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라고 반박한다.

참조

[1] 논문 Review of solutions developed for improving maneuvering flexibility in German, French and Russian PWRs targeting to explore future possibilities for the new VVER-1200 nuclear power plant units in Hungary 2024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baseload" https://www.merriam-[...] Merriam Webster Dictionary 2018-12-02
[3] 서적 Standard Handbook for Electrical Engineers Mc-Graw Hill
[4] 웹사이트 Energy Dictionary - Baseload plant http://www.energyvor[...] EnergyVortex.com 2008-08-03
[5] 웹사이트 Debunking Three Myths About "Baseload" https://www.nrdc.org[...] 2022-01-29
[6] 웹사이트 The Baseload Fallacy https://www.energygl[...] 2024-04-07
[7] 서적 Electricity Auctions: An Overview of Efficient Practices http://www-wds.world[...] World Bank Publications
[8] 웹사이트 The Basics on Base Load: Meeting Ontario's Base Load Electricity Demand with Renewable Power Sources https://www.pembina.[...] 2018-05-16
[9] 논문 Supplying Baseload Power and Reducing Transmission Requirements by Interconnecting Wind Farms https://journals.ame[...] 2007-11
[10] 뉴스 Why baseload power is doomed https://www.zdnet.co[...] 2018-12-02
[11] 웹사이트 Scaling Geothermal for Reliable Baseload Power http://www.renewable[...] renewableenergyworld.com 2008-08-03
[12] 논문 Wind and solar energy curtailment: A review of international experience 2016-11
[13] 웹사이트 Renewables Curtailment: What We Can Learn From Grid Operations in California and the Midwest https://www.greentec[...] 2018-05-16
[14] 뉴스 OPINION: How electricity auctions are rigged to favor industry http://america.aljaz[...] 2018-05-16
[15] 웹사이트 What is Generation Capacity? https://www.energy.g[...] 2022-06-18
[16] 서적 Ontario Hydro at the Millennium: Has Monopoly's Moment Passed? https://books.google[...] Montreal and Kingston: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8-08-03
[17] 웹사이트 Accelerating Just Transitions for the Coal Sector – Analysis https://www.iea.org/[...] 2024-04-06
[18] 간행물 Nuclear Development OECD Nuclear Energy Agency 2011-06
[19] 웹사이트 Nuclear Development http://www.oecd-nea.[...] Nuclear Energy Agency 2018-12-02
[20] 웹사이트 A user's guide to natural gas power plants https://www.utilityd[...] 2022-06-18
[21] 웹사이트 Steve Holliday CEO National Grid: baseload is outdated http://www.energypos[...] 2016-10-06
[22] 뉴스 For Wales, Nuclear Plant Would Mean New Jobs. For the U.K., It May Mean More. https://www.nytimes.[...] 2019-01-07
[23] 문서 Understanding Base Load Power.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http://www.area-alli[...] New York Affordable Reliable Electricity Alliance (New York AREA) 2008-10-07
[24] 웹사이트 Energy Dictionary - Baseload plant http://www.energyvor[...] EnergyVortex.com 2008-08-03
[25] 웹사이트 Scaling Geothermal for Reliable Baseload Power http://www.renewable[...] renewableenergyworld.com 2008-08-03
[26] 문서 Understanding Base Load Power. What it is and Why it Matters http://www.area-alli[...] New York Affordable Reliable Electricity Alliance (New York AREA) 2008-10-07
[27] 문서 The Basics On Baseload http://www.pubs.pemb[...] The Pembina Institute 2007
[28] 논문 Supplying Baseload Power and Reducing Transmission Requirements by Interconnecting Wind Farm http://www.stanford.[...] 2007-11
[29] 서적 Ontario Hydro at the Millennium: Has Monopoly's Moment Passed? https://books.google[...] Montreal and Kingston: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8-08-03
[30] 문서 Four Nuclear Myths: A Commentary on Stewart Brand's Whole Earth Discipline and on Similar Writings http://www.rmi.org/K[...] Rocky Mountain Institute 2009
[31] 간행물 Nuclear Development http://www.oecd-nea.[...] OECD Nuclear Energy Agency 2011-06
[32] 문서 Levelized costs for nuclear, gas and coal for Electricity, under the Mexican scenario. http://www.osti.gov/[...] 2004-10-06
[33] 웹인용 Definition of "baseload" https://www.merriam-[...] Merriam Webster Dictionary 2018-12-02
[34] 서적 Standard Handbook for Electrical Engineers Mc-Graw Hill
[35] 웹인용 Energy Dictionary - Baseload plant http://www.energyvor[...] EnergyVortex.com 2008-08-03
[36] 웹인용 Debunking Three Myths About "Baseload" https://www.nrdc.org[...] 2022-01-29
[37] 서적 Electricity Auctions: An Overview of Efficient Practices http://www-wds.world[...]
[38] 웹인용 The Basics on Base Load: Meeting Ontario's Base Load Electricity Demand with Renewable Power Sources https://www.pembina.[...] 2018-05-16
[39] 저널 Supplying Baseload Power and Reducing Transmission Requirements by Interconnecting Wind Farms 2007-11
[40] 뉴스 Why baseload power is doomed {{!}} ZDNet http://www.zdnet.com[...] 2018-12-02
[41] 웹인용 Scaling Geothermal for Reliable Baseload Power http://www.renewable[...] renewableenergyworld.com 2008-08-03
[42] 저널 Wind and solar energy curtailment: A review of international experience 2016-11
[43] 웹인용 Renewables Curtailment: What We Can Learn From Grid Operations in California and the Midwest https://www.greentec[...] 2018-05-16
[44] 뉴스 OPINION: How electricity auctions are rigged to favor industry http://america.aljaz[...] 2018-05-16
[45] 웹인용 What is Generation Capacity? https://www.energy.g[...] 2022-06-18
[46] 서적 Ontario Hydro at the Millennium: Has Monopoly's Moment Passed? https://books.google[...] Montreal and Kingston: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8-08-03
[47] 문서 Nuclear Development, June 2011, page 10 from http://www.oecd-nea.org/ http://www.oecd-nea.[...]
[48] 웹인용 Nuclear Development http://www.oecd-nea.[...] Nuclear Energy Agency 2018-12-02
[49] 웹인용 A user's guide to natural gas power plants https://www.utilityd[...] 2022-06-18
[50] 웹인용 Steve Holliday CEO National Grid: baseload is outdated http://www.energypos[...] 2016-1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