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한국예술종합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한국예술종합학교는 1991년 설립된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의 국립 예술 교육 기관이다. 음악, 연극, 영화, 무용, 미술, 전통 예술 등 다양한 예술 분야의 전문 예술인을 양성하며, 학사, 석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1993년 개교 이후,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국내외 예술계에서 인정받는 학교로 성장했다. 석관동, 서초동, 대학로에 캠퍼스를 두고 있으며, 한국예술영재교육원, 한국예술연구소 등 부속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음악 학교 - 추계예술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는 황신덕의 추계학원 재단이 1973년에 설립한 사립 예술대학교로, 음악, 미술, 문학, 영상 등 다양한 예술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며 2024년 융합예술대학 신설을 통해 예술교육, 예술치료 전공을 확대할 예정이다.
  • 한국예술종합학교 - 한국예술연구소
    1994년에 설립된 한국예술연구소는 문화예술 진흥과 학술 연구를 수행하며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및 국제 교류를 통해 한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하는 기관이다.
  • 한국예술종합학교 - 한국예술종합학교 전국무용경연대회
    한국예술종합학교 전국무용경연대회는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주최하며,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로 나뉘어 발레, 한국 무용, 현대 무용 부문에서 경연을 진행하는 대회이다.
  • 서울 성북구의 학교 - 동덕여자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는 1908년 동원여자의숙으로 시작하여 1950년 동덕여자대학으로 개교, 1988년 종합대학교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분야의 학과와 여성 교육에 대한 헌신을 이어왔으나 남녀공학 전환 논의로 어려움을 겪기도 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서울 성북구의 학교 - 고려대학교
    1905년 이용익이 설립한 보성전문학교에서 시작된 고려대학교는 민족 자주성을 바탕으로 국제화를 추구하며 서울과 세종에 캠퍼스를 둔, 민주화 운동의 중심이자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는 사립 연구중심대학교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국문 명칭한국예술종합학교
영문 명칭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한자 표기韓國藝術綜合學校
로마자 표기Hanguk Yesul Jonghap Hakgyo
학교 종류국립 특수대학교
설립일1991년 12월 30일
개교일1992년 10월 30일
표어미래의 고전을 창조하는 K-Arts
총장김대진
웹사이트한국예술종합학교 홈페이지
캠퍼스
석관동 캠퍼스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32길 146-37
서초동 캠퍼스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74
대학로 캠퍼스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215
관련 법령
설치 근거문화체육관광부 소관 한국예술종합학교 설치령(대통령령 제24610호)
설립 주체문화체육관광부
일본어 표기
일본어 표기韓国芸術総合学校
가나 표기ハングンニェスルチョンハパッキョ
평가나 표기かんこくげいじゅつそうごうがっこう
로마자 표기Hanguk Yesul Jonghap Daehakgyo
기타 정보
학교 이미지
정문 (2011년 4월)

2. 설립

노태우 대통령은 대선 당시 '대한민국 문화발전 10년 계획' 중 하나로 '세계적 국립예술대학 설립'을 공약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 12월 25일 문화부 발전계획에 전문화된 국립예술대학 설립이 포함되었고, 1991년 12월 30일 '한국예술종합학교설치령 대통령령'이 제정 및 발효되었다.[2] 이는 뛰어난 예술적 재능을 가진 인재를 키워 세계적인 전문 예술인을 육성하고, 문화를 중시하는 국가 이념을 구현하기 위함이었다.[1]

1992년 10월 30일 직제를 확정하고 교학처와 사무국을 설치함으로써 정식으로 개교하였고, 그해 11월에 초대 총장으로 이강숙이 부임하였다.[4] 1993년 음악원 개원을 시작으로 연극원, 영상원, 무용원, 미술원, 전통예술원이 차례대로 개원하였다.

당시 대한민국에는 예술 전문 고등교육기관이 없었기에 예술 전문 대학 설립이 추진되었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4년제 국립대학으로 운영되는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음악, 무용, 연극,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미술, 디자인, 건축, 한국 전통 예술 등 모든 예술 분야를 아우른다.

한국예술종합학교(K-Arts) 설립 이전에는 종합대학 내 개별 단과대학에서 예술 교육을 담당하였으며, 서울예술대학교가 예술 교육 관련 준학사 과정을 제공하였다.[5] K-Arts는 학사 및 석사 학위 과정과 함께 재능 있는 어린 학생들을 위한 예비학교 과정을 제공한다.[7]

2. 1. 교명 변경 시도

1999년 법 제정을 통해 국립예술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려 했으나 여러 이해관계로 인해 법안이 폐기되었고, 현재까지도 한국예술종합학교라는 명칭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2. 2. 학교 이전 문제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됨에 따라 문화재청은 왕릉 복원 계획을 세웠고, 한국예술종합학교 석관동 캠퍼스 인근에 위치한 의릉도 이 계획에 포함되었다. 따라서 문화재청 소유의 부지를 임차해 사용하는 석관동 캠퍼스 별관 지역은 이전이 불가피해졌다. 이에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석관동 캠퍼스와 서초동 캠퍼스, 대학로 캠퍼스를 통합하여 이전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서울특별시 송파구, 경기도 과천시, 고양시 등이 후보지로 거론되고 각 지자체가 유치전을 펼치고 있으나 구체적인 계획이 나온 것은 없다.

3. 특징

대한민국 최고의 예술 대학교로서 정부의 대대적인 지원 하에 예술인을 양성하여 대한민국의 문화산업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학생 개인의 충분한 창의적 재능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정원에 미달되어도 선발하지 않는 원칙을 통해 창의적 신인재를 발굴해낸다는 독특한 입시제도는 진정한 예술적 재능과 잠재적 가능성을 펼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해내고 있다. 창조적 소수를 지향하는 교육 철학으로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국내 대학과의 경쟁을 뛰어넘어 세계 정상급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유학 없이 세계 최정상급의 예술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설립 취지답게 각종 국제 대회에서 '''영국왕립음악학교''', 줄리아드 스쿨, 카네기 멜론 대학, '''파리국립음악원''' 학생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우수한 수상 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ALIA를 결성하여 국제 교류도 하고 있다.

4. 편제

1998년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소관 부처가 교육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로 변경되었다. 1999년 학칙개정으로 예술사 과정을 졸업하면 학사 학위를, 예술전문사 과정을 졸업하면 석사 학위에 상응하는 예술전문사 증서를 수여하게 되었다. 다만 고등교육법상 대학 지위를 가지고 있지 않아 박사 과정은 없다.[1]

4. 1. 학과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예술사(학사) 과정과 예술전문사(석사)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각 과정은 음악원, 연극원, 영상원, 무용원, 미술원, 전통예술원 등 6개의 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원에는 다양한 학과들이 개설되어 있다.

예술사 과정은 실기와 이론으로 나뉘어 학과가 개설되어 있으며, 예술전문사 과정은 각 원별로 학과가 개설되어 있다. 또한, 여러 원이 함께 참여하는 협동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4. 1. 1. 예술사 (학사) 과정

실기과이론과
음악원성악과, 기악과, 작곡과, 지휘과, 음악테크놀러지과음악학과
연극원극작과, 무대미술과, 연기과, 연출과연극학과, 연극학과 예술경영전공
영상원영화과, 방송영상과, 멀티미디어영상과, 애니메이션과영상이론과
무용원실기과, 창작과이론과, 이론과 예술경영전공
미술원조형예술과, 디자인과, 건축과미술이론과
전통예술원음악과, 무용과, 연희과, 한국음악작곡과한국예술학과


4. 1. 2. 예술전문사 (석사) 과정

width=1% rowspan=9|예술전문사 (석사)
학과
음악원오페라과 · 가곡 및 오라토리오과 · 기악과 · 작곡과 · 음악테크놀러지과 · 지휘과 · 음악학과
연극원극작과 · 무대미술과 · 연기과 · 연출과 · 연극학과
영상원영화과 · 방송영상과 · 멀티미디어영상과 · 애니메이션과 · 영상이론과
무용원실기과 · 창작과 · 이론과 · 예술경영과
미술원조형예술과 · 디자인과 · 건축과 · 미술이론과
전통예술원음악과 · 무용과 · 연희과 · 한국예술학과
협동과정음악극창작과


5. 캠퍼스

한국예술종합학교는 서울에 석관캠퍼스, 서초캠퍼스, 대학로캠퍼스 총 세 곳의 캠퍼스를 두고 있다.[9]

각 캠퍼스의 위치와 소속된 원은 다음과 같다.

캠퍼스위치소속 원 및 부속시설
석관동 캠퍼스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32길 146-37대학 본부, 영상원, 미술원, 전통예술원, 연극원
서초동 캠퍼스서울특별시 서초구 남부순환로 2374음악원, 무용원
대학로 캠퍼스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215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한국예술영재교육원, 한국예술연구소



각 캠퍼스 인근의 전철역은 다음과 같다.

6. 부속 시설

한국예술종합학교에는 다양한 부속 시설이 있다.

2008년 8월 영재교육진흥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은 예술 영재를 조기에 발굴하고 양성하기 위한 기관이다. 음악, 무용, 전통예술 분야의 우수한 초, 중, 고등학생들을 전액 장학금으로 교육하고 있다.[1]

음악원에는 고음악연구소와 컴퓨터 음악 연구소가 있다. 2005년 설립된 고음악연구소는 오자경 교수를 중심으로 고음악 연구를 진행하며, 헤이그 음악 왕립 음대 학장 Jan Kleinbussienk 등 해외 전문가 특강 및 워크샵을 개최한다.[1] 컴퓨터 음악 연구소는 컴퓨터를 활용한 음악 및 음향 연구, 산학협력 프로젝트, 교육 사업을 수행하며 한국전자음악협회와 협력하여 컴퓨터음악 공연 활성화에도 기여한다.[1]

연극원 부설 극단 돌곶이는 연극원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문화 소외 지역과 일반인들에게 문화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해외 연극 학교와의 교류 및 해외 연극제 참가를 통해 한국 연극을 알린다. 2001년 베데킨트의 <봄이 눈뜰때>를 시작으로 <우리나라 우투리>, <미생자>, <쑥부쟁이> 등 다양한 작품을 공연했다.

2000년 9월 개소한 무용원 부설 세계민족무용연구소는 세계 각국의 민족무용 연구와 교류를 통해 우리 민족무용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발전시키며, 세계 민족무용 공연 활성화를 도모한다.

6. 1. 한국예술영재교육원

한국예술영재교육원은 2008년 8월 영재교육진흥법 제8조에 근거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 부설로 설립되었다. 현재 국가 차원의 예술영재 조기 발굴 및 양성 체계 구축을 설립 목적으로 음악, 무용, 전통예술 분야의 우수한 학생들(초3~고3)을 전액 장학금으로 교육하고 있는 기관이다.[1]

'''설립 목적'''[1]

  • 잠재력 있는 예술영재의 조기 발굴 및 양성
  • 예술영재 양성 체계 구축 및 양질의 예술영재교육 도모
  •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예술교육을 활용한 예술영재교육의 모범 사례 정립


'''교육 개요'''[1]

  • 음악(기악, 성악, 작곡)
  • 발레
  • 전통예술(음악(기악, 성악), 무용, 연희)


'''교육 대상'''[1]

각 분야의 예술적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이 뛰어난 전국의 초·중·고등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 (분야 및 세부 전공에 따라 다름)

http://kniga.karts.ac.kr/ 한국예술영재교육원 홈페이지

6. 2. 음악원 부설 연구소

2005년 설립된 음악원 부설 고음악연구소는 한국의 여러 음악 분야 중 고음악 분야가 극히 제한적으로만 연구되고 있어 오자경 소장(한예종 음악원 기악과 교수)을 중심으로 고음악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매해 고음악에 대한 특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헤이그 음악 왕립 음대 학장인 Jan Kleinbussienk, Brabant Conservatorium 소속 “칸투스 모달리스”의 리더인 Dr. Rebecca Stewart의 특강과 일본의 바로크 댄스 전문가인 호나미 코가와 기요타카 야요시를 초청하여 바로크 시대의 춤과 음악에 대한 워크샵 등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1]

음악원 부설 컴퓨터 음악 연구소는 컴퓨터를 사용한 음악 및 음향을 연구하며 알고리즘, 컨트롤링 등 다양한 컴퓨터 환경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경주 문화 EXPO 2000의 가상현실과 영상음악 및 음향 작업(KIST 협력 사업), 벤처 기업인 OrAndIf와의 논리 게임 "하비스의 진자” 음향 및 음악 제작, LG 전자의 핸드폰 벨 소리 개발 등 산학협력 프로젝트들이 있으며, MBC Radio PD 및 음향 기술자 연수 등의 교육 사업도 수행했다.[1]

또한 한국전자음악협회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본 연구소는 ACC 2008(Osaka Geidai) 초청 음악회, Next Wave Concert 2008(KNUA) 등 컴퓨터음악 공연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1]

무용원 부설 한국작곡가연구소는 창작음악에 대해 체계적인 관리가 안되는 현실에 맞춰 음악을 창작하는 작곡가들에 대한 분류, 연구, 교육분야를 중점으로 활동하고 있다.[1]

6. 3. 연극원 부설 연구소/극단

극단 돌곶이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부설 극단으로, 연극원에서 공부한 많은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만들어졌다. 이 극단은 문화 소외 지역이나 일반인들에게 학교에서 배우고 경험한 다양한 능력을 보여주고 문화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또한, 해외 여러 나라의 연극 학교 및 학과와 교류하며 해외 연극제에도 참여하여 한국 연극계를 알리는 데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01년 창단 준비 공연으로 베데킨트 작, 조태준 연출의 <봄이 눈뜰때>를 예술의 전당 토월극장에 올렸다. 2002년에는 창단 공연으로 김광림 작/연출의 <우리나라 우투리>를 예술의 전당 자유소극장에 올렸다. 그 후, 공연된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

  • 윤영선 작/이상우 연출: <미생자>
  • 추민주 작/연출: <쑥부쟁이>
  • 최은이, 민준호 작/민준호 연출: <거울공주 평강이야기>
  • 장유정 작/연출: <김종욱 찾기>
  • Peter. W. Willson 작/연출: <다리, The Bridge>
  • 윤정섭 작/연출: <무거운 물>
  • Eli Simon, 김석만 각색/연출, David Pledger 각색/연출: <비무장지대로 날아간 새>
  • 고재귀 작/김현우 연출: <당신이야기>
  • 김태형 작/이종성 연출: <당신의 의미>
  • 지이선 작/김태형 연출: <모범생들>
  • 이지홍 작/조규상 연출: <바람속에 던져진 꽃>

6. 4. 무용원 부설 연구소

세계 각국의 민족무용 연구와 교류를 통해 우리 민족무용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를 발전시켜 학술적 체계를 정립함과 아울러 세계 민족무용 공연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2000년 9월 6일 개소한 연구기관이다. 국가 문화정책에 기여하고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기 위한 연구기관이기도 하다.

7. 사건·사고 및 논란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으로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 후, 새 정부는 참여정부 시절 임명된 황지우 총장을 포함한 문화 예술 기관장들의 교체를 시도했다. 진보계에서는 이를 보수적 문화예술계가 원하는 방향으로 한예종을 수정하려는 시도로 분석했다.[1]

보수적 문화단체들은 황지우 총장이 진보적 성향이며 노무현 정부 시절 임명되었고, 한예종 주요 교수진들이 새 정부와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한예종을 '좌파 엘리트의 온상'으로 지목하고 '좌파' 낙인을 찍었다고 주장했다.[1]

황지우 총장 퇴출 이후 박종원 총장이 취임하였고, 협동과정은 2011년부터 신입생 모집을 중단했다. 한예종 사태는 일단락된 듯 보이지만, 학교의 미래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전망이 있다.[1]

2008년, 한예종은 예술과 과학기술을 융합하는 U-AT(Ubiquitous-Art & Technology) 통섭 연구사업을 위해 미래교육준비단을 설립하고,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대(포스텍)와 협력했다.[21]

당초 400억의 국가 예산이 배정되어 300억이 집행되었으나, 2008년 말 문화체육관광부의 결정에 따라 2009년 예산 전액이 삭감되어 연구사업은 중지되었다. 황지우 총장은 2009년 5월 19일 총장직에서 사퇴했고,[21][22] 이후 심광현 교수가 행정소송에서 승소했다.[21]

2012년 4월, 서울지방경찰청은 한예종 음악원 이모 교수를 부정입학 혐의로 구속했다.[23][24] 이 교수는 제자들을 부정 입학시키는 대가로 2.6억을 받고, 불법 레슨으로 4000만 상당의 교습비를 챙겼으며, 실기시험 채점 과정에서 제자 19명에게 최고점을 줘 한예종 음악원에 합격시킨 것으로 드러났다.[25][26][27]

7. 1. 한예종 사태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으로 10년 만에 정권 교체가 이루어진 후, 새 정부는 기존 문화 예술 기관장들의 교체를 시도했으며, 여기에는 참여정부 말기에 임명된 황지우 총장도 포함되었다. 진보계에서는 한국예술종합학교(한예종) 총장을 새로운 사람으로 교체하고 한예종을 보수적 문화예술계가 원하는 방향으로 수정하고자 '한예종에 대한 대대적 감사'를 시도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1]

새 정부와 뜻을 같이하는 보수적 문화단체들은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정체성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이들은 황지우 총장이 진보계의 입장을 대변하는 시인이었고 노무현 정부 시절 임명되었으며, 한예종의 주요 교수진들이 새 정부와 코드가 맞지 않다는 이유로 한국예술종합학교를 '좌파 엘리트의 온상'으로 지명하고 한예종 전체에 '좌파' 낙인을 찍었다고 주장했다.[1]

이에 더해 이미 본교를 견제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득권 명문예술대학 연합단체는 연일 '한예종 해체'를 주장하며 한예종의 기능을 축소시키려 했다. 이러한 방침에 대한 저항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지만, '우파 정권에서는 우파 총장이 나와야 한다'는 신재민 문화부 차관의 발언은 불난 집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되었다.[1]

감사상의 부적격 조건을 들어 퇴출된 황지우 총장에 이어 뉴라이트 싱크넷의 발기인을 맡았던 박종원 총장이 교수진 투표를 통해 취임하게 되었고, 협동과정은 2011년부터 신입생을 모집하지 않게 되었다. 총장의 사퇴와 문화부 감사 결과 이행으로 인해 현재는 한예종 사태가 일단락된 듯 보이지만, 본교의 미래는 현 정부와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기존 사학재단들의 기득권이 엄연한 현시점에서, 그리고 매 정권마다 번번이 설치법 제정이 좌절된 이제까지의 상황에 비추어 그리 낙관적이지 않아 보인다는 전망이다.[1]

7. 2. 미래교육준비단 (U-AT Lab)의 발족과 해체

2007년 '유비쿼터스 시대'가 시작되면서 예술과 과학기술의 접목 기회가 늘어났다. 한예종은 이러한 기회를 예술교육에 적극 활용하고자 2008년 3월 미래교육준비단을 설립했다. 이 준비단은 다양한 학문 분야를 융합하는 연구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포항공대(포스텍)와 함께 U-AT(Ubiquitous-Art & Technology) 통섭 연구사업을 시작했다.[21]

당초 계획에 따르면, U-AT 사업은 9개의 Lab을 통해 기초 연구를 시작하고, 2010년에는 한예종 내에 '통섭원' 과정을 설립하여 한예종의 예술 교육 성과를 과학기술과 결합하여 창의적인 예술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표였다. 4년으로 계획된 이 연구사업은 1차년도인 2008년에 400억의 국가 예산이 배정되어 이 중 300억이 집행되었다. 이 사업을 통해 예술과 과학기술 통섭을 위한 국제 심포지움인 isAT2008 개최, 2008년 2학기 8개의 통섭시범교과 운영, 30여 권의 교재 및 연구 보고서, 총서 출간 등의 성과를 냈다.[21]

참여 교수는 다음과 같다.[21]

교수소속 및 담당 분야
심광현단장, AT-미디어 교육랩, 영상원 영상이론과 교수
전수환부단장, 협동과정 예술경영과 교수
박현철디지털 아카이빙랩, 영상원 영화과 교수
이동연예술과 놀이랩,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 교수
양승무예술과 놀이랩, 미술원 디자인과 교수
윤정섭U 스마트시티랩, 연극원장
박인석몰입경험문화디자인랩, 미술원 디자인과 교수
장재호특수음향 알고리즘랩, 음악원 뮤직테크놀로지과 교수
원일디지털악가무랩, 전통예술원 음악과
박세형디지털모션그래픽스랩, 영상원 애니메이션과 교수
진중권객원교수, 예술과 놀이랩 자문교수



그러나 2008년 말 문화체육관광부의 결정에 따라 2009년 예산 전액이 삭감되어 연구사업은 중지되었다. 현재는 협동과정 내 단일 연구소(AT Lab)로 축소되어 5개의 시범교과를 운영 중이다. 2008년 진행된 U-AT 통섭사업에 대해 뚜렷한 성과가 약하거나 불확실하다는 것이 예산 삭감의 이유였다. 한편 2009년 5월 18일 문화체육관광부는 한예종에 대한 종합 감사 결과로 황지우 총장의 중징계를 교육과학기술부에 요청하고, 한예종의 일부 학과 축소 및 폐지, AT Lab 교육 사업 중지, U-AT 관련 교수 징계 등을 요구하였다. 이에 황지우 총장은 '정당한 학습권과 교권을 침해하는 반교육적 감사결과'라며 2009년 5월 19일 총장직 사퇴를 선언하여 논란이 되었다.[21][22]

이후 통섭교육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로 학교로부터 정직 3개월 처분을 받은 심광현 교수가 2011년 4월 20일 서울행정법원에서 행정소송을 제기하여 1심 취소처분 판결을 받아 승소했다.[21]

7. 3. 음악원 부정입학 사건

2012년 4월 28일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음대 입시준비생들에게 불법으로 교습하고, 자신이 근무하는 학교에 부정 입학시킨 혐의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이모 교수(44)를 구속했다.[23][24]

이 교수는 제자 김모씨(22)를 한예종 음악원에 입학시키는 대가로 김씨 부모에게 합격 사례금 명목으로 2.6억을 받았다. 2010년 3월부터 10월까지 김씨에게 시간당 15만원을 받고 40여 차례 불법 교습을 했고,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한예종 음악원 입시생 13명을 상대로 불법 레슨을 하여 4000만 상당의 교습비를 챙겼다. 특히 실기시험 채점자였던 이 교수는 제자 19명에게 최고점을 줘 한예종 음악원에 최종 합격시킨 것으로 드러났다.[25][26][27]

8. 역대 총장

대수임기이름
1대1992 ~ 2002이강숙
2대
3대
4대2002 ~ 2006이건용
5대2006 ~ 2009황지우
6대2009 ~ 2013박종원
7대2013 ~ 2021김봉렬
8대
9대2021김대진


9. 동문

10. 국제 교류

참조

[1] 웹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전체 제정·개정이유 https://www.law.go.k[...] 2024-05-29
[2] 웹사이트 한국예술종합학교 개교 30주년 웹사이트: 1991. 12. 30. 한국예술종합학교 설치령 제정 (대통령령 제13528호) https://30th.karts.a[...] 2024-05-29
[3] 웹사이트 노태우 대통령의 문화정책 메시지 https://www.arko.or.[...] 2024-06-05
[4] 웹사이트 한국예술종합학교 개교 30주년 웹사이트: 1992. 10. 11. (법인)한국예술종합학교 발전재단 설립 https://30th.karts.a[...] 2024-06-05
[5] 웹사이트 [2024 수시특집] 서울예술대학교, ‘융합’을 통해 새로운 예술 꿈꾸다 https://www.pointdai[...] 2024-05-29
[6] 웹사이트 [대학 탐방 세계로… 미래로…]서울예술대학 https://n.news.naver[...] 2024-05-29
[7] 웹사이트 한국예술종합학교: 부설기관 한국예술영재교육원 https://www.karts.ac[...] 2024-06-05
[8] 웹사이트 한국예술종합학교 현황: 대한민국 예술교육의 산실, 한국예술종합학교의 현황을 알려드립니다. (2023.9.30 기준) https://www.karts.ac[...] 2024-05-29
[9] 웹사이트 한국예술종합학교: 캠퍼스 맵 https://www.karts.ac[...] 2024-05-29
[10] 웹사이트 Sunwook Kim https://www.leedspia[...] 2024-06-05
[11] 웹사이트 Sunwook Kim plays Brahms https://philharmonia[...] 2024-06-05
[12] 뉴스 A Contest for the World, Led by South Koreans https://www.nytimes.[...] 2007-06-26
[13] 문서 International Schools with courses recognised by the RIBA https://www.architec[...]
[14] 웹사이트 THE CHASER https://www.festival[...] 2008-05-17
[15] 웹사이트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https://www.biff.kr/ 2024-06-05
[16] 웹사이트 Yunchan Lim wins Van Cliburn International Piano Competition https://www.classica[...] 2024-05-29
[17] 웹사이트 女演員林智妍,頒獎典禮上與EXO 穗和緊密合照…“前同班同學” https://news.kstyle.[...] Kstyle 2016-01-23
[18] 웹사이트 林智妍,公開與EXO 穗、邊佑錫、金高銀的親密關係「在群組聊天」 https://news.kstyle.[...] Kstyle 2016-01-31
[19] 웹사이트 EXO-K 사용설명서① 수호·백현·찬열 편 http://star.ohmynews[...] OhmyNews 2012-05-11
[20] 웹인용 한국예술종합학교 설치령 (대통령령 제24610호) http://www.law.go.kr[...] 2019-11-21
[21] 뉴스 진중권 참여 프로젝트, 30억대 사업부실 및 공금유용 의혹 http://ournews.kr/ne[...] OURNEWS 2009-05-02
[22] 뉴스 황지우 “한예종 구조개편 겨냥 표적감사 당했다” 총장직 사퇴…문화계 ‘진보성향 기관장 솎아내기’ 반발 http://www.hani.co.k[...] 한겨레 2009-05-19
[23] 뉴스 부정입학 뇌물 수수 한예종 교수 구속 http://imnews.imbc.c[...] MBC 2012-04-28
[24] 뉴스 제자 입학시키고 돈 받은 한예종 교수 구속 http://www.ytn.co.kr[...] YTN 2012-04-28
[25] 뉴스 불법과외에 부정입학까지...한예종 교수 검거 http://www.vop.co.kr[...] 민중의소리 2012-04-23
[26] 뉴스 부정입학·불법과외… 추악한 한예종 교수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2-04-28
[27] 뉴스 불법교습에 부정입학까지…한예종 교수 구속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2-04-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