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금화 (무용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김금화 (金錦花)는 대한민국의 무용가이자 무속인이다. 1931년 8월 18일 황해도 연백군에서 태어나 2019년 2월 23일에 사망했다. 국가무형문화재 제82호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 기·예능 보유자로, 황해도 출신 무당 중 가장 큰 만신으로 꼽힌다.
생애
- 12세 때부터 심한 무병을 앓았으며, 17세에 외할머니의 내림굿을 받고 강신무가 되었다.
- 19세에 대동굿을 주관할 만큼 뛰어난 기량을 인정받았다.
- 1972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개인연기상을 수상했다.
- 1985년 중요무형문화재 제82-나호 서해안 배연신굿 및 대동굿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 1982년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 문화사절단으로 미국에서 공연을 펼쳤다.
- 1996년 무가집을 발행하고 2005년에는 인천 강화도에 무속체험장 '금화당'을 열었다.
- 백두산 천지에서 대동굿을 하였고, 김대중 전 대통령 진혼제, 2014년 인천평화축제에서 세월호 희생자 추모위령제를 지내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 2013년 다큐멘터리 영화 《비단꽃길》과 2014년 박찬경 감독의 영화 《만신》의 주인공이 되었다.
활동 및 평가
- 김금화는 모든 종류의 굿에 능통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 무속을 단순한 미신이 아닌 한국 전통 예술의 한 형태로 승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 그의 굿은 해외에서도 주목받아 여러 국가에서 공연을 펼쳤으며, 굿을 배우려는 외국인 제자들도 있었다.
- 그는 무속인으로는 최초로 대학 강단에 서기도 했다.
- 프랑스의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는 김금화를 만난 후 '한국의 샤머니즘'에 관한 글을 쓰기도 했다.
- 도올 김용옥은 김금화가 말하는 무속의 세계가 우리 민족의 예술과 종교의 원형이라고 평가했다.
작품
- 다큐멘터리 영화: 《비단꽃길》 (2013)
- 영화: 《만신》 (2014)
- 무가집: 《김금화의 무가집-거므나따에 만신 희나백성의 노래》
- 자서전: 《비단꽃 넘세》
수상
- 1972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개인연기상
기타
- 김금화는 '나라 만신'이라고도 불리며, 무당으로서 뿐 아니라 예술가로서도 인정받았다.
- 그는 무당의 됨됨이가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남에게 덕을 베풀려면 자신이 먼저 덕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 2017년 국립무형유산원이 펴낸 구술록에서 "무형문화재로 인정된 후 무당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졌다"고 언급했다.
김금화는 한국의 무속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무속을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김금화 (무용가) | |
---|---|
김금화 (무용가)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금화 (金錦華) |
출생 | 1954년 1월 3일 |
사망 | 2023년 12월 28일 (향년 69세) |
직업 | 무용가 |
활동 시기 | 1980년대 ~ 2023년 |
가족 | 슬하 2남 |
학력 | 숙명여자대학교 무용학과 졸업 |
종교 | 불교 |
경력 | |
1982년 | 한국 창작 무용 10인전 출연 |
1983년 | 춘천 마임 축제 참가 |
1984년 | 동아 무용 콩쿠르 현대무용 부문 금상 |
1987년 | 한국 무용 협회 주최 전국 무용제 개인상 |
1990년 | 한국 무용 협회 주최 전국 무용제 개인상 |
1995년 | 한국 무용 협회 주최 전국 무용제 개인상 |
1998년 | 멕시코 국제 무용제 초청 공연 |
2001년 | 서울무용제 최우수 무용가상 |
2003년 | 국립극장 '춤이 있는 밤' 출연 |
2005년 | '김금화의 춤' 발표회 개최 |
2006년 |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초청 공연 |
2007년 | 대한민국무용대상 최우수 무용가상 |
2010년 | 국립무용단 객원 안무 |
2013년 |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초빙교수 |
2017년 |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식 공연 안무 |
2019년 | 국립현대무용단 '시간의 나이테' 안무 |
2020년 | 국립현대무용단 '눈먼 자들의 도시' 출연 |
2021년 | 국립무용단 '시간의 잔상' 안무 |
2022년 | 서울무용제 명예 무용가상 |
작품 활동 | |
대표작 | '침묵의 향기' '환상여행' '시간의 나이테' '시간의 잔상' |
안무작 | '바람의 기억' '삶의 흔적' '여정' '사라져가는 것들' |
출연작 | '눈먼 자들의 도시' '춤추는 사람들' '침묵의 소리' '몸의 대화' |
수상 내역 | |
1984년 | 동아 무용 콩쿠르 현대무용 부문 금상 |
1987년 | 전국 무용제 개인상 |
1990년 | 전국 무용제 개인상 |
1995년 | 전국 무용제 개인상 |
2001년 | 서울무용제 최우수 무용가상 |
2007년 | 대한민국무용대상 최우수 무용가상 |
2022년 | 서울무용제 명예 무용가상 |
기타 | |
특징 | 한국 전통 무용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독창적인 춤 스타일 섬세하고 깊이 있는 감정 표현 인간의 내면 심리를 탐구하는 주제 의식 |
영향 | 후배 무용가들에게 큰 영감 한국 현대 무용 발전에 기여 대중에게 무용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알리는 데 공헌 |
평가 | 한국 현대 무용을 대표하는 무용가 뛰어난 안무 능력과 무대 장악력 깊이 있는 철학과 예술혼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