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홍운은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다. 안의중학교 2학년 때 축구를 시작하여 건국대학교를 거쳐 1987년 포항제철 아톰즈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로 데뷔했다. 이후 유공 코끼리, LG 치타스를 거쳐 울산 현대 호랑이에서 선수 생활을 하였으며, 1993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창신고등학교 동문 - 이은상 (시인)
이은상은 일제강점기 국민문학파 시인으로 활동하며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삶의 무상함을 표현한 시조 시인이자 문학 박사 학위 취득 후 대학교에서 후학을 양성하고 정치 활동을 하였으나, 친일 행적 논란 등 삶에 대한 균형 있는 평가가 필요한 인물이다. - 창신고등학교 동문 - 이영진 (1972년)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출신 지도자 이영진은 1994년 일화 천마에 입단하여 선수 생활을 시작, 은퇴 후 지도자로서 원삼중학교 코치, 백암고등학교 감독을 거쳐 성남 FC 코치, 수석코치, 감독대행 등을 역임하며 2010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과 2014년 FA컵 우승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중학교 축구부 감독 - 최문식
최문식은 대한민국 전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이며, 선수 시절에는 K리그와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을, 지도자로서 대한민국 U-20 대표팀의 AFC U-19 챔피언십 우승과 U-23 대표팀의 아시안 게임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중학교 축구부 감독 - 조병영
조병영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출신 법조인으로, 럭키금성 황소에서 프로 선수로 활동하며 K리그 우승을 경험했고, 은퇴 후 법조인으로서 대통령 표창, 홍조근정훈장, 대한민국 법률대상, 자랑스러운 서울대 법대인으로 선정되는 등 공헌을 인정받았다.
김홍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홍운 |
출생일 | 1964년 3월 21일 |
출생지 | 대한민국 |
키 | 189cm |
포지션 | 은퇴 (과거 공격수) |
선수 경력 | |
학교 | 건국대학교 (1983-1986) |
클럽 | 포항제철 아톰즈 (1987-1991) 유공 코끼리 (1991) LG 치타스 (1992) 현대 호랑이 (1993) |
클럽 출장 및 득점 | 포항제철 아톰즈: 72경기 (12골) 유공 코끼리: 8경기 (0골) LG 치타스: 8경기 (1골) 현대 호랑이: 5경기 (0골) |
통산 출전 | 93경기 |
통산 득점 | 13골 |
클럽팀 최신 업데이트 날짜 | 2019년 10월 27일 |
지도자 경력 | |
감독 | 양정초등학교 (???) 농소초등학교 (???) |
2. 선수 경력
김홍운은 안의중학교 2학년 때 축구를 시작하여 창신고등학교를 거쳐 건국대학교에 진학, 대학 리그에서 주전으로 활약하며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4강, 춘계대학축구연맹전 우승을 이끌었다.[2] 1987년 포항제철 아톰즈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로 데뷔했으나, 무릎 부상과 그 후유증으로 어려움을 겪었다.[3][5] 1991년 7월 5일 유공 코끼리로 이적했고,[6] 1992년 4월 20일 자유계약선수로 풀려 LG 치타스로 이적했다.[7] 1993년 5월 현대 호랑이로 이적하여[8] 5경기에 출전한 후, 1993시즌을 끝으로 은퇴했다.
2. 1. 유소년 시절
김홍운은 안의중학교 2학년 때부터 축구를 시작했다.[1] 이후 창신고등학교를 거쳐 건국대학교에 진학했다. 건국대 시절 김홍운은 대학리그에서 주전으로 활약했으며 대통령배 전국축구대회 4강과 춘계대학축구연맹전에서 우승을[2] 거머쥐며, 대학 축구계의 태풍의 눈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로 인해 건국대 선수들이 대거 국가대표에 발탁되기도 하였다.2. 2. 프로 선수 시절
김홍운은 1987년 포항제철 아톰즈에 입단하면서 프로 축구 선수로 데뷔했다. 1987시즌 전반기에는 무릎 부상으로 제대로 뛰지 못했지만,[3] 1987년 8월 17일 현대 호랑이전에서 2골을 기록하면서 K리그 첫 득점을 신고했으며, 이후 9월 21일 현대 호랑이전에서 다시 2골을[4] 기록했다. 그러나 전반기 때 당한 무릎 부상의 후유증으로[5] 9골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이후에는 부상에 시달렸으며, 1991년 7월 5일 이석경과의 맞트레이드를 통해[6] 유공 코끼리 유니폼을 입었다.그 다음 해인 1992년 4월 20일 유공에서 자유계약선수로 풀린 뒤 LG 치타스로 이적했다.[7] 1992년 10월 14일 열린 유공 코끼리와의 리그컵 경기에서 LG 입단 이후 첫 골을 기록했다.
1993년 5월 현대 호랑이로 이적했으며,[8] 현대에서는 5경기에 출전했다. 1993시즌 종료 후 현역에서 은퇴했다.
참조
[1]
뉴스
浦項製鐵金(포항제철금)홍운선수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1987-10-24
[2]
뉴스
浦項製鐵金(포항제철금)홍운선수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1987-10-24
[3]
뉴스
金弘運(김홍운),金鑄城(김주성)제치고 신인왕후보 부상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7-09-22
[4]
뉴스
浦鐵(포철) 2연승 大宇(대우)추격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7-09-21
[5]
뉴스
金弘運(김홍운),金鑄城(김주성)제치고 신인왕후보 부상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7-09-22
[6]
뉴스
50경기 마친 프로축구 판도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1991-07-12
[7]
뉴스
스포츠 短信(단신)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2-04-21
[8]
뉴스
현대축구단—김홍운 입단계약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1993-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