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풍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도풍란은 난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흰색의 굵은 뿌리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자란다. 잎은 소엽풍란보다 넓고 긴 타원형이며, 6-8월에 순백색의 꽃이 피고 달콤한 향기를 낸다.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바위나 나무에 붙여 기르기 적합하다. 국제 거래가 규제되어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도풍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Phalaenopsis japonica |
| 학명 명명자 | (Rchb.f.) Kocyan & Schuit. |
| 속 | 나도풍란속 (Phalaenopsis) |
| 아속 | Phalaenopsis subg. Hygrochilus |
| 이명 | Aerides japonica Rchb.f. Hygrochilus japonicus (Rchb.f.) M.H.Li, Z.J.Liu & S.R.Lan Sedirea japonica (Rchb.f.) Garay & H.R.Sweet |
| 분포 | 중국 일본 대한민국 |
| 생물 분류 |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강 | 외떡잎식물군 |
| 목 | 비짜루목 |
| 과 | 난초과 |
| 아과 | 석곡아과 |
| 족 | 풍란족 |
| 아족 | 지갑란아족 |
| 보존 상태 | |
| 대한민국 환경부 |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
2. 특징
흰색의 굵은 뿌리가 많이 나와 공기 중에 노출되어 길게 자란다. 진한 녹색의 광택이 있는 잎은 소엽풍란보다 넓고 긴 타원형으로 3-5매가 어긋나게 자란다. 꽃은 6-8월경에 피며, 열매를 맺어 번식할 수 있다.
2. 1. 형태
흰색의 굵은 국숫발 같은 뿌리가 많이 나와서 공기 중에 노출되어 길게 자란다. 진한 녹색에 광택이 있는 잎이 어긋나는데, 소엽풍란보다 넓고 긴 타원형 잎 3-5매가 어긋나게 자라 올라온다. 꽃대 끝에 5-10송이의 꽃이 피는데, 입술꽃잎 안쪽에 붉은 반점이 있으며 진하고 달콤한 향기를 내뿜는다. 6-8월에 순백의 꽃이 피며 향기가 짙고 오래간다. 꽃이 지면 3cm-4cm의 열매가 맺히는데,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면 채취해 무균발아 시켜서 번식할 수 있다.2. 2. 개화
6-8월에 순백색 꽃이 꽃대 끝에 5-10송이가 달린다. 입술꽃잎 안쪽에 붉은 반점이 있으며 진하고 달콤한 향기를 내뿜는다.[1] 꽃이 지면 3cm 에서 4cm의 열매가 맺히는데, 갈색으로 변하기 시작하면 채취해 무균발아 시켜서 번식할 수 있다.[1]3. 이용
나도풍란은 주로 관상용으로 이용된다. 식물체가 작고 강인하여 바위나 나무에 붙여 재배하기에 적합하다.
3. 1. 관상용
대개 관상용으로 재배하는데, 식물체가 작고 강인하기 때문에 바위나 나무에 붙여 재배하기에 적합하다.4. 재배 및 관리
화훼단지에서 판매하는 포트묘를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해 기르기 시작한다. 배양토로는 수태, 바크, 난석 등을 이용하며, 물은 일반 난과 같이 화분 겉흙이 마르기 시작하면 준다. 뿌리가 공중에 노출되어 자라므로 공중 습도를 높게 유지해준다.[4]
4. 1. 재배 환경
배양토로는 수태, 바크, 난석 등을 이용한다. 물은 일반 난과 같이 화분 겉흙이 마르기 시작하면 주고, 뿌리가 공중에 노출되어 자라므로 공중 습도를 높게 유지해준다.[4]4. 2. 번식
요약에 해당하는 내용이 원문에 없으므로 섹션에 포함될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5. 보존
국제자연보호연맹(IUCN)은 이 종의 보존 상태를 평가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 종은 CITES 부속서 II 규정에 따라 보호받고 있다.[8]
참조
[1]
간행물
Phytotaxa
2014
[2]
간행물
Hamburger Garten- Blumenzeitung
1863
[3]
간행물
Phytotaxa
2014
[4]
간행물
Orchids S. Ryukyu Is.
1974
[5]
웹사이트
Phalaenopsis japonica (Rchb.f.) Kocyan & Schuit.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s://powo.science[...]
2022-02-16
[6]
서적
Flora of China
Science Press
2009
[7]
논문
Revision of Hygrochilus (Orchidaceae: Epidendroideae: Aeridinae) and a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2014
[8]
웹사이트
Phalaenopsis
https://cites.org/en[...]
2022-02-23
[9]
문서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0]
서적
세밀화로 보는 한국의 야생화
김영사
2012-09-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