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영 (199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재영(1993년)은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홍익대학교 재학 시절 대학 리그 에이스로 활약하며, 2015년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동메달을 획득하고, 제29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우승에 기여했다. 2016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으며, 2022년에는 질롱 코리아에서 선수로 뛰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방배초등학교 동문 - 이재영 (1979년)
이재영은 2002년 두산 베어스에 입단하여 선발 및 중간 계투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LG 트윈스와 SK 와이번스를 거쳐 2015년 시즌 후 방출되었다. - 서울방배초등학교 동문 - 남경호
남경호는 황금사자기 MVP를 수상하고 두산 베어스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했으나 5경기 출전 후 방출된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이다. - 영동중학교 (서울) 동문 - 이병헌
1991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 이병헌(1970년 ~ )은 드라마와 영화에서 흥행과 비평 모두 성공하고 할리우드에도 진출했으며, BH 엔터테인먼트 설립과 사회 공헌 활동도 이어오고 있다. - 영동중학교 (서울) 동문 - 이병헌 (2003년)
두산 베어스 소속 프로 야구 선수인 이병헌(2003년)은 2022년 데뷔 후 3시즌 동안 122경기에 출전하여 6승 1패, 27홀드, 평균자책점 3.42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괄목할 만한 성적 향상을 보였다.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김주현 (1993년)
김주현은 천안북일고등학교와 경희대학교를 졸업하고 2016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생활을 시작, 경찰 야구단에서 군 복무 후 2019년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하여 KBO 리그에서 통산 3시즌을 뛴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이다. - 201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야구 참가 선수 - 이성규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 이성규는 삼성 라이온즈 소속 내야수로, 광주동성고와 인하대학교를 졸업 후 2016년 삼성 라이온즈에 입단하여 경찰 야구단에서 군 복무를 마치고 2020년 데뷔 첫 두 자릿수 홈런을 기록했으며, 2018년에는 2군 홈런왕과 타점왕을 석권했다.
김재영 (199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 | |
포지션 | 투수 |
팀 | null |
등번호 | null |
투구 | 우 |
타석 | 우 |
생년월일 | 1993년 7월 22일 (세) |
출생지 |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프로 입단 정보 | |
데뷔 리그 | KBO |
데뷔일 | 2016년 4월 2일 |
데뷔팀 | 한화 이글스 |
최종 리그 | KBO |
최종일 | 2023년 9월 17일 |
최종팀 | 한화 이글스 |
드래프트 순위 | 2016년 2차 1라운드 (한화 이글스) |
계약금 | 1억 6,000만원 |
연봉 | null |
통계 (KBO) | |
연도 | null |
승-패 | 11–13 |
평균자책점 | 5.84 |
탈삼진 | 136 |
소속팀 | |
선수 경력 | 한화 이글스 (2016년–2019년, 2022년–2023년) |
기타 경력 | 질롱 코리아 (2022년) |
국가대표 | |
대표 국가 | 대한민국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2015년 타이중 |
유니버시아드 (야구) | 2015년 광주 |
21세 이하 월드컵 | 2014년 타이중 |
메달 정보 | |
메달 내역 | null |
메달 종류 | 남자 야구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 2015 타이중 야구: 금메달 |
유니버시아드 | 2015 광주: 동메달 (단체전) |
2. 아마추어 시절
2012년에 홍익대학교에 진학했다. 2016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LG 트윈스의 1차 지명 후보였으나 선린인터넷고등학교의 김대현에게 밀렸다.
2. 1. 대학 시절
홍익대학교에 진학해 국내 대학 야구 리그를 대표하는 에이스로 이름을 알렸다. 2015년 7월 홍익대학교 4학년 때 대학 대표로 선발됐고, 20년만에 야구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됐던 광주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최채흥과 함께 에이스로 선발진을 구축하며 동메달 획득에 기여했다.[1] 그 해 9월 제 29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에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참가하여, 풀리그 2차전 중국전에 선발 등판해 5이닝 1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하며 승리 투수가 됐다.[1] 대한민국은 이 대회에서 5전 전승을 기록, 1999년 제20회 대회 이후 16년 만에 아시아 정상 자리를 되찾았다.[1]3. 프로 경력
김재영은 2016년 한화 이글스에 입단하여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시범 경기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 선발 투수로 기대를 모았으나, 정규 시즌에서는 부진하여 주로 구원 투수로 등판했다.[1] 2022년에는 질롱 코리아에 입단하였고,[1] 2023년 11월에 한화 이글스에서 방출됐다.[1]
3. 1. 한국 프로야구 시절
한화 이글스에 2016년에 입단하여 시범 경기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 선발 투수로 기대를 모았으나, 정규 시즌에서는 부진하여 주로 구원 투수로 등판했다. 2023년 11월에 방출됐다.[1]3. 1. 1. 한화 이글스 시절
한화 이글스에 2016년에 입단하였다. 시범 경기에서는 상당한 활약을 보여주며 선발진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정규 시즌에 선발로 나온 2경기에서 모두 조기 강판돼 4월 6일 이후로는 구원 투수로만 등판했다.[1] 2023년 11월에 방출됐다.[1]3. 2. 호주 프로야구 시절
2022년에 질롱 코리아에 입단하였다.[1]4. 출신 학교
5. 통산 기록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16 | 한화 이글스 | 10.32 | 11 | 0 | 0 | 0 | 0 | 0 | 0 | - | 58 | 11⅓ | 18 | 2 | 8 | 3 | 4 | 14 | 13 |
2017 | 4.54 | 20 | 0 | 0 | 5 | 7 | 0 | 0 | 0.417 | 370 | 85⅓ | 101 | 9 | 19 | 12 | 51 | 51 | 43 | |
2018 | 5.66 | 29 | 0 | 0 | 6 | 4 | 0 | 1 | 0.600 | 503 | 111⅓ | 136 | 15 | 37 | 12 | 56 | 74 | 70 | |
2019 | 12.96 | 5 | 0 | 0 | 0 | 0 | 0 | 0 | - | 41 | 8⅓ | 14 | 1 | 3 | 2 | 4 | 12 | 12 | |
2022 | 5.40 | 30 | 0 | 0 | 0 | 2 | 0 | 1 | 0.000 | 137 | 30 | 33 | 1 | 12 | 7 | 16 | 25 | 18 | |
2023 | 10.13 | 6 | 0 | 0 | 0 | 0 | 0 | 0 | - | 40 | 8 | 13 | 2 | 2 | 2 | 5 | 9 | 9 | |
통산 | 6시즌 | 5.84 | 101 | 0 | 0 | 11 | 13 | 0 | 2 | 0.500 | 1148 | 254⅓ | 315 | 30 | 81 | 38 | 136 | 185 | 166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