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풀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하위 분류
- 2.1. 깨풀족 (Acalypheae)
- 2.2. 베르나르디아족 (Bernardieae)
- 2.3. 스피란테라족 (Sphyranthereae)
- 2.4. 아그로스티스타키스족 (Agrostistachydeae)
- 2.5. 아델리아족 (Adelieae)
- 2.6. 알코르네아족 (Alchorneae)
- 2.7. 암페레아족 (Ampereae)
- 2.8. 에리스만투스족 (Erismantheae)
- 2.9. 에피프리누스족 (Epiprineae)
- 2.10. 카리오덴드론족 (Caryodendreae)
- 2.11. 크로조포라족 (Chrozophoreae)
- 2.12. 플루케네티아족 (Plukenetieae)
- 2.13. 피크노코마족 (Pycnocomeae)
- 참조
1. 개요
깨풀아과는 12개의 족으로 구성된 식물 분류군이다. 이 아과에는 깨풀족, 베르나르디아족, 스피란테라족, 아그로스티스타키스족, 아델리아족, 알코르네아족, 암페레아족, 에리스만투스족, 에피프리누스족, 카리오덴드론족, 크로조포라족, 플루케네티아족, 피크노코마족 등이 포함된다. 각 족은 특정 속과 종을 포함하며, 분포 지역이 다양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극과 - 피마자
피마자는 잎, 꽃, 기름 생산을 위해 다양한 특징을 지닌 식물로, 독성 물질인 리신을 함유한 씨앗을 가지며 피마자유는 윤활유, 화장품, 의약품 등의 원료로 사용된다. - 대극과 - 파라고무나무
파라고무나무는 남아메리카 아마존강 유역이 원산지로 높이 30미터에 달하는 큰 나무이며, 잎에서 추출되는 라텍스는 천연 고무의 주요 원료이고, 19세기 후반 동남아시아로 전파되어 현재는 주로 그 지역에서 재배되며 천연 고무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1833년 기재된 식물 - 단삼
단삼은 붉은 뿌리, 특유의 냄새, 쓴맛이 특징인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전통 의학에서 심혈관 질환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현대 의학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1833년 기재된 식물 - 벼아과
벼아과는 벼과에 속하는 아과로, 벼족, 스트렙토기나족, 에르하르타족, 필로라키스족으로 구성되며, 벼과 내에서 뚜렷한 계통학적 위치를 차지하고 BOP 분지군에 속한다.
깨풀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학명 | Acalyphoideae |
명명자 | Beilschm. |
모식속 | 깨풀속 (Acalypha L.) |
화석 범위 | 마스트리흐트절 - 현재 |
하위 분류 | |
부족 | 아칼리페아이 (Acalypheae) 아델리에아이 (Adelieae) 아그로스티스타키데아이 (Agrostistachydeae) 알코르네아이 (Alchorneae) 암페레아이 (Ampereae) 베르나르디에아이 (Bernardieae) 카리오덴드레아이 (Caryodendreae) 카에토카르페아이 (Chaetocarpeae) 케일로세아이 (Cheiloseae) 크로조포레아이 (Chrozophoreae) 클루티에아이 (Clutieae) 디코엘리에아이 (Dicoelieae) 에피프리네아이 (Epiprineae) 에리스만테아이 (Erismantheae) 갈레아리에아이 (Galearieae) 옴팔레아이 (Omphaleae) 페레아이 (Pereae) 플루케네티에아이 (Plukenetieae) 포고노포레아이 (Pogonophoreae) 피크노코메아이 (Pycnocomeae) 스피란테레아이 (Sphyranthereae) |
2. 하위 분류
깨풀아과는 12개 족으로 구성된다.[6][7][8][9][10][11][12][13][14][15][16][17][18]
족 | 속 |
---|---|
깨풀족 (Acalypheae) | |
베르나르디아족 (Bernardieae) | |
스피란테라족 (Sphyranthereae) | |
아그로스티스타키스족 (Agrostistachydeae) | |
아델리아족 (Adelieae) | |
알코르네아족 (Alchorneae) | |
암페레아족 (Ampereae) | |
에리스만투스족 (Erismantheae) | |
에피프리누스족 (Epiprineae) | |
카리오덴드론족 (Caryodendreae) | |
크로조포라족 (Chrozophoreae) | |
플루케네티아족 (Plukenetieae) | |
피크노코마족 (Pycnocomeae) |
2. 1. 깨풀족 (Acalypheae)
Dumort.[6]가 명명한 Acalypheaela는 주로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일부는 온대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다음은 그 하위 속 목록이다.속 |
---|
깨풀속 (Acalypha L.) |
산쪽풀속 (Mercurialis L.) |
예덕나무속 (Mallotus Lour.) |
피마자속 (Ricinus L.) |
Adriana Gaudich. |
Avellanita Phil. |
Claoxylon A.Juss. |
Claoxylopsis Leandri |
Cleidion Blume |
Clonostylis S.Moore |
Discoclaoxylon (Müll.Arg.) Pax & K.Hoffm. |
Dysopsis Baill. |
Erythrococca Benth. |
Hancea Seem. |
Homonoia Lour. |
Lasiococca Hook.f. |
Leidesia Müll.Arg. |
Lobanilia Radcl.-Sm. |
Macaranga Thouars |
Mareya Baill. |
Mareyopsis Pax & K.Hoffm. |
Micrococca Benth. |
Rockinghamia Airy Shaw |
Sampantaea Airy Shaw |
Seidelia Baill. |
Spathiostemon Blume |
Wetria Baill. |
2. 2. 베르나르디아족 (Bernardieae)
베르나르디아족(Bernardieae영어)은 그레이디 웹스터가 명명한 족으로, 주로 신열대구에 분포한다.[7]하위 속은 다음과 같다:
- ''Adenophaedra'' (Müll.Arg.) Müll.Arg.
- ''Amyrea'' (Leandri)
- ''Bernardia'' Houst. ex Mill.
- ''Discocleidion'' (Pax & K.Hoffm.
- ''Necepsia'' (Prain)
- ''Paranecepsia'' (Radcl.-Sm.)
2. 3. 스피란테라족 (Sphyranthereae)
스피란테라족(Radcl.-Sm.)은 오스트레일리아에 자생한다.[8]- 스피란테라속(''Sphyranthera'' Hook.f.)
2. 4. 아그로스티스타키스족 (Agrostistachydeae)
아그로스티스타키스족(Agrostistachydeae G.L.Webster)[9]은 열대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Agrostistachys'' Dalzell
- ''Chondrostylis'' Boerl.
- ''Cyttaranthus'' J.Léonard
- ''Pseudagrostistachys'' Pax & K.Hoffm.
2. 5. 아델리아족 (Adelieae)
아델리아족(Adelieae)은 열대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에 분포한다.[10]속 |
---|
Adelia L. |
Crotonogynopsis Pax |
Enriquebeltrania Rzed. |
Garciadelia Jestrow & Jiménez Rodr. |
Lasiocroton Griseb. |
Leucocroton Griseb. |
2. 6. 알코르네아족 (Alchorneae)
알코르네아족(Alchorneae Hutch.)은 범열대적으로 분포한다.[11] 알코르네아족에 속하는 속은 다음과 같다.- ''Alchornea'' Sw.
- ''Aparisthmium'' Endl.
- ''Aubletiana'' J.Murillo
- ''Bocquillonia'' Baill.
- ''Bossera'' Leandri
- ''Conceveiba'' Aubl.
- ''Orfilea'' Baill.
2. 7. 암페레아족 (Ampereae)
암페레아족(Müll.Arg.)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칼레도니아에 분포한다.[12]
2. 8. 에리스만투스족 (Erismantheae)
에리스만투스족(Erismantheae G.L.Webster)은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13]- ''Erismanthus'' Wall. ex Müll.Arg.
- ''Moultonianthus'' Merr.
- ''Syndyophyllum'' K.Schum. & Lauterb.
2. 9. 에피프리누스족 (Epiprineae)
에피프리누스족(Epiprineae)은 열대 아시아에 분포한다.[14]속 |
---|
Adenochlaena Boivin ex Baill. |
Cephalocroton Hochst. |
Cephalocrotonopsis Pax |
Cephalomappa Baill. |
Cladogynos Zipp. ex Span. |
Cleidiocarpon Airy Shaw |
Epiprinus Griff. |
Koilodepas Hassk. |
Muricococcum Chun & F.C.How |
Tsaiodendron Y.H.Tan, H.Zhu & H.Sun |
2. 10. 카리오덴드론족 (Caryodendreae)
카리오덴드론족(Caryodendreae)은 남아메리카에 분포한다.[15]- ''Alchorneopsis'' Müll.Arg.
- ''Caryodendron'' H.Karst.
- ''Discoglypremna'' Prain
2. 11. 크로조포라족 (Chrozophoreae)
크로조포라족(Chrozophoreae)은 구세계와 신세계의 열대 및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16]속(Genus) |
---|
Argythamnia P.Browne |
Caperonia A.St.-Hil. |
Chiropetalum A.Juss. |
Chrozophora Neck. ex A.Juss. |
Ditaxis Vahl ex A.Juss. |
Doryxylon Zoll. |
Melanolepis Rchb.f. & Zoll. |
Philyra Klotzsch |
Speranskia Baill. |
Sumbaviopsis J.J.Sm. |
Thyrsanthera Pierre ex Gagnep. |
2. 12. 플루케네티아족 (Plukenetieae)
플루케네티아족(Plukenetieae)은 범열대에 분포한다.[17]속 |
---|
사차인치속(Plukenetia L.) |
Acidoton Sw. |
Angostylis Benth. |
Astrococcus Benth. |
Bia Klotzsch |
Cnesmone Blume |
Dalechampia Plum. ex L. |
Gitara Pax & K.Hoffm. |
Haematostemon Pax & K.Hoffm. |
Megistostigma Hook.f. |
Pachystylidium Pax & K.Hoffm. |
Platygyna P.Mercier |
Romanoa Trevis. |
Sphaerostylis Baill. |
Tragia Plum. ex L. |
Tragiella Pax & K.Hoffm. |
Zuckertia Baill. |
2. 13. 피크노코마족 (Pycnocomeae)
피크노코마족(Pycnocomeae영어)은 열대 아프리카에 분포한다.[18]- ''Argomuellera'' Pax
- ''Blumeodendron'' (Müll.Arg.) Kurz
- ''Botryophora'' Hook.f.
- ''Droceloncia'' J.Léonard
- ''Podadenia'' Thwaites
- ''Ptychopyxis'' Miq.
- ''Pycnocoma'' Benth.
참조
[1]
웹사이트
Malpighiales
https://mobot.org/MO[...]
2023-06-16
[2]
서적
Plants Systematics: An Integrated Approach
Science Publishers
[3]
논문
A Contribution to the Guianan Flora: Dalechampia, Haematostemon, Omphalea, Pera, Plukenetia, and Tragia (Euphorbiaceae) with Notes on Subfamily Acalyphoideae
https://archive.org/[...]
1997
[4]
간행물
Flora 16(1, Beibl.): 61, 104
1833
[5]
서적
Plants Systematics: An Integrated Approach
Science Publishers
[6]
간행물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45
1829
[7]
간행물
Taxon 24: 596
1975
[8]
간행물
Genera Euphorbiacearum 135
2001
[9]
간행물
Taxon 24: 596
1975
[10]
간행물
Taxon 24: 597
1975
[11]
간행물
American Journal of Botany 56: 752
1969
[12]
간행물
Botanische Zeitung (Berlin) 22: 324
1864
[13]
간행물
Taxon 24: 595
1975
[14]
간행물
Journal of the Faculty of Science: University of Tokyo, Section 3, Botany 6: 309
1954
[15]
간행물
Taxon 24: 596
1975
[16]
간행물
In: Engler, Heinrich Gustav Adolf. Das Pflanzenreich VI. 147 IX(Heft 68): 2
1919
[17]
간행물
American Journal of Botany 56: 753
1969
[18]
간행물
Phytoneuron 37: 218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