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마카 (위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마카는 2005년에 발견된 하우메아의 위성이다. 발견 당시 '블리첸'이라는 별칭으로 불렸으며, 임시 부호는 S/2005 (2003 EL61) 2였다. 나마카는 하와이 신화 속 물의 정령인 나마카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지름은 약 170km이며, 표면은 물 얼음으로 덮여 있다. 히이아카의 섭동으로 인해 원궤도를 유지하며, 아직 궤도 정보가 불충분하여 잠정적인 궤도가 계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우메아의 위성 - 히이아카
    히이아카는 2005년에 발견된 하우메아의 위성으로, 하와이 신화의 여신 히이아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지름 약 310km, 질량 약 4×1020kg이고 표면은 주로 물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 2005년 발견한 천체 - 2MASS J09393548-2448279
    2MASS J09393548-2448279는 2005년 발견된 갈색왜성으로, 500K에서 700K 사이의 유효 온도와 25~40 목성 질량 사이의 질량을 가지며, 발견 당시 가장 어두운 갈색왜성이었다.
  • 2005년 발견한 천체 - 다프니스 (위성)
    다프니스는 토성의 위성으로, 킬러 간극 내에서 공전하며 고리에 파동을 일으키고, 불규칙한 모양에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며, 토성 고리에 영향을 준다.
나마카 (위성)
기본 정보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사진에서 나마카는 하단 근처의 희미한 점이며, 하우메아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사진에서 나마카는 하단 근처의 희미한 점이며, 하우메아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명칭하우메아 II 나마카
가칭(136108) 2003 EL61 II
S/2005 (2003 EL61) 2
명명 대상나마카
발견
발견자마이클 E. 브라운
채드 트루힐로
데이비드 라비노위츠 외
발견일2005년 6월 30일
MPC 명칭Haumea II
궤도 특성
모천체하우메아
궤도 참조SatelliteOrbits
궤도 장반경25657 ± 91 km
궤도 이심률0.249 ± 0.015 (2009년 기준, 변동)
공전 주기18.2783 ± 0.0076 일
궤도 경사113.013 ± 0.075 °
히이아카 대비 13.41 ± 0.08 ° (2008년 기준, 변동)
승교점 경도205.016 ± 0.228 °
근점 인수178.9 ± 2.3 °
평균 근점 이각178.5 ± 1.7 °
물리적 특성
평균 반지름~85 km (반사율이 모천체와 같을 경우, 0.7 ± 0.1)
질량(1.79 ± 1.48) × 1018 kg (하우메아 질량의 0.05%)
밀도(1 g/cm3에 가까울 것으로 추정)
표면 온도32 ± 3 K
자전?
자전축 기울기알려지지 않음
반사율0.8 ± 0.2
겉보기 등급21.9 (모천체 17.3과의 차이 4.6)

2. 발견

나마카는 2005년 6월 30일에 발견되어 2005년 11월 29일에 발표되었다. 발견 당시에는 '''S/2005 (2003 EL61) 2'''라는 임시 부호가 붙었다. 발견자 그룹은 이 위성에 '''블리첸'''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정식 명칭은 하와이 신화의 여신 하우메아의 딸 중 한 명으로, 물의 정령인 Nāmaka|나마카영어에서 유래했다.

나마카는 2024년 현재까지 4번밖에 관측되지 않았다. 완전한 형태의 궤도를 산출하기에는 데이터가 불충분하여, 이심률을 0으로 가정하여 잠정적인 궤도가 구해졌다.

3. 명칭

나마카는 2005년 6월 30일에 발견되었고, 2005년 11월 29일에 발표되었다. 발견 팀은 공식 명칭이 부여되기 전까지 이 위성에 "블리첸"이라는 별명을 붙였다.

발견 당시에는 '''S/2005 (2003 EL) 2'''라는 임시 부호가 붙었다. 발견자 그룹은 이 위성을 '''블리첸'''이라고 불렀다. 정식 명칭은 하와이 신화의 여신 하우메아의 딸 중 한 명으로, 물의 정령인 Nāmaka|나마카영어에서 유래했다.

4. 물리적 특성

나마카는 지름이 약 170km이며, 표면은 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4. 1. 표면

나마카는 모천체인 하우메아보다 밝기가 1.5%에 불과하며, 질량은 약 0.05%이다. 만약 유사한 알베도를 가질 경우, 직경은 약 170km가 될 것이다. 광도 관측 결과, 표면은 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과 2011년 사이에 발생한 상호 엄폐 현상은 하우메아 시스템 구성 요소들의 궤도와 질량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더 큰 위성인 히이아카의 예상치 못한 비조석 고정 자전 상태로 인해 이러한 관측 결과를 해석하는 데 큰 어려움이 있었다. 나마카는 크기 면에서 마케마케의 위성 MK2와 유사하지만 더 작다. 히이아카에 대한 추가 관측을 통해 자전 주기와 자전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2009년에 얻은 데이터에서 그 영향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1][2]

4. 2. 궤도

나마카는 아직 4번밖에 관측되지 않았다. 완전한 형태의 궤도를 산출하기에는 데이터가 불충분하여, 이심률을 0으로 가정하여 잠정적인 궤도가 구해졌다.[1]

나마카의 밝기는 하우메아의 1.5%에 불과하며, 알베도가 같다고 가정하면 직경은 약 170km이다. 바깥쪽을 공전하는 히이아카에 의한 섭동에 대해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어 원궤도를 유지할 수 있다.[1]

5. 상호 엄폐 현상

나마카는 모천체인 하우메아보다 밝기가 1.5%에 불과하며, 질량은 약 0.05%이다. 만약 알베도가 비슷하다면, 지름은 약 170km가 될 것이다. 빛의 관측 결과, 표면은 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과 2011년 사이에 발생한 상호 엄폐 현상은 하우메아 시스템 구성 요소들의 궤도와 질량에 대한 정보를 늘릴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더 큰 위성인 히이아카의 예상치 못한 비조석 고정 자전 상태 때문에 이러한 관측 결과를 해석하기 어려웠다. 나마카는 크기가 마케마케의 위성 MK2와 비슷하지만 더 작다. 히이아카에 대한 추가 관측을 통해 자전 주기와 자전 상태를 더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2009년에 얻은 자료에서 그 영향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1][2]

참조

[1] 논문 The Short Rotation Period of Hiʻiaka, Haumea's Largest Satellite
[2] 논문 Mutual Events in the Cold Classical Transneptunian Binary System Sila and Nunam
[3] 웹사이트 準惑星 https://web.archive.[...] JAXA 2019-03-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