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깃발 더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깃발 더비는 2016년 수원 FC와 성남 FC 간의 경기를 앞두고, 당시 성남시장과 수원시장의 제안으로 시작된 축구 라이벌 더비이다. 경기에서 패배한 팀이 연고지 시청에 승리팀의 구단기를 게양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K리그와 FA컵에서 여러 차례 경기를 가졌다. 정치적인 의도로 급조된 라이벌 더비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남 FC -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
    1990년대 중반 대한민국 정부 주도로 프로축구 활성화를 위해 추진된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은 서울 연고 구단들을 지방으로 이전시켜 서울을 연고 공동 지역으로 만들었으나, 경쟁력 약화와 팬심 이탈을 초래하여 2004년 FC 서울의 복귀로 사실상 철폐되었다.
  • 성남 FC - 동대문운동장
    동대문운동장은 일제강점기에 건립되어 '경성운동장', '서울운동장'을 거쳐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과거 동양 최대 규모의 스포츠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나, 2007년 폐쇄 후 철거되어 현재는 동대문역사문화공원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가 들어서 있다.
  • 대한민국의 축구 더비 - 경평대항축구전
    경평대항축구전은 일제강점기 경성과 평양의 축구팀들이 벌인 대항전으로, 민족 단합과 극일 정신 고취에 기여했으나 남북 분단으로 중단되었고, 경평전의 주축 축구단들은 해방 이후 남북한 국가대표 축구팀의 모태가 되었다.
  • 대한민국의 축구 더비 - 동해안 더비
    동해안 더비는 포항 스틸러스와 울산 HD FC 간의 축구 경기를 지칭하며, 199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K리그 대표 더비로 자리 잡았고, K리그1에서 161경기가 치러졌으며, FA컵과 AFC 챔피언스리그에서도 경기가 진행되었다.
  • 수원 FC - 김대의
    김대의는 K리그 3연패와 MVP 수상 등 성남 일화 천마에서 최전성기를 보내고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도 K리그 우승을 경험하며 K리그 베스트 11에 3년 연속 선정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현재 축구 지도자이다.
  • 수원 FC - 이범영
    이범영은 K리그와 J리그에서 활약한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골키퍼 포지션이며 청소년 대표를 거쳐 런던 올림픽 동메달과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우승을 경험했고, 특히 런던 올림픽 8강전 승부차기 선방으로 팀의 4강 진출에 기여했다.
깃발 더비
깃발 더비
더비 정보
팀1성남 FC
팀2수원 FC
팀1로고크기100px
팀2로고크기100px
지역경기도 성남시
경기도 수원시
첫 경기2004년 12월 14일
경쟁 팀
경기 수10
최다 승리수원 FC, 성남 FC (4승)
최다 득점자김동찬 (3골)
최근 경기2024년 4월 17일
코리아컵
역대 전적10전 4승 2무 4패
최다 점수차 경기성남 5–1 수원 (2012.05.23)

2. 역사

깃발 더비는 2016년 K리그 클래식 승격을 기념하여 당시 성남 FC 구단주였던 이재명 시장과 수원 FC 구단주였던 염태영 시장 간의 제안으로 시작되었다. 두 팀 간의 경기에서 패배하는 팀의 연고지 시청에 승리 팀의 구단기를 게양하는 내기가 성사되면서 '깃발라시코' 또는 '깃발더비'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다.[1][2]

첫 경기는 무승부로 끝나 깃발 게양은 다음으로 미뤄졌으나,[3] 이후 열린 경기에서 수원 FC가 승리하면서 성남시 측에 수원 FC의 구단기가 처음으로 게양되었다.[4] 이를 계기로 두 팀 간의 치열한 라이벌 관계가 형성되었다.

2. 1. 탄생 배경과 과정

2016년 3월 21일 수원 FC성남 FC의 경기를 앞두고, 당시 성남 구단주였던 이재명 시장이 피투 영입 후 SNS를 통해 "피투가 피 튀길지도 모릅니다. 성남 첫 원정경기 상대가 수원 FC인데 염태영 구단주님 혹시 무섭나요? 수원에서 만나자"라는 글을 게시하며, 수원 구단주인 염태영 시장에게 경기에서 패배하는 팀의 연고지 시청에 승리 팀의 구단기를 게양하는 내기를 제안했다. 염태영 시장이 이를 받아들이면서 두 팀의 라이벌 관계는 '깃발라시코' 또는 '깃발더비'로 불리게 되었다.[1][2]

3월 21일에 열린 첫 경기에서는 양 팀이 1:1로 비기면서 깃발 게양은 다음 경기로 미뤄졌다.[3] 이후 7월 24일 경기에서 수원 FC성남 FC를 2:1로 꺾으면서, 탄천종합운동장에 처음으로 수원 FC의 구단기가 걸렸다.[4]

3. 비판

깃발 더비는 정치인이기도 한 양 팀 구단주들이 흥행과 더불어 다른 정치적인 목적을 이유로 인위적으로 조성한 라이벌 더비라는 비판이 있다. 이 때문에 라이벌 더비 본연의 의미가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4. 경기장

wikitext

성남 FC수원 FC
탄천종합운동장수원종합운동장
수용인원: 16,146명수용인원: 11,808명
탄천종합운동장


5. 역대 전적

두 팀 간의 역대 전적은 아래와 같다. 상세한 경기 결과는 각 대회별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 '''통산 전적 (2024년 4월 17일 기준)''' : 16전 8승 3무 5패 (성남 FC 기준)
  • '''K리그 전적''' : 12전 5승 3무 4패 (성남 FC 기준)
  • '''FA컵 전적''' : 4전 3승 0무 1패 (성남 FC 기준)

5. 1. K리그

wikitext

'''K리그 깃발 더비 역대 전적'''
날짜경기장홈팀점수원정팀득점 선수
2016년 3월 21일수원종합운동장수원 FC1 - 1성남 FC김병오 (65) / 티아고 (26)
2016년 7월 24일탄천종합운동장성남 FC1 - 2수원 FC황진성 (80) / 권용현 (51 페널티), 임창균 (78')
2016년 9월 17일탄천종합운동장성남 FC2 - 1수원 FC김현 (46, 75) / 권용현 (25')
2016년 11월 2일탄천종합운동장성남 FC1 - 2수원 FC김두현 (84 페널티) / 김종국 (25), 연제운 (81' 자책골)
2017년 3월 18일탄천종합운동장성남 FC0 - 1수원 FC서상민 (1')
2017년 5월 7일수원종합운동장수원 FC0 - 1성남 FC박성호 (69')
2017년 7월 23일탄천종합운동장성남 FC3 - 0수원 FC김동찬 (10, 45+1, 48')
2017년 10월 7일수원종합운동장수원 FC0 - 0성남 FC
2018년 3월 17일수원종합운동장수원 FC1 - 4성남 FC마테우스 (1) / 박태준 (12), 에델 (67, 85), 주현우 (79')
2018년 5월 6일탄천종합운동장성남 FC2 - 1수원 FC서보민 (70, 90+1) / 연제운 (30' 자책골)
2018년 8월 4일탄천종합운동장성남 FC0 - 0수원 FC
2018년 10월 27일수원종합운동장수원 FC0 - 1성남 FC에델 (70')


5. 2. FA컵

6. 양 구단에서 활약하였던 선수

선수성남 FC 소속 기간수원 FC 소속 기간
김철호2004-2011, 2012-20152016-2018
정의도2009-2010, 20122013
유지노20132016
김동찬20172018-2019
장준영20182019~
양동현20202021~
윤영선2010-20182021~
마상훈2020~2018-2019


7. 총계

깃발 더비의 역대 전적 통계는 하위 문서를 참고한다.

7. 1. 역대 승무패 전적



대회경기 수성남 FC무승부수원 FC성남 FC 득점수원 FC 득점
리그12533128
FA컵311146
전체136441614


참조

[1] 웹인용 이재명-염태영 '깃발라시코'놓고 팽팽한 신경전(?) http://m.news.naver.[...] 2019-11-14
[2] 뉴스 ‘깃발라시코 촉발’ 피투, 개막전 뛰긴 했는데… http://m.sports.nave[...]
[3] 뉴스 수원FC 홈 개막전 성남과 무승부···깃발라시코 미뤄져 http://m.enewstoday.[...]
[4] 문서 하지만 [[수원 FC]]와 [[성남 FC]]가 [[K리그 클래식 2016]]시즌에서 나란히 '''강등'''을 하였고 이 [[깃발라시코]]는 생긴지 1년도 채 안되어 '''[[K리그 챌린지]]'''에서 이루어지게 됐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