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파래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하위 속
- 2.1. 김파래속 (''Bangia'')
- 2.2. ''Bangiomorpha''
- 2.3. ''Boreophyllum''
- 2.4. ''Clymene''
- 2.5. ''Dione''
- 2.6. ''Fuscifolium''
- 2.7. ''Kuwaitiella''
- 2.8. ''Lysithea''
- 2.9. ''Minerva''
- 2.10. ''Miuraea''
- 2.11. ''Neomiuraea''
- 2.12. ''Neoporphyra''
- 2.13. ''Neopyropia''
- 2.14. ''Neothemis''
- 2.15. ''Phycocalidia''
- 2.16. 김속 (''Porphyra'')
- 2.17. ''Porphyrea''
- 2.18. ''Pseudobangia''
- 2.19. ''Pyropia''
- 2.20. ''Spermogonia''
- 2.21. ''Uedaea''
- 2.22. ''Wildemania''
- 참조
1. 개요
김파래과는 홍조식물문의 김파래강에 속하는 과이다. 20~22개의 속을 포함하며, 이 중 하나를 제외하고는 모두 현존한다. 김파래속, 김속, 피로피아속 등을 포함한 다양한 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김파래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Bangiaceae |
명명자 | Duby, 1830 |
하위 분류 | |
속 | 뱅기아 (Bangia) †방기오모르파 (Bangiomorpha) 보레오필룸 (Boreophyllum) 클리메네 (Clymene) 칼리디아 (Calidia) 디오네 (Dione) 푸스키폴리움 (Fuscifolium) 쿠와이티엘라 (Kuwaitiella) 리시테아 (Lysithea) 미네르바 (Minerva) 미우라에아 (Miuraea) 네오미우라에아 (Neomiuraea) 네오포르피라 (Neoporphyra) 네오피로피아 (Neopyropia) 네오테미스 (Neothemis) 피코칼리디아 (Phycocalidia) 포르피라 (Porphyra) 포르피레아? (Porphyrea?) (불확실한 상태) 슈도방기아 (Pseudobangia) 피로피아 (Pyropia) 스페르모고니아 (Spermogonia) 테미스 (Themis) 우에다에아 (Uedaea) 빌데마니아 (Wildemania) |
학술 분류 | |
역 | 진핵생물 |
(미분류) | 원시색소체생물 |
문 | 홍조식물문 |
강 | 김파래홍조강 |
목 | 김파래목 |
2. 하위 속
김파래과에는 20~22개의 속이 있으며, 이 중 하나를 제외하고는 모두 현존한다.[5]
한글 이름 | 학명 | 종 수 | 비고 |
---|---|---|---|
김파래속 | Bangiala | 17종 | |
방기오모르파속 | Bangiomorphala | 1종 | |
보레오필룸속 | Boreophyllumla | 3종 | |
클리메네속 | Clymenela | 1종 | |
디오네속 | Dionela | 1종 | |
푸스키폴리움속 | Fuscifoliumla | 2종 | |
쿠웨이티엘라속 | Kuwaitiellala | ||
리시테아속 | Lysitheala | 1종 | |
미네르바속 | Minervala | 1종 | |
미우레아속 | Miuraeala | 1종 | |
네오미우레아속 | Neomiuraeala | ||
네오포르피라속 | Neoporphyrala | ||
네오피로피아속 | Neopyropiala | ||
네오테미스속 | Neothemisla | ||
피코칼리디아속 | Phycocalidiala | ||
김속 | Porphyrala | 56종 | |
포르피레아속 | Porphyreala | 불확실 | |
유사뱅기아속 | Pseudobangiala | 1종 | |
피로피아속 | Pyropiala | 52종 | |
정자낭속 | Spermogoniala | 불확실 | |
우에다에아속 | Uedaeala | ||
와일데마니아속 | Wildemaniala | 7종 |
2. 1. 김파래속 (''Bangia'')
김파래속( ''Bangia'')에는 17종이 속해 있다.[5]2. 2. ''Bangiomorpha''
방기오모르파속(Bangiomorpha)은 김파래과에 속하는 속의 일종이다.[5] 1종을 포함하고 있다.2. 3. ''Boreophyllum''
보레오필룸속( ''Boreophyllum'')에는 3종이 속한다.[5]2. 4. ''Clymene''
클리메네속(''Clymene'')은 김파래과에 속하는 속 중 하나이며, 1종을 포함하고 있다.[5]2. 5. ''Dione''
Dione (W.A.Nelson)에는 1종이 속한다.[5]2. 6. ''Fuscifolium''
Fuscifolium에는 2종이 속한다.[5]2. 7. ''Kuwaitiella''
A.H.Hasan, P.Van der Aa, F.C.Küpper, D.Al-Bader, A.F.Peters가 2022년에 명명한 속이다.[5]2. 8. ''Lysithea''
W.A.Nelson이 명명한 단형 속으로 1종을 포함한다.[5]2. 9. ''Minerva''
Minerva (W.A.Nelson)에는 1종이 속한다.[5]2. 10. ''Miuraea''
Miuraea (N.Kikuchi, S.Arai, G.Yoshida, J.A.Shin, & M.Miyata)은 김파래과에 속하는 속 중 하나이며, 1종을 포함하고 있다.2. 11. ''Neomiuraea''
N.Kikuchi, S.Arai, G.Yoshida, J.A.Shin & Miyata가 2018년에 명명한 속이다.[5]2. 12. ''Neoporphyra''
''Neoporphyra''는 J.Brodie와 L.-E.Yang이 2020년에 명명한 속이다.[5]2. 13. ''Neopyropia''
''Neopyropia'' J.Brodie & L.-E.Yang, 2020[5]2. 14. ''Neothemis''
A.Vergés와 N.Sánchez가 명명한 속이다.[5]2. 15. ''Phycocalidia''
김파래과(Bangiaceae)에는 현재 20~22개의 속이 인정되고 있으며, 이 중 하나를 제외하고는 모두 현존한다.[5] 이 과에 속하는 ''Phycocalidia'' (Santiañez & M.J.Wynne, 2020)는 그 속들 중 하나이다.2. 16. 김속 (''Porphyra'')
김속(''Porphyra'')은 56종을 포함하며, 흔히 '김'으로 불리는 해조류이다.[5] 한국에서는 김 양식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김을 생산하며, 이는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2. 17. ''Porphyrea''
김파래과(''Porphyra'')에는 현재 20~22개의 속이 인정되며, 이 중 하나를 제외하고는 모두 현존한다.[5] Porphyrea 속이 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나, 불확실한 상태이다.2. 18. ''Pseudobangia''
Pseudobangia - 1종[5]2. 19. ''Pyropia''
''Pyropia''영어는 김파래과에 속하는 속으로, 52종이 있다.[5]한글 이름 | 학명 | 종 수 |
---|---|---|
피로피아속 | Pyropiala | 52종 |
2. 20. ''Spermogonia''
Spermogonia? (Bonnemaison) (불확실한 상태)[5]2. 21. ''Uedaea''
Uedaea J.Brodie & L.-E.Yang, 2020[5]2. 22. ''Wildemania''
Wildemania에는 7종이 속한다.[5]참조
[1]
서적
Botanicon gallicum sen synopsis plantarum in flora gallica descriptarum. Editio secunda. Ex herbariis et schedis Candollianis propriisque digestum a J. É. Duby V.D.M. Pars secunda plantas cellulares continens
Ve Desray, Rue Hautefueille, No. 4. Paris
1830
[2]
웹사이트
AlgaeBase
http://www.algaebase[...]
2018
[3]
웹사이트
Bangiaceae Engler, 1892
2018-02-03
[4]
간행물
Molecular evidence of allodiploidy in F1 gametophytic blades from a cross between Neopyropia yezoensis and a cryptic species of the Neopyropia yezoensis complex (Bangiales, Rhodophyta) by the use of microsatellite markers
https://kaken.nii.ac[...]
2020-11
[5]
웹사이트
Bangiaceae Duby, 1830
2024-02-21
[6]
웹인용
Bangiaceae
http://www.ncbi.nlm.[...]
2009-03-21
[7]
웹인용
Family: Bangiaceae taxonomy browser
http://www.algaebase[...]
"''AlgaeBase version 4.2''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12-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