끄라 지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끄라 지협은 태국 남부에 위치한 지협으로, 태국만과 안다만 해를 연결하며, 과거부터 운하 건설이 여러 차례 시도되었다. 1677년부터 운하 건설 시도가 있었으나, 기술적 문제, 지정학적 이유 등으로 번번이 무산되었다. 20세기에는 일본군이 끄라 지협 횡단 철도를 건설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말라카 해협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운하, 파이프라인, 철도 건설 계획이 다시 논의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지원 속에 2018년에는 135km 길이의 운하 건설 계획이 제시되었으나, 태국 내에서는 국토 분단 우려로 반대 의견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지협 - 수에즈 지협
수에즈 지협은 1869년 개통된 수에즈 운하가 위치한 지역으로, 지중해와 홍해를 연결하며, 세계에서 가장 붐비는 해상 운송로 중 하나이자 이집트의 주요 수입원이다.
끄라 지협 | |
---|---|
지리 정보 | |
위치 | 라농 및 춤폰, 태국 |
종류 | 지협 |
좌표 | 10°11′00″N 98°53′00″E |
일반 정보 | |
이름 | 끄라 지협 |
태국어 | 코 콛 끄라 |
태국어 (로마자 표기) | Kho Khot Kra |
말레이어 | Segenting Kra |
일본어 | クラ地峡 (쿠라 치쿄) |
폭 | 44km |
길이 | 약 400km |
최고 고도 | 75m |
2. 역사
2. 1. 고대 및 중세
2. 2. 운하 건설 시도와 좌절 (근대)

끄라 지협에 운하를 건설하려는 시도는 과거부터 여러 차례 있었다. 1677년 태국 왕국에서 미얀마까지의 물자 수송을 위한 더 짧은 항로를 확보하고자 프랑스 기술자에게 조사를 의뢰했지만, 당시 기술로는 실현 불가능했다.
1793년에는 라마 1세의 동생이 안다만해 방어 용이성을 위해 운하 건설을 재검토했으나 실행되지 않았다. 19세기 초 영국 동인도 회사가 관심을 보여 끄라강 하구에서 영령 버마까지 탐사했으나 부정적인 결과였다.
수에즈 운하 건설자 레셉스는 1882년 이 지역을 방문하여 건설 약속을 받았지만, 1897년 싱가포르항의 전략적 중요성을 유지하기 위해 태국 왕국과 대영 제국은 운하를 건설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1973년 미국, 프랑스, 일본, 태국 4개국이 평화적 핵폭발을 이용한 운하 건설을 제안했지만 중단되었다.
말라카 해협의 해적 피해, 선박 혼잡, 대형 유조선과 컨테이너선의 "말라카 맥스" 통과 문제 등으로 인해 끄라 지협에 운하, 파이프라인, 철도 건설 계획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국경 근처 송클라주 부근을 운하 건설 장소로 하는 계획도 있다.[9]
끄라 운하 건설은 동남아시아에서 싱가포르의 중요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과거에는 화교·화인들이 반대했지만, 21세기 들어 중화인민공화국이 지원하고 있다. 2001년 친중적인 탁신 친나왓 정권 하에서 태국과 중국 단체가 조사를 실시, 2005년 국민 의회 상원이 구상 추진을 승인했다. 2014년 태국 쿠데타 이후인 2015년, 태국군 전 고위 장교가 대표를 맡는 경제 단체에 중국 베이징 대학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운하 계획 보고서가 태국 화교를 통해 전달되었고, "태국 운하 협회"가 설립되었다. 2018년 구상에서는 타이만 연안의 나콘시탐마랏주와 서부의 뜨랑주를 연결하여 총 길이 135km, 폭 350~400m, 수심 30m의 운하를 약 480억 달러로 개설하고, 잔토로 인공섬을 조성한다고 한다.[10] 그러나 태국 국내에서는 국토 분단이 남부 3주의 분리 독립 운동을 조장한다는 반대 의견도 있다.[11]
2. 3. 태평양 전쟁과 철도 건설 (20세기)
1941년 12월 8일 현지 시각, 일본 제국 육군은 태국을 침공하며 송클라에 상륙했다. 국제 날짜 변경선 때문에, 이는 12월 7일(하와이 시간) 진주만 공격보다 몇 시간 먼저 발생하여 태평양 전쟁의 첫 번째 주요 작전이 되었다.[4] 일본군은 이후 말라야 전역의 일환으로 페를리스와 페낭으로 남하했으며, 이는 싱가포르 점령으로 절정에 달했다.[4]
19세기, 태국 왕국에게 최초의 철도로 끄라 지협에 철도 부설이 계획되었지만 실현되지 못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일본 제국 육군이 끄라 지협 횡단 철도를 건설했지만, 종전으로 인해 폐지되었다. 그 후, 21세기에도 태국 국철이 부설 계획을 발표하는 등, 여러 차례 계획이 거론되고 있다.
3. 끄라 운하
끄라 지협은 태국의 태국만과 안다만 해를 연결하는 지역으로, 인도에서 중국으로 가는 항해를 단축하고 말라카 해협을 우회할 수 있는 운하 건설이 오랫동안 제안되었다.[5][6] 1859년 방콕의 영사 로버트 헤르만 쉔부르크가 영국 의회에 보고서를 제출하면서 논의되었다.[7]
운하 건설 구상은 1677년 태국 왕국에서 미얀마까지의 짧은 수송 루트를 만들기 위해 처음 언급되었으나 당시 기술력으로는 비현실적이었다. 1793년 라마 1세의 동생이 안다만 해 측 방어를 위해 재검토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19세기 초 영국 동인도 회사가 관심을 가졌으나 부정적인 결과였다.
1882년 수에즈 운하 건설자 레셉스가 방문하여 건설 약속을 받았지만, 1897년 싱가포르항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태국과 대영 제국은 운하를 건설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1973년 미국, 프랑스, 일본, 태국 4개국이 평화적 핵폭발을 이용한 운하 개설을 제안했지만 중지되었다.
최근에는 말라카 해협의 해적 피해, 선박 혼잡, 대형 유조선과 컨테이너선의 "말라카 맥스" 통과 문제 등의 대책으로 운하, 파이프라인, 철도 건설 계획이 부상하고 있다. 특히, 과거 싱가포르의 중요성이 희석될 것을 우려한 화교·화인들의 반대가 있었으나, 21세기 들어 중화인민공화국이 이 계획을 지원하고 있다.
2001년 친중국적인 탁신 친나왓 정권 하에서 태국과 중국 단체가 조사를 실시, 2005년 국민 의회 상원이 구상 추진을 승인했다. 2014년 태국 쿠데타 이후인 2015년에는 태국군 전 고위 장교가 대표를 맡는 경제 단체에 중국 베이징 대학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운하 계획 보고서가 전달되었고, "태국 운하 협회"가 설립되었다. 2018년 구상에서는 타이만 연안의 나콘시탐마랏주와 서부의 뜨랑주를 연결하여, 총 길이 135km, 폭 350~400m, 수심 30m의 운하를 약 480억 달러로 개설하고, 잔토(殘土)로 인공섬을 조성한다고 한다.[10] 그러나 태국 국내에서는 국토 분단이 남부 3주의 분리 독립 운동을 조장한다는 반대 의견도 있다.[11]
3. 1. 운하 건설 구상
끄라 지협을 관통하여 태국만과 안다만 해를 연결하는 운하 건설 구상은 오랫동안 제기되어 왔다.[5] 이 운하는 인도에서 중국으로 가는 항해 거리를 단축하고 말라카 해협을 우회할 수 있게 해준다.[6]1677년 태국 왕국에서 미얀마까지의 물자 수송을 위한 짧은 항로를 확보하기 위해 처음 운하 건설이 언급되었으나, 당시 기술력으로는 실현 불가능했다. 1793년 라마 1세의 동생이 안다만 해 방어 강화를 위해 운하 건설을 재검토했지만 실행되지 않았다. 19세기 초 영국 동인도 회사가 운하 건설에 관심을 갖고 탐사했으나, 부정적인 결과가 나왔다.[7]
1882년 수에즈 운하 건설자인 레셉스가 이 지역을 방문하여 건설 약속을 받았지만, 1897년 싱가포르항의 중요성을 유지하기 위해 태국과 대영 제국은 운하를 건설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1973년 미국, 프랑스, 일본, 태국 4개국이 평화적 핵폭발을 이용한 운하 건설을 제안했지만 중단되었다.
최근에는 말라카 해협의 해적 문제, 선박 통행량 증가, 유조선과 컨테이너선의 대형화로 인한 "말라카 맥스" 통과 문제 등의 대안으로 끄라 지협 운하 건설이 다시 부상하고 있다.
2001년 친중국적인 탁신 친나왓 정권 하에서 태국과 중국 단체가 운하 건설 조사를 실시했고, 2005년 상원이 구상 추진을 승인했다.[10] 2014년 태국 쿠데타 이후인 2015년에는 "태국 운하 협회"가 설립되었다. 2018년 구상에 따르면, 나콘시탐마랏주와 뜨랑주를 연결하는 총 길이 135km, 폭 350~400m, 수심 30m의 운하를 약 480억 달러에 건설하고, 잔토로 인공섬을 조성할 계획이다.[10] 그러나 태국 내에서는 국토 분단이 남부 3주의 분리 독립 운동을 조장할 수 있다는 반대 의견도 있다.[11]
3. 2. 현대의 운하 논의
끄라 지협은 태국의 태국만과 안다만 해를 연결하는 지역으로, 인도에서 중국으로 가는 항해를 단축하고 말라카 해협을 우회할 수 있는 운하 건설이 오랫동안 제안되었다.[5][6] 1859년 방콕의 영사 로버트 헤르만 쉔부르크가 영국 의회에 보고서를 제출하면서 논의되었다.[7]운하 건설 구상은 1677년 태국 왕국에서 미얀마까지의 짧은 수송 루트를 만들기 위해 처음 언급되었으나 당시 기술력으로는 비현실적이었다. 1793년 라마 1세의 동생이 안다만 해 측 방어를 위해 재검토했지만 실현되지 않았다. 19세기 초 영국 동인도 회사가 관심을 가졌으나 부정적인 결과였다.
1882년 수에즈 운하 건설자 레셉스가 방문하여 건설 약속을 받았지만, 1897년 싱가포르항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태국과 대영 제국은 운하를 건설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1973년 미국, 프랑스, 일본, 태국 4개국이 평화적 핵폭발을 이용한 운하 개설을 제안했지만 중지되었다.
최근에는 말라카 해협의 해적 피해, 선박 혼잡, 대형 유조선과 컨테이너선의 "말라카 맥스" 통과 문제 등의 대책으로 운하, 파이프라인, 철도 건설 계획이 부상하고 있다.
2001년 친중국적인 탁신 친나왓 정권 하에서 태국과 중국 단체가 조사를 실시, 2005년 국민 의회 상원이 구상 추진을 승인했다. 2014년 태국 쿠데타 이후인 2015년에는 태국군 전 고위 장교가 대표를 맡는 경제 단체에 중국 베이징 대학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운하 계획 보고서가 전달되었고, "태국 운하 협회"가 설립되었다. 2018년 구상에서는 타이만 연안의 나콘시탐마랏주와 서부의 뜨랑주를 연결하여, 총 길이 135km, 폭 350~400m, 수심 30m의 운하를 약 480억 달러로 개설하고, 잔토(殘土)로 인공섬을 조성한다고 한다.[10] 그러나 태국 국내에서는 국토 분단이 남부 3주의 분리 독립 운동을 조장한다는 반대 의견도 있다.[11]
3. 3. 대한민국과 끄라 운하
4. 끄라 지협 관련 작품
4. 1. 애니메이션
- 합신전대 메칸더 로보 제5화, 제6화에 끄라 지협이 나온다.
참조
[1]
웹사이트
Kra, Isthmus of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4-14
[2]
서적
The Physical Geography of Southeast Asia
[3]
서적
Terrestrial Ecoregions of the Indo-Pacific: a Conservation Assessment.
Island Press
2002
[4]
웹사이트
Bicycle Blitzkreig [sic] The Japanese Conquest of Malaya and Singapore 1941-1942
http://www.militaryh[...]
2012-08-09
[5]
웹사이트
Thai Canal Project: Over 300 years of conceptualising and still counting
http://asiancorrespo[...]
Hybrid News
2013-04-14
[6]
서적
Singapore: Unlikely Powe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7]
간행물
1859 Session 2 [2572] Despatch relative to the projected ship-canal across the Isthmus of Kraa (sic.)
[8]
서적
Notes of a journey across the Isthmus of Krà
https://en.wikisourc[...]
1883
[9]
뉴스
幻の「東洋のパナマ運河」再浮上 中国とタイ、水面下で巨大プロジェクト
https://web.archive.[...]
SankeiBiz
2016-08-23
[10]
뉴스
【ワールドビュー】「タイ運河」200年越しの夢
読売新聞
2018-12-16
[11]
웹사이트
タイ:中国の懐を狙うクラ運河計画
https://newspicks.co[...]
2015-03-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