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리그는 대한민국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1983년 출범하여 한국 축구의 발전에 기여해 왔다. 리그는 K리그1과 K리그2로 구성되며, 각 리그는 승강제를 통해 연결된다. K리그는 1994년 타이틀 스폰서 제도를 도입하여 재정적 기반을 다졌으며, 현재는 12개의 K리그1 구단과 14개의 K리그2 구단이 참여하고 있다. 역대 최다 출장 기록은 김병지의 708경기이며, 최다 득점은 이동국의 228골이다. K리그는 J리그 모방, 연고지 정책, 심판 매수 대처 등에서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한국 축구 팬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2. 역사

1970년대까지 대한민국 축구는 실업 축구 리그와 대학 축구 리그를 운영했지만, 이들은 선수들이 축구에만 전념할 수 있는 프로 리그가 아니었다. 1979년 대한축구협회(KFA) 회장 최순영은 프로 축구 리그 창설을 계획했고,[4] 이듬해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축구단인 할렐루야 FC를 창단했다.[5] 1982년 한국 프로야구 리그인 KBO 리그가 출범하자, KFA는 축구 인기 저하를 우려했다.[6]

1983년, KFA는 프로 구단 2개(할렐루야 FC, 유공 코끼리)와 준프로 구단 3개(포스코 돌핀스, 대우 로얄즈, 국민은행)를 포함한 '한국 슈퍼리그'를 출범시켰다. 이후 기존 구단들이 프로로 전환하고 새로운 프로 구단들이 리그에 참가하면서 슈퍼리그의 목표는 달성되었다. 초기에는 준프로 리그 우승팀에게 승격 자격을 부여하는 승강제도 시행되었다. (1984년 한일은행, 1985년 상무 FC)

KFA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관중 수는 꾸준히 감소했고, 1987년 팬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한국 프로 축구 리그'로 이름을 바꾼 프로 리그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을 도입했다.[7] 1994년 7월 30일, KFA 산하 프로리그 위원회는 협회로부터 독립하여 "한국 프로축구연맹"으로 이름을 변경했다.

1996년, 대한민국 정부와 축구협회는 2002년 FIFA 월드컵을 대비하여 전국적인 축구 인기를 확산시키기 위해 분산 정책을 도입했다. 수도 서울에 위치한 여러 구단들이 다른 도시로 이전했지만, 이 정책은 3년 만에 폐지되었고, 대한민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를 포기했기 때문에 실패한 정책으로 여겨진다. 1998년 리그는 현재의 'K리그'로 다시 이름이 변경되었다.[8]

2011 시즌 이후 K리그 챔피언십과 대한민국 축구 리그컵을 폐지하고 2013년에 2부 리그로 분리되면서 현재의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당시 1부 리그는 'K리그 클래식', 2부 리그는 'K리그 챌린지'로 명명되었는데, 1, 2부 리그의 명칭이 매우 유사하여 상당한 혼란과 논란을 야기했다.[9] 2018 시즌부터 1부 리그는 'K리그1', 2부 리그는 'K리그2'로 각각 이름이 변경되었다.

2021년 2월, 해외 시장을 위한 OTT 서비스인 K리그 TV가 공식 출시되었다.[10]

2. 1. 창설

1980년대 초, 대한민국 축구는 실업축구와 대학 리그가 중심이었고, 프로 축구 리그는 존재하지 않았다. 1979년 대한축구협회 회장으로 취임한 신동아그룹 회장 최순영은 프로 축구 리그 창설을 공약으로 내걸었고, 1980년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 축구단 할렐루야를 창단했다.

전두환 정부는 스포츠를 국민들의 불만을 해소하는 수단(3S 정책)으로 활용하려 했고, 축구와 야구 중 한 종목을 프로화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축구는 프로화 준비가 부족했고, 방송 중계 등의 어려움으로 인해 야구가 먼저 프로 리그를 출범시켰다.[17] 1982년, 프로 야구 출범으로 인해 축구는 관중과 관심을 빼앗기며 위기를 맞았다.[17]

이에 축구계는 2개의 프로 구단(할렐루야, 유공)과 3개의 실업 구단(포항제철, 대우, 국민은행)을 묶어 '수퍼리그'를 창설하기로 결정했다.[17] 대한축구협회 장영근 부회장은 프로 야구에 밀려 축구가 사라질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껴 최순영 회장에게 건의하여 수퍼리그 출범을 추진했다.[17]

당초 각 구단에 연고지를 배분하고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리그를 운영하려 했으나,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올림픽에 프로 선수 출전 여부가 불확실하여 체육부는 프로와 아마추어를 혼합 운영하라는 지시를 내렸다.[18] 또한 지역 감정을 우려한 정부의 반대로 지역 연고제를 시행하지 못하고, '전국 도시별 순회 개최 방식'으로 리그를 운영해야 했다.[18] 반면, 1982년 출범한 프로 야구는 지역 연고제를 실시하여 흥행에 성공했다.[19]

1983년 2월 28일, 대한축구협회는 수퍼리그 창설에 합의했고,[21] 3월 3일 '수퍼리그 위원회'를 발족하여 본격적인 창설 준비에 돌입했다.[22] 5월 8일, 동대문운동장에서 할렐루야와 유공의 개막전을 시작으로 수퍼리그가 공식 출범했다.[23]

K리그 원년(1983 시즌) 참가 구단과 연고지는 다음과 같다.[20]

K리그 원년 1983 시즌 참가 구단과 연고지 배분
구단명연고지마스코트비고
할렐루야강원, 충남, 충북독수리프로축구단 제 1호
유공 축구단서울, 인천, 경기코끼리프로축구단 제 2호
포항제철 축구단대구, 경북돌고래실업축구단 통산전적 1위
국민은행 축구단전남, 전북까치실업축구단 통산전적 2위
대우 축구단부산, 경남왕관실업축구단 통산전적 4위



개막 후 수퍼리그는 평균 20,924명의 관중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1984년에는 체육부의 외래어 사용 금지 조치에 따라 리그 명칭이 '축구대제전 수퍼리그'로 변경되었다.[24] 현대 호랑이와 럭키금성 황소가 리그에 합류하여 총 6개의 프로 구단이 참가하게 되었다.

2. 2. 위기

1980년대 중후반, K리그는 관중 감소, 실업 구단의 프로 전환 지연, 국가대표팀 차출 문제 등으로 인해 리그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1985년에는 평균 관중이 5,393명으로 급감했고, 1986년에는 경기당 3,500명만이 입장하여 흥행에 어려움을 겪었다.[25] 이러한 위기는 대한민국 최초의 프로축구단 할렐루야가 아마추어로 전환을 선언할 정도로 심각했다.

프로 구단과 실업 구단이 함께 리그를 운영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도 제기되어,[25] 1986년에는 프로 구단만 참가하는 프로축구선수권대회가 개최되었지만, 이 대회 역시 흥행에 실패했다.

1987년, K리그는 5개의 프로축구단만으로 운영되는 진정한 프로 리그로 재탄생했다. 프로축구위원회가 발족되어 독립적인 리그 운영을 시작했고, 광역지역연고제를 바탕으로 한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 도입되었다. 홈팀은 흰색, 원정팀은 유색 유니폼을 입었고, 주말 2연전이 새롭게 도입되었다.[27][28]

그러나 1988년, 서울 올림픽으로 인해 서울부산 등 주요 도시의 경기장 사용이 금지되면서 리그는 다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또한, 주말 2연전은 선수 부상 등의 문제로 1년 만에 폐지되었고,[29] 홈팀과 원정팀의 유니폼 색상 규정이 변경되었다.[30]

2. 3. 확립

1994년 대한축구협회 산하 프로리그위원회가 독립하여 한국프로축구연맹으로 새롭게 출범하였으며, 초대 회장은 정몽준 대한축구협회장이 겸직하였다.[31] 전북 버팔로가 호남 지방을 연고로 리그에 참가하였으나 재정난으로 한 시즌 만에 해체되었다. 이후 현대자동차 주도로 전북 다이노스가 창단되어 1995 시즌부터 리그에 참가하였고, 전남 드래곤즈전라남도를 연고로 리그에 합류하였다. 이 시즌에는 최초로 타이틀 스폰서가 도입되었다.[32]

1996년에는 구단 완전 지역 연고제가 전격 시행되어 구단 이름에 지역명을 우선 사용하고, 미디어에도 기업명 대신 연고지명을 우선 사용하도록 하였다. 한국프로축구연맹대한민국 정부는[33][34] 2002년 월드컵 유치를 위해 전국적인 프로축구 열기 확산과 서울의 축구전용구장 건설을 목표로[35]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을 시행하였다. 1995년 말까지 서울 전용구장 건립 계획을 수립하는 구단만 서울 잔류를 허용한다는 정책에 따라 서울특별시를 연고로 하던 일화 천마(현 성남 FC), LG 치타스(현 FC 서울), 유공 코끼리(현 제주 유나이티드)는 다른 지역으로 이전하였고, 서울 연고지는 공동화(空洞化) 되었다.[36]

1995년 12월 15일에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수원시를 연고로 창단되었고, 1997년에는 대전과 충청 지역 기업들의 컨소시엄으로 대전 시티즌이 창단되어 리그에 참가하였다.

1998년에는 고종수, 이동국, 안정환 등 스타 선수들의 등장으로 총 관중 2,117,448명을 기록하며 최초로 200만 관중을 돌파하는 등 프로축구 중흥기를 맞았다.

2. 4. 확대기

2000년, 천안 일화 천마가 구단 완전 지역 연고제 시행 4년 만에 연고지를 이전하여 성남 일화 천마가 되었다. 2003년에는 2002년 FIFA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 이후, 최초의 시민구단인 대구 FC가 리그에 참가하였다.[37] 2004년에는 인천 유나이티드가 두 번째 시민구단으로 리그에 참가했다. 안양 LG 치타스서울로 연고지를 이전하면서 FC 서울로,[38] 2006년에는 부천 SK가 제주도로 연고지를 이전하여 제주 유나이티드 FC로 구단 명칭을 변경하였다.[39] 도민구단 경남 FC도 새롭게 참가하였다.[40] 또한 기업들이 컨소시엄을 이루어 출범한 대전 시티즌이 2005년부터 시민주 공모를 실시하고 2006년부터는 시민구단으로 전환하였다.[41]

2008년 말에는 강원도를 광역연고로 삼는 강원이 출범하여 2009년부터 참가하였다. 강원의 리그 참여로 K리그는 수도권, 경상권, 전라권, 충청권, 강원권, 제주권에 최소 1개 이상의 구단을 보유하며 국내 프로 스포츠 사상 최초로 전국화를 달성하였다. 2009년에는 서울특별시를 연고로 한 서울 시민구단의 창단이 추진되었으나 무산되었고,[42] 광주광역시의 신생팀 창단 역시 금호아시아나그룹의 기업구단 창단 제안 거절과 현대미포조선의 스폰서 참여를 통한 시민구단 창단 실패로 무산되었다.[43]

2010년에는 '5MM 프로젝트'가 시행되었다.[44] 경기 지연 행위 대응 강화, 경고 누적 결장 규정 완화 등 실제 경기 시간을 늘리기 위한 제도와 언론 인터뷰 시간 및 장소 확대, 골 세레머니 규제 완화 등 팬과 소통하기 위한 제도가 마련되었다. 선수 연봉 공개를 점진적으로 시행하기로 합의하여 전체 선수단 연봉부터 공개하기로 하였으며, 교체 대기 선수 인원을 6명에서 7명으로 늘렸다. 변병주 감독 사태로 불거진 에이전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이전트 등록제도도 시행하였다.

2010년 5월 5일, 서울성남의 경기에 60,747명의 관중이 몰려 대한민국 프로스포츠 역사상 최다 관중 기록을 세웠다.[45] 2010 시즌광주광역시가 시민구단 창단 공약을 지켜 2011 시즌부터 광주 FC가 참가하였고,[46] 상무경상북도 상주시로 연고지를 옮겨 16개 구단 체제가 되었다.[47]

2011년 5월 25일, K리그 승부조작 사건이 밝혀졌다. 3달간의 수사 끝에 혐의가 밝혀진 선수 50명은 영구제명 처분을 받았다.

2. 5. 승강제 시행

2012 시즌을 앞두고 승강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 프로축구연맹은 2013 시즌부터 본격적인 승강제를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태스크포스팀을 신설하고 외부 컨설팅 업체에 '한국형 승강제' 모델 수립을 의뢰하였다.[48] 오랜 논의 끝에 K리그 팀 개수를 12개 팀으로 축소하는 동시에 4개의 팀을 가칭 프로 2부리그로 강등시켜 승강제를 진행하는 안이 급부상하였다. 결국 2012 시즌 K리그에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리그 진행 방식을 본뜬 스플릿 시스템을 도입하여 강등 팀 4팀을 결정하는 것으로 확정되는 듯 하였으나 시민구단들의 반발로 가칭 프로 2부리그로 강등되는 K리그 팀의 숫자가 4팀에서 2팀으로 축소되었다. 강등팀은 리그 최하위팀과 1부리그 구성 요건을 갖추지 못한 상주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상주와 국군체육부대가 이에 반발, 스플릿 이후 잔여 경기를 보이콧하면서 스플릿 14경기 모두 기권패 처리되었다. 추후 논란 끝에 상주는 2013년 2부리그 참가가 결정되었고 추후에 아시아 축구 연맹이 요구한 구단 라이센스 조건을 충족하면 K리그 클래식에도 승격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았다. 그리고 2012 시즌 15위를 기록한 광주 FC가 강등되어 2013 시즌 2부리그에서 뛰게 되었다.

2013년 3월, 최상위 1부 리그의 명칭이 K리그 클래식, 2부 리그의 명칭이 K리그 챌린지로 확정되었으며, 비로소 온전한 의미의 승강제가 실시되었다. 2013년 K리그 클래식의 13위 대구 FC와 14위 대전 시티즌2014년 K리그 챌린지로 바로 강등되었으며, 12위를 차지한 강원 FC2013년 K리그 챌린지 우승 팀인 상주 상무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승강 플레이오프 1, 2차전을 치르게 되었다. 승강 플레이오프에서는 합계 스코어 4-2로 상주 상무가 승리하여, 상주 상무는 2014년 K리그 클래식로 승격, 강원 FC는 2014년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었다.

2014 시즌에는 K리그 클래식 12위 팀은 바로 K리그 챌린지로 강등되며, K리그 챌린지 우승 팀은 바로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된다. K리그 클래식 11위 팀은 K리그 챌린지 2, 3, 4위 팀끼리의 플레이오프 승자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2018 시즌부터는 K리그 클래식이 K리그1으로, K리그 챌린지는 K리그2로 각각 명칭이 바뀌었다.

3. 구단

2012 시즌을 앞두고 승강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여, 2013 시즌부터 K리그1과 K리그2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K리그1은 1부 리그, K리그2는 2부 리그 역할을 하며, 매 시즌 종료 후 승강 플레이오프를 포함한 승강제를 통해 리그 간 팀 이동이 이루어진다.[48] 2018 시즌부터는 K리그 클래식이 K리그1으로, K리그 챌린지는 K리그2로 각각 명칭이 변경되었다.

인천 유나이티드는 시도민구단 중 유일하게 강등을 경험하지 않았으며, 포항 스틸러스, 울산 HD, FC 서울, 전북 현대 모터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도 강등 경험이 없다.

K리그 구단 목록은 다음과 같다.

K리그 구단 목록 (2025년 기준)
번호구단구단주
1포항 스틸러스포스코
2제주 유나이티드SK에너지
3부산 아이파크HDC그룹
4울산 HD현대중공업
5FC 서울GS그룹
6성남 FC성남시청
7전북 현대 모터스현대자동차
8전남 드래곤즈포스코
9수원 삼성 블루윙즈제일기획
10대전 하나 시티즌하나금융그룹
11대구 FC대구광역시청
12인천 유나이티드인천광역시청
13경남 FC경남도청
14강원 FC강원도청
15광주 FC광주광역시청
16수원 FC수원시청
17부천 FC 1995부천시청
18FC 안양안양시청
19서울 이랜드이랜드그룹
20안산 그리너스안산시청
21충남 아산아산시청
충남도청
22김천 상무국군체육부대
김천시청
23김포 FC김포시청
24천안 시티천안시청
25청주청주시청
26화성 FC화성시청


  • K리그의 공식 통계 원칙에 따라, 최종 클럽이 전신 클럽의 역사와 기록을 계승한다.
  •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구단은 포함되지 않았다.

3. 1. 현재 참가 중인 구단

K리그 구단 위치 (파란색: K리그2, 빨간색: K리그1)


2018 시즌부터 K리그는 K리그1K리그2로 나뉘어 운영되고 있다. K리그1은 1부 리그, K리그2는 2부 리그 역할을 하며, 매 시즌 종료 후 승강제를 통해 리그 간 팀 이동이 이루어진다.[48] 인천 유나이티드는 시도민구단 중 유일하게 강등 경험이 없다. 포항 스틸러스, 울산 HD, FC 서울, 전북 현대 모터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또한 강등된 적이 없다.

각 구단의 연고지, 홈구장, 감독 등 자세한 정보는 K리그1, K리그2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3. 1. 1. K리그1

2018 시즌부터 K리그 클래식이 K리그1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참고: 이전 순위, 데뷔 시즌, 총 시즌 등의 정보는 2024년 기준으로 업데이트되지 않았으므로 표에서 삭제했다.
  • 비고: 추가적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3. 1. 2. K리그2

2024 시즌 K리그2 참가 구단
구단연고지창단 연도K리그2 참가 횟수비고
안산 그리너스안산2017년8회
부천 FC부천2007년12회
부산 아이파크부산1979년9회K리그1 우승 4회
천안 시티천안2008년2회
충북 청주청주2002년2회
김포 FC김포2013년3회
경남 FC경상남도2006년8회
화성 FC화성2013년1회K3리그 우승 1회
서울 이랜드서울2014년10회
성남 FC성남1989년6회K리그1 우승 7회
전남 드래곤즈전라남도1994년6회FA컵 우승 4회
충남 아산아산2017년5회
수원 삼성수원1995년2회K리그1 우승 4회


3. 2. 구단별 변천사

1984년 2월 (프로축구단으로 전환 확정)포항제철 아톰즈1985년 2월 7일포항 아톰즈1995년 5월 29일포항 스틸러스1997년 1월 1일부산 아이파크1983년–현재새한자동차 축구단1979년 11월 22일 (창단식)대우 축구단1980년 10월대우 로얄즈1983년 (수퍼리그 참가로 마스코트 확정)
1983년 12월 3일 (프로축구단으로 창단식)부산 대우 로얄즈1996년 1월부산 아이콘스[2]2000년 2월 10일 (부산 대우 로얄즈 인수 확정)
2000년 3월 7일 (부산 아이콘스로 재창단식)Pusan i.cons에서
Busan I'Cons로
구단명칭 영문철자 변경2002년 7월부산 아이파크2005년 2월 21일I'Park에서 IPark로
구단명칭 영문철자 변경2012년 2월 7일제주 유나이티드1983년–현재유공 코끼리1982년 12월 17일 (창단식)부천 유공1996년 1월 4일부천 SK1997년 10월 1일Puchon에서 Bucheon으로
구단 영문철자 변경2001년제주 유나이티드 FC2006년 2월 2일울산 HD1984년–현재현대 호랑이1983년 12월 6일 (창단식)울산 현대 호랑이1996년 1월울산 현대 축구단2008년 2월울산 HD 축구단2023년 12월FC 서울1984년–현재럭키금성 황소1983년 12월 22일 (창단식)LG 치타스1991년 2월 26일안양 LG 치타스1996년 4월 26일[3]>2004년 3월 19일성남 FC1989년–현재일화 천마1989년 3월 18일 (창단식)천안 일화 천마1996년 3월 29일성남 일화 천마[3]1999년 12월 27일성남 FC[2]2013년 12월 9일 (성남 일화 천마 인수 확정)
2014년 1월 25일 (성남 시민 프로축구단으로 재창단식)전북 현대 모터스1995년–현재전북 다이노스[4]1994년 12월 12일 (창단식)전북 현대 다이노스1997년 3월 7일전북 현대 모터스2000년 6월 1일Chonbuk에서 Jeonbuk으로
구단명칭 영문철자 변경2006년 1월 16일전남 드래곤즈1995년–현재-1994년 12월 16일 (창단식)Chunnam에서 Jeonnam으로
구단명칭 영문철자 변경2014년 1월 6일수원 삼성 블루윙즈1996년–현재-1995년 12월 15일 (창단식)대전 하나 시티즌1997년–현재-1997년 3월 12일 (창단식)
2006년 3월 12일 (시민 프로축구단으로 전환 확정)Taejon에서 Daejeon으로
구단명칭 영문철자 변경2003년 1월 21일대전 하나 시티즌2020년 1월 4일대구 FC2003년–현재-2002년 12월 26일(창단 승인일)[5]
2003년 3월 19일(창단식)인천 유나이티드2004년–현재-2003년 12월 12일(창단 승인일)[5]
2004년 3월 1일 (창단식)경남 FC2006년–현재-2006년 1월 17일 (창단식)강원 FC2009년–현재-2008년 12월 18일 (창단식)광주 FC2011년–현재-2010년 12월 16일 (창단식)수원 FC2013년–현재수원시청2003년 3월 15일 (창단식)수원 FC2012년 11월 (프로축구단으로 전환 확정)부천 FC 19952013년–현재-2007년 12월 1일 (창단식)
2012년 12월 (프로축구단으로 전환 확정)FC 안양2013년–현재-2013년 2월 2일 (창단식)서울 이랜드 FC2015년–현재-2014년 8월 22일 (창단 승인일)[5]
2015년 3월 21일(창단식)안산 그리너스 FC2017년–현재-2017년 2월 21일 (창단식)충남 아산 FC2020년–현재-2020년 2월 7일 (창단식)[8]김천 상무[9]2021년–현재-2021년 2월 23일 (출범식)김포 FC2022년–현재김포 시민 축구단2013년 1월 29일 (창단식)김포 FC2021년 4월 17일 (출범식)충북 청주 FC2023년–현재-2023년 1월 3일 (창단식)천안 시티 FC2023년–현재천안시 축구단2008년 1월 9일 (창단식)천안 시티 FC2023년 1월 16일 (K리그 가입 승인일)화성 FC2025년–현재-2025년 1월 1일 (창단식)


3. 3. 과거에 참가했던 구단

2012년 10월 29일 (프로축구단으로 전환 확정)
2013년 2월 28일 (프로축구단으로 창단식)2016년 10월 23일 (최종 경기일)고양 자이크로 FC2013시즌2016시즌할렐루야1999년 4월 3일 (창단식)실업축구단익산 할렐루야2003년김포 할렐루야2004년 9월 18일안산 할렐루야2006년 11월 24일안산 H FC2012년 3월 6일고양 H FC2012년 9월 4일 (고양시 연고지 협약식)
2012년 10월 29일 (프로축구단으로 전환 확정)고양 Hi FC2012년 11월 13일 (고양 Hi FC로 구단 명칭 변경)
2012년 12월 17일 (프로축구단으로 출범식)고양 자이크로 FC2016년 1월 18일2016년 10월 30일 (최종 경기일)안산 무궁화2013시즌2016시즌경찰 축구단1996년 3월 29일 (창단식)실업축구단2013년 ?월 (프로축구단으로 전환 확정)프로축구단안산 경찰청2014년 3월 16일 (창단식)안산 무궁화2016년 1월 15일2016년 10월 30일 (최종 경기일)아산 무궁화2017시즌2019시즌N/A2017년 1월 16일 (창단식)2019년 11월 9일 (최종 경기일)상주 상무2011시즌2020시즌N/A2011년 2월 26일 (출범식)2020년 11월 1일 (최종 경기일)colspan="6" |


4. 우승

K리그는 1부 리그인 K리그1과 2부 리그인 K리그2로 나뉘어 운영되며, 각 리그별 우승 기록은 다음과 같다.

년도K리그1K리그2
1983할렐루야2부 리그 없음
1984대우 로얄즈
1985럭키-금성 황소
1986포스코 애톰스
1987대우 로얄즈
1988포스코 애톰스
1989유공 코끼리
1990럭키-금성 황소
1991대우 로얄즈
1992포스코 애톰스
1993일화 천마
1994일화 천마
1995일화 천마
1996울산 현대 호랑이
1997부산 대우 로얄즈
1998수원 삼성 블루윙즈
1999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0안양 LG 치타스
2001성남 일화 천마
2002성남 일화 천마
2003성남 일화 천마
2004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5울산 현대 호랑이
2006성남 일화 천마
2007포항 스틸러스
2008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9전북 현대 모터스
2010FC서울
2011전북 현대 모터스
2012FC서울
2013포항 스틸러스상주 상무
2014전북 현대 모터스대전 시티즌
2015전북 현대 모터스상주 상무
2016FC서울안산 무궁화
2017전북 현대 모터스경남 FC
2018전북 현대 모터스아산 무궁화
2019전북 현대 모터스광주 FC
2020전북 현대 모터스제주 유나이티드
2021전북 현대 모터스김천 상무
2022울산 현대광주 FC
2023울산 현대김천 상무
2024울산 현대FC 안양


4. 1. K리그1

럭키-금성 황소 (1988–1990)[16]2023홍명보스타포항 스틸러스 (1992–1997, 2002)[16]2023신태용스타성남 일화 천마 (1992–2004)[16]2023이동국스타포항 스틸러스 (1998–2002, 2005–2006)
광주 상무 (2003–2005)
성남 일화 천마 (2008)
전북 현대 모터스 (2009–2020)[16]2023김정남지도자유공 코끼리 (1985–1992)
울산 현대 (2000–2008)[16]2023박태준공로자포항 스틸러스
전남 드래곤즈[16]


4. 1. 1. 시즌별 우승 구단

#시즌팀수대회 방식우승준우승
119835단일 리그할렐루야 독수리대우 로얄즈
219848전•후기 리그 + 챔피언 결정전대우 로얄즈유공 코끼리
31985단일 리그럭키금성 황소포항제철 아톰즈
419866전•후기 리그 + 챔피언 결정전포항제철 아톰즈럭키금성 황소
519875단일 리그대우 로얄즈포항제철 아톰즈
61988포항제철 아톰즈현대 호랑이
719896유공 코끼리럭키금성 황소
81990럭키금성 황소대우 로얄즈
91991대우 로얄즈현대 호랑이
101992포항제철 아톰즈일화 천마
1119937일화 천마LG 치타스
121994일화 천마유공 코끼리
1319958전•후기 리그 + 챔피언 결정전일화 천마포항 아톰즈
1419969울산 현대 호랑이수원 삼성 블루윙즈
15199710단일 리그부산 대우 로얄즈전남 드래곤즈
161998단일 리그 + 4강 PO수원 삼성 블루윙즈울산 현대 호랑이
171999수원 삼성 블루윙즈부산 대우 로얄즈
182000안양 LG 치타스부천 SK
192001단일 리그성남 일화 천마안양 LG 치타스
202002성남 일화 천마울산 현대 호랑이
21200312성남 일화 천마울산 현대 호랑이
22200413전•후기 리그 + 4강 PO수원 삼성 블루윙즈포항 스틸러스
232005울산 현대 호랑이인천 유나이티드
24200614성남 일화 천마수원 삼성 블루윙즈
252007단일 리그 + 6강 PO포항 스틸러스성남 일화 천마
262008수원 삼성 블루윙즈FC 서울
27200915전북 현대 모터스성남 일화 천마
282010FC 서울제주 유나이티드
29201116전북 현대 모터스울산 현대
302012단일 리그 + 상하위 스플릿FC 서울전북 현대 모터스
31201314포항 스틸러스울산 현대
32201412전북 현대 모터스수원 삼성 블루윙즈
332015전북 현대 모터스수원 삼성 블루윙즈
342016FC 서울전북 현대 모터스
352017전북 현대 모터스제주 유나이티드
362018전북 현대 모터스경남 FC
372019전북 현대 모터스울산 현대
382020전북 현대 모터스울산 현대
392021전북 현대 모터스울산 현대
402022울산 현대전북 현대 모터스
412023울산 현대포항 스틸러스
422024울산 현대강원 FC


4. 1. 2. 구단별 우승 횟수

순위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1전북 현대 모터스932009, 2011, 2014, 2015, 2017, 2018, 2019, 2020, 20212012, 2016, 2022
2성남 FC731993, 1994, 1995, 2001, 2002, 2003, 20061992, 1996, 2007
3FC 서울651985, 1990, 2000, 2010, 2012, 20161986, 1989, 1993, 2001, 2008
4포항 스틸러스541986, 1988, 1992, 2007, 20131985, 1987, 1995, 2004
5울산 현대4101996, 2005, 2022, 20231988, 1991, 1998, 2002, 2003, 2011, 2013, 2019, 2020, 2021
6부산 아이파크431984, 1987, 1991, 19971983, 1990, 1999
7수원 삼성 블루윙즈421998, 1999, 2004, 20081996, 2006
8제주 유나이티드 FC1519891984, 1994, 2000, 2010, 2017
9할렐루야101983
10상주 상무012015


4. 2. K리그2

K리그1의 하위 리그인 K리그2는 2013년에 창설되었다. 1983년부터 2012년까지는 K리그에 2부 리그가 없었으며, 2013년에 K리그2가 창설되면서 K리그는 승강제를 갖춘 1, 2부 리그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K리그2의 역대 우승팀과 준우승팀, 구단별 우승 횟수 등은 별도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4. 2. 1. 시즌별 우승 구단

#시즌팀 수대회 방식우승준우승
120138단일 리그상주 상무경찰 축구단
2201410단일 리그 + 승격 PO대전 시티즌광주 FC
3201512상주 상무수원 FC
4201612안산 무궁화대구 FC
5201710경남 FC부산 아이파크
6201810아산 무궁화성남 FC
7201910광주 FC부산 아이파크
8202010제주 유나이티드수원 FC
9202110김천 상무대전 하나 시티즌
10202211광주 FC대전 하나 시티즌
11202313김천 상무부산 아이파크
12202413FC 안양충남 아산 FC
13202514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광주 FC212019, 20222014
상주 상무202013, 2015
김천 상무202021, 2023
대전 하나 시티즌1220142021, 2022
안산 무궁화1120162013
경남 FC102017
아산 무궁화102018
제주 유나이티드102020
FC 안양102024
부산 아이파크032017, 2019, 2023
수원 FC022015, 2020
대구 FC012016
성남 FC012018
충남 아산 FC012024


4. 2. 2. 구단별 우승 횟수

년도K리그1K리그2
1983할렐루야2부 리그 없음
1984대우 로얄즈
1985럭키-금성 황소
1986포스코 애톰스
1987대우 로얄즈
1988포스코 애톰스
1989유공 코끼리
1990럭키-금성 황소
1991대우 로얄즈
1992포스코 애톰스
1993일화 천마
1994일화 천마
1995일화 천마
1996울산 현대 호랑이
1997부산 대우 로얄즈
1998수원 삼성 블루윙즈
1999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0안양 LG 치타스
2001성남 일화 천마
2002성남 일화 천마
2003성남 일화 천마
2004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5울산 현대 호랑이
2006성남 일화 천마
2007포항 스틸러스
2008수원 삼성 블루윙즈
2009전북 현대 모터스
2010FC서울
2011전북 현대 모터스
2012FC서울
2013포항 스틸러스상주 상무
2014전북 현대 모터스대전 시티즌
2015전북 현대 모터스상주 상무
2016FC서울안산 무궁화
2017전북 현대 모터스경남 FC
2018전북 현대 모터스아산 무궁화
2019전북 현대 모터스광주 FC
2020전북 현대 모터스제주 유나이티드
2021전북 현대 모터스김천 상무
2022울산 현대광주 FC
2023울산 현대김천 상무
2024울산 현대FC 안양


5. 승격과 강등

K리그 승강제는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K리그1(1부 리그)과 K리그2(2부 리그) 사이에 팀들이 승격되거나 강등되는 시스템이다.

2012년 시즌에는 스코틀랜드 프리미어리그의 방식을 본뜬 스플릿 시스템을 도입하여 강등 팀을 결정했다. 당초 4팀을 2부 리그로 강등시킬 예정이었으나, 시민구단들의 반발로 2팀으로 축소되었다. 리그 최하위 팀과 1부 리그 구성 요건을 갖추지 못한 상주가 강등 대상으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상주와 국군체육부대는 이에 반발하여 잔여 경기를 보이콧했고, 결국 2013년 2부 리그 참가가 결정되었다. 또한, 2012 시즌 15위를 기록한 광주 FC도 강등되었다.

2013년에는 K리그1의 13위 대구 FC와 14위 대전 시티즌이 K리그2로 강등되었고, 12위 강원 FC는 K리그2 우승 팀 상주 상무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승강 플레이오프 결과 상주 상무가 승리하여 K리그1으로 승격하고, 강원 FC는 K리그2로 강등되었다.

2014년부터는 K리그1 12위 팀이 K리그2로 바로 강등되고, K리그2 우승 팀은 K리그1으로 바로 승격되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K리그1 11위 팀은 K리그2 2, 3, 4위 팀 간의 플레이오프 승자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인천 유나이티드는 시도민구단 중 유일하게 강등을 경험하지 않은 팀이다. 또한, 포항 스틸러스, 울산 HD, FC 서울, 전북 현대 모터스, 수원 삼성 블루윙즈, 인천 유나이티드는 아직 강등 경험이 없다.

2018년부터 K리그 클래식은 K리그1으로, K리그 챌린지는 K리그2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는 2013년에 도입되었으며, K리그1 11위 팀과 K리그2 준우승 팀이 맞붙는다. 1차전은 K리그2 팀의 홈구장에서, 2차전은 K리그1 팀의 홈구장에서 열린다. 2022년부터는 K리그1 10위 팀과 K리그2 3위 팀 간의 경기도 추가되었다.

시즌K리그1합계K리그21차전2차전
2013강원 FC2–4상주 상무1–41–0
2014경남 FC2–4광주 FC 1–31–1
2015부산 아이파크0–3수원 FC 0–10–2
2016성남 FC1–1 (a)강원 FC 0–01–1
2017상주 상무1–1부산 아이파크1–00–1
2018FC 서울 4–2부산 아이파크3–11–1
2019경남 FC0–2부산 아이파크0–00–2
2020미개최
2021강원 FC 4–2대전 하나 시티즌0–14–1
2022수원 삼성 블루윙즈2–1FC 안양0–02–1
김천 상무1–6대전 하나 시티즌1–20–4
2023강원 FC2–1김포 FC0–02–1
수원 FC6–4부산 아이파크1–25–2
2024대구 FC6–5충남 아산3–43–1
전북 현대 모터스4–2서울 이랜드2–12–1


6. 기록과 통계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주관하는 K리그1, K리그2, 리그컵 통산 기록이다.

순위선수경기 수비고
1김병지708
2김영광605(1)
3이동국548
4최은성532
5김기동501
6김용대460
7김상식458
8강민수456(2)
9김광석451
10오승범446(3)
2024년 4월 3일 기준



K리그는 공식적으로 K리그1, K리그2, 한국프로축구연맹컵의 기록을 통계에 포함한다.

7. 엠블럼

K리그 엠블럼은 1994년 처음 도입된 이래 총 다섯 차례 변경되었으며, 2021년부터 현재 엠블럼을 사용하고 있다.

8. 스폰서십

K리그는 출범 원년인 1983년부터 1993년까지 타이틀 스폰서 없이 운영되었다. 1994년, 국내 프로 스포츠 리그 중 최초로 타이틀 스폰서 제도가 도입되었으며, 하이트맥주(당시 조선맥주)가 최초의 스폰서로 참여하여 '하이트배 코리안리그'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이후 2020년까지 총 9개의 기업이 K리그의 타이틀 스폰서로 참여했다. K리그2는 2013년 출범부터 타이틀 스폰서 제도를 도입하였다.

역대 K리그 타이틀 스폰서와 리그 명칭은 다음과 같다.

기간후원사명칭
1994–1995하이트맥주하이트배 코리안리그
1996–1997삼성물산라피도컵 프로축구대회
1998현대그룹현대컵 K-리그
1999현대증권바이코리아컵 K-리그
2000삼성전자삼성디지털 K-리그
2001포스코포스코 K-리그
2002삼성전자삼성 파브 K-리그
2003–2008삼성 하우젠 K-리그
2009후원사 없음[49]K-리그[50][51]
2010현대자동차쏘나타 K리그
2011–2012현대오일뱅크현대오일뱅크 K리그
2013–2016현대오일뱅크 K리그 클래식
현대오일뱅크 K리그 챌린지
2017하나은행KEB하나은행 K리그 클래식
KEB하나은행 K리그 챌린지
2018KEB하나은행 K리그1
KEB하나은행 K리그2
2019–2020하나원큐 K리그1
하나원큐 K리그2


9. 공식 경기구

K리그 원년인 1983 시즌 '낫소 SSC-5 88'을 공식 경기구로 사용한 것이 시초이다.

K리그 공식 경기구의 역사는 크게 ▲낫소, 스타 등 국산 브랜드(1983년~1996년) 시대 ▲아디다스(1997년) 시대 ▲나이키(1998년~2011년) 시대 ▲아디다스(2012년~현재) 시대로 나눌 수 있으며[52] 1998년부터 독점 공식 경기구 시대가 시작되었다.[53]

10. 유니폼과 배번 제도

1998년 당시 10개 구단 중 수원 삼성 블루윙즈를 제외한 9개 구단이 아디다스와 킷스폰서 계약을 한 적이 있지만,[54] 그 외에는 공식적으로 독점 킷스폰서를 두지 않고 있으며 각 구단별로 자율적으로 킷스폰서 계약을 하고 있다.

1994 시즌에는 선수 포지션을 쉽게 식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수 고유 배번 제도가 아닌, 선발 선수는 1번부터 11번, 교체 선수는 12번에서 16번을 사용하는 포지션별 배번 제도를 운영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12번을 서포터즈 배려 차원에서 사용하지 않는 구단도 있다.

11. 슬로건 및 캐치 프레이즈

시즌슬로건 및 캐치프레이즈
2012열정 놀이터 352
2016너와 나 우리의 K리그
2021역동과 감동, K리그


12. 연고지 제도

K리그는 1983년 출범 당시부터 지역 연고지 개념을 도입하여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리그를 운영하려 했으나, 1986년 아시안 게임1988년 하계 올림픽에 프로 선수들의 출전 가능 여부가 불확실했고, 지역감정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정부의 우려 때문에 시행되지 못했다.[18] 당시 IOC는 아마추어리즘을 고수하여 프로 선수들의 올림픽 출전을 제한했기 때문에, 완전한 프로리그 운영 시 대한민국에서 열리는 두 대회에 선수 선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결국 K리그는 '전국 도시별 순회 개최 방식'으로 운영되었다.[18]

1983년 K리그 원년에는 할렐루야, 유공, 포항제철, 대우, 국민은행 5개 구단이 참가했으며, 각 구단에 연고지가 배분되었다.

K리그 원년 1983 시즌 참가 구단과 연고지 배분[20]
구단명연고지마스코트비고
할렐루야강원, 충남, 충북독수리프로축구단 제 1호
유공 축구단서울, 인천, 경기코끼리프로축구단 제 2호
포항제철 축구단대구, 경북돌고래실업축구단 통산전적 1위
국민은행 축구단전남, 전북까치실업축구단 통산전적 2위
대우 축구단부산, 경남왕관실업축구단 통산전적 4위



1984년에는 현대 호랑이와 럭키금성 황소가 리그에 참여하면서 연고지가 조정되었다. 할렐루야는 강원, 럭키금성은 충남, 충북, 유공은 서울, 현대는 인천, 경기를 맡게 되었다.[55][56]

1987년부터 K리그는 광역지역연고제를 도입하여 모든 구단들이 연고지 내에서 홈경기를 개최하고 중립 도시 경기를 줄였다. 그러나 이미 프로야구가 주요 대도시를 선점한 상황이었고, 1988년 서울 올림픽으로 인해 부산구덕운동장, 대구시민운동장, 대전한밭운동장 사용이 제한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1990년부터는 단일 도시로 연고지를 한정하는 도시지역연고제가 시행되었다.[58][59][60]

12. 1. 역대 연고지 변천

연고지(연도)지역연고제 미시행시대
(1983–1986)지역연고제 시행시대
(1987–현재)포항 스틸러스대구, 경북(1983)연고지 이전 없음대구 & 경북(1987) ▶ 포항(1990 / 19881–현재)제주 유나이티드서울, 인천, 경기(1983)서울(1984)인천 & 경기(1987) ▶ 서울(1991) ▶ 부천 / 서울 목동(1996)2
부천(2001) ▶ 제주(2006–현재)부산 아이파크부산, 경남(1983)연고지 이전 없음부산 & 경남(1987) ▶ 부산(1990 / 19891–현재)울산 HD인천 & 경기(1984)인천 & 경기 & 강원(1986)강원(1987) ▶ 울산(1990–현재)FC 서울충청(1984)연고지 이전 없음충청(1987) ▶ 서울(1990) ▶ 안양(1996) ▶ 서울(2004–현재)성남 FC서울(1989)해당 사항 없음천안(1996) ▶ 성남(2000–현재)colspan="4" |



1996년에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이 시행되어 일화 천마, LG 치타스, 유공 코끼리 이렇게 3개 서울 연고 구단들이 강제적으로 지방으로 이전하였고 구단명에 지역명을 의무적으로 포함시키는 규정이 생겨났다.[58][59][60]

13. 비판

K리그 운영과 관련하여 여러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13. 1. J리그 모방

스포츠 신문 기자들이 일본의 J리그에 빗대어 사용하기 시작한 K리그라는 명칭을 1998 시즌부터 한국프로축구연맹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K리그라는 이름이 정착되었는데, J리그를 모방해서 만들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존재한다.[61]

13. 2. 연고지 정책

1996년에 시행된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완전 지역 연고제 이후 K리그는 안양, 부천, 천안, 수원 등과 같은 중소도시 연고지 위주로 운영되었다. 1998년에 열린 한국프로축구연맹 주최 공청회에서 김종환 스포츠마케팅 박사(2017년 기준으로 대한축구협회 집행부 일반이사[62])는 프로축구 마케팅을 위한 틈새 아이디어로 대도시 연고지 구조의 프로야구와의 경쟁력 강화와 축구 저변 확대를 위한 바람직한 전략이라고 평가하기도 하였다.[63]

그러나 당시 축구팬들 사이에서는 K리그 저변 확대와 활성화를 위해서 중소도시 위주 연고지 정책에 대해 당시 비어있던 서울, 대구, 광주를 포함한 대도시 위주 연고지 정책을 시행해야 한다는 여론이 제기되기도 하였다.[64][65][66] 최근 언론에서는 과거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의 강제 시행과 그 후유증으로 지금까지 서울이라는 국내 프로스포츠 최대 빅마켓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과[67][68][69] 프로야구와 달리 대도시 연고지를 활성화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이 존재한다.[70][71][72]

허정무 한국프로축구연맹 부총재조차도 2018년 11월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서울 연고 공동화 정책은 서울 연고 구단이 지방으로 이전하는 이상한 현상을 만들어냈는데 정부 지침이긴 하지만 프로축구 발전을 위해 당시에 어떻게든 막았어야 했던 정책이라고 비판하였다.[73]

13. 3. 개막전 리그 우승팀 예우

한국프로축구연맹은 2012년 10월 이사회에서 2013년 K리그 클래식 개막전부터 FA컵 우승팀이 리그 우승팀의 선수 입장 때 박수를 쳐주며 예우를 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FA컵 우승팀도 프로와 아마추어를 통틀어 챔피언인 만큼 형평성에 맞지 않고 FA컵 우승에 대한 권위를 깎아내리는 행동이라는 비판이 있었다.[74]

13. 4. 심판매수 대처

2016년 발생한 전북 현대 모터스 심판매수 사건에 대하여 그해 10월 내려진 승점 9점 삭감과 제재금 1억이라는 연맹의 징계에 대해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비판이 있었다.[75]

13. 5. 불리한 기사 재배치 청탁

한국프로축구연맹 홍보팀장이 네이버 스포츠 담당 A 이사에게 '연맹 비판 기사를 잘 보이지 않게 재배치해 달라'고 수시로 청탁했다. 실제로 네이버는 2016년 10월 전북 현대 모터스 심판매수 사건 관련, 한국프로축구연맹의 솜방망이 처벌 비판 기사를 A 이사의 청탁성 문자를 받고 잘 보이지 않는 곳으로 옮겼다.[76] 이에 한국프로축구연맹과 네이버는 많은 비판을 받았고, 네이버는 2017년 10월 20일 대표 명의 사과문으로 책임자 징계와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76]

참조

[1] 웹사이트 In search of Korea's disappearing Red Devils http://koreajoongang[...] Korea JoongAng Daily 2012-06-06
[2] 뉴스 South Korean Teams Fight for Attention at Home http://goal.blogs.ny[...]
[3] 웹사이트 AFC Champions League winners: Saudi Arabia's Al-Hilal have maximum titles - full roll of honour https://olympics.com[...] 2023-05-06
[4] 웹사이트 崔蹴協회장 후원회는 法人등록 北韓·中共과도 교류 https://newslibrary.[...] Kyunghyang Shinmun 1979-01-31
[5] 웹사이트 韓國球界 「프로時代」올것인가 「할렐루야」蹴球團 10월 창단을 계기로 본 「難題」속의 期待‥‥그展望과문제점 https://newslibrary.[...] The Chosun Ilbo 1980-04-18
[6] 웹사이트 [김덕기의 프로축구 10950] 슈퍼리그, 1983년 5월8일 팡파르 https://sports.news.[...] Sportalkorea 2013-01-16
[7] 웹사이트 프로蹴球 명예回復 선언 https://newslibrary.[...] Kyunghyang Shinmun 1987-02-24
[8] 웹사이트 서울 연고 이랜드프로축구단 출범…FC서울과 '투톱' https://sports.news.[...] The Korea Economic Daily 2014-05-02
[9] 웹사이트 위원석의 하프타임 'K리그'에 새로운 이름을 붙여주자 http://news.sportsse[...] Sports Seoul 2013-02-19
[10] 웹사이트 K League launches new OTT service for international markets https://en.yna.co.kr[...] 2021-02-23
[11] 뉴스 K League to unify promotion-relegation system across all 7 leagues https://koreajoongan[...] 2024-03-28
[12] 웹사이트 K3·K4리그 대표자회의 개최...3월 7일 개막 https://www.kfa.or.k[...]
[13] 웹사이트 [원투펀치 328회 2부] K리그 역대 베스트 키퍼 Top7 https://tv.kakao.com[...] Daum 2018-09-24
[14] 웹사이트 News: K League to Introduce ASEAN Quota in 2020 http://www.kleagueun[...] K League United
[15] 웹사이트 K League history - 1983 season http://www.kleague.c[...] K League
[16] 웹사이트 'K리그 명예의 전당' 초대 헌액자 발표 https://www.kleague.[...] K League 2023-03-16
[17] 뉴스 김덕기의 프로축구 10950 - 수퍼리그, 1983년 5월8일 팡파르 http://sports.news.n[...] 스포탈코리아 2013-01-16
[18] 뉴스 프로축구 활로가 안 보인다 http://dna.naver.com[...] 경향신문 1986-03-13
[19] 웹사이트 프로야구 단장과 감독의 거친 말싸움.. 절묘한 속임수 https://v.daum.net/v[...]
[20] 뉴스 K리그 공식 역사 - 1983시즌 http://www.kleague.c[...] 한국프로축구연맹 공식홈페이지
[21] 뉴스 축구 슈퍼리그創設(창설) 합의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02-28
[22] 뉴스 슈퍼리그委(위) 구성 대한축구협회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3-03-04
[23] 뉴스 축구 수퍼리그 5월 7일 출항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신문 1983-04-12
[24] 뉴스 수퍼리그명칭 바꿔 축구대제전으로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4-03-09
[25] 뉴스 걸음마 못 벗은 프로스포츠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7-02-20
[26] 뉴스 프로축구 활로가 안 보인다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6-03-13
[27] 뉴스 흰색 유니폼 실종…누가 홈팀일까 https://sports.news.[...] 한겨레신문 2019-12-03
[28] 뉴스 油公(유공),럭키금성에 설욕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2019-12-03
[29] 뉴스 프로축구선수들 週末(주말)2연전'울며 겨자먹기'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2019-12-03
[30] 간행물 프로축구 소식-원정팀 흰 유니폼 입어 - 올 시즌 프로축구에는 원정팀이 흰 유니폼, 홈팀이 고유의 유니폼을 입게된다. 프로축구위원회는 지난 해까지 홈팀이 무조건 흰색 유니폼을 입었으나 홈팀의 특성을 위해 유니폼을 바꾸기로 했다. 따라서 어웨이 경기에 나서는 팀은 선수 전원이 흰색, GK는 초록색 유니폼 착용을 의무화하였다.
[31] 뉴스 프로축구聯,30일 출범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1994-07-30
[32] 뉴스 하이트盃(배) 코리안리그 프로축구 이름바꾼다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94-02-23
[33] 뉴스 프로축구, 지역연고제 정착의 해로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3-01-18
[34] 뉴스 서울 연고 이랜드프로축구단 출범…FC서울과 '투톱' http://sports.news.n[...] 한국경제신문 2014-05-02
[35] 서적 한국프로축구 30년 유니크플러스
[36] 뉴스 레니 이랜드 신임 감독 “특별한 팀 만들 것…서울의 라이벌이 되겠다” https://sports.v.dau[...] 일간스포츠 2017-03-29
[37] 뉴스 프로축구 11구단 ‘대구FC’떴다…내년 시즌부터 K리그에 합류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2-12-16
[38] 뉴스 안양 엘지‘서울 복귀’선언 https://news.naver.c[...] 한겨레 2004-02-02
[39] 뉴스 SK프로축구단, 제주도로 연고지 이전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2-02
[40] 뉴스 프로축구 경남FC, K리그 14번째 구단 창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12-05
[41] 뉴스 프로축구 대전시티즌 시민구단으로 출범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6-03-12
[42] 뉴스 서울시민프로축구단, 연내 출범 사실상 ′물거품′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09-09-11
[43] 뉴스 프로축구 `16개 구단체제' 출범 무산될 듯 https://sports.v.dau[...] 연합뉴스 2015-08-31
[44] 뉴스 K리그, 5MM 프로젝트 실시…'파울 줄이고 관중 늘리고' http://www.sportalko[...] 스포탈코리아 2010-01-13
[45] 뉴스 축구장이기에 가능한 6만의 스펙터클 http://www.sportalko[...] 스포탈코리아 2010-05-05
[46] 뉴스 ′K리그 제16구단′ 광주FC, 16일 창단식…본격 출범 선언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0-12-15
[47] 뉴스 상무 피닉스, 12일 상주시와 연고협약 맺고 새출범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1-01-12
[48] 일반
[49] 일반
[50] 일반
[51] 뉴스 K리그 포스트시즌 명칭 'K리그 챔피언십'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2009-10-20
[52] 뉴스 토종부터 글로벌 브랜드까지...K리그 공인구의 역사 https://sports.news.[...] 풋볼리스트 2020-03-19
[53] 뉴스 K리그 매치볼 아디다스 교체로 본 브랜드 전쟁 http://sports.news.n[...] 스포츠조선 2012-02-01
[54] 뉴스 '아디다스' 프로축구 용품지원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8-02-10
[55] 뉴스 수퍼리그 6개팀 연고지 새로 확정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84-02-28
[56] 저널 수퍼리그 출전팀 연고지 확정
[57] 뉴스 프로축구 지역연고제 활성화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86-06-17
[58] 뉴스 프로축구 3월 17일 개막 올해부터 시연고로 바꿔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90-01-20
[59] 뉴스 K리그 공식 역사 - 1990시즌 http://www.kleague.c[...] 한국프로축구연맹 공식홈페이지
[60] 저널 프로축구 연고지 '단일 도시제'로 변경
[61] 뉴스 김현회 스스로 만든 굴욕의 이름 'K-리그' http://news.nate.com[...] 김현회 칼럼
[62] 뉴스 대한축구협회, '체육계 대통령' 김종 전 차관 동생 김종환 교수 포함, 새 집행부 발표 http://www.focus.kr/[...] 포커스뉴스 2017-04-21
[63] 뉴스 국내 프로축구 마케팅 현황 및 발전방향 http://blog.naver.co[...] 베스트일레븐 1998-12
[64] 뉴스 프로축구 저변 확대 위해 연고지 대도시 중심돼야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7-10-31
[65] 뉴스 대도시 연고 프로팀 구성 축구활성화 위한 지름길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8-05-22
[66] 뉴스 왜 한국축구는 상대문전만 가면 비실비실합니까? 와글와글에 모여든 목소리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9-06-22
[67] 뉴스 서울 연고 이랜드프로축구단 출범…FC서울과 '투톱' http://sports.news.n[...] 한국경제 2014-05-01
[68] 웹인용 최현길 사커에세이 -‘서울 더비’가 보고싶은 이유 http://sports.news.n[...] 스포츠동아 2013-05-01
[69] 웹인용 FC서울은 ‘서울 더비’를 기대한다 http://sports.news.n[...] 풋볼리스트 2013-09-09
[70] 웹인용 '밑바닥 까는' 특별시-광역시 연고 구단…K리그 클래식 '이색 현상' http://sports.news.n[...] 스포츠서울 2015-06-02
[71] 웹인용 하위리그가 광역시리그는 아닐텐데… http://sports.news.n[...] 스포츠서울 2014-11-04
[72] 웹인용 조광래 전 대표팀 감독, 프로축구 2부 대구 단장 지원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2014-08-28
[73] 뉴스인용 인터뷰 - 허정무 한국프로축구연맹 부총재 "K리그가 답이다" http://upinews.kr/ne[...] UPI뉴스 2019-01-13
[74] 웹인용 김성진의 풋볼토크 - 박수치는 FA컵 챔피언의 불편함 http://sports.news.n[...] 스포탈코리아 2017-03-07
[75] 웹인용 프로축구연맹, 전북 늑장 징계하더니 결국 '솜방망이'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2016-09-30
[76] 웹인용 네이버, 축구연맹 청탁받고 '비판 기사' 숨겼다 http://sports.news.n[...] 오마이뉴스 2017-1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