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밭쥐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무밭쥐속은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 속이다. 흰발나무밭쥐, 붉은나무밭쥐, 캘리포니아붉은나무쥐가 있으며,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소노마나무밭쥐와 흰발나무밭쥐가 붉은나무밭쥐보다 더 가깝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는 흰발나무밭쥐가 가장 기저 종이라는 이전의 추측과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나무밭쥐속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나무밭쥐속 | |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아목 | 쥐아목 |
상과 | 쥐상과 |
과 | 비단털쥐과 |
아과 | 물밭쥐아과 |
속 | 나무밭쥐속 (Arborimus) |
명명자 | Taylor, 1915 |
모식종 | Phenacomys longicaudus |
속 | 나무밭쥐속 (Arborimus) |
하위 분류 | |
종 | Arborimus albipes Arborimus longicaudus Arborimus pomo |
2. 분류
나무밭쥐속에는 3종이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의하면, 소노마나무밭쥐와 흰발밭쥐가 붉은나무밭쥐보다 더 가깝다.[9][10] 이는 흰발밭쥐를 나무밭쥐속의 가장 기저 종으로 추정했던 이전의 제안과 상반된다.[11]
2. 1. 하위 종
흰발나무밭쥐 (''Arborimus albipes'')붉은나무밭쥐 (''Arborimus longicaudus'')
캘리포니아붉은나무쥐 또는 소노마나무밭쥐 (''Arborimus pomo'')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따르면, 소노마나무밭쥐와 흰발밭쥐가 붉은나무밭쥐보다 더 근연 관계를 갖고 있다.[9][10] 이는 흰발밭쥐를 나무밭쥐속의 가장 기저 종으로 추정했던 이전의 제안과 상반된다.[11]
2. 2. 계통 분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에 의하면, 소노마나무밭쥐와 흰발밭쥐가 붉은나무밭쥐보다 더 근연 관계를 갖고 있다.[9][10] 이는 흰발밭쥐를 나무밭쥐속의 가장 기저 종으로 추정했던 이전의 제안과 상반된다.[11]참조
[1]
간행물
Mammal Diversity Database
https://zenodo.org/r[...]
Zenodo
2021-11-06
[2]
웹사이트
North America: land of obscure, freaky voles
https://blogs.scient[...]
2021-12-12
[3]
웹사이트
Arborimus longicaudus (red tree vole)
https://animaldivers[...]
2021-12-12
[4]
웹사이트
ECOS: Species Profile
https://ecos.fws.gov[...]
2021-12-12
[5]
논문
Taxonomic relationships among ''Phenacomys'' voles endemic to western United States
2005
[6]
논문
Conservation genetics of the Sonoma Tree Vole (''Arborimus pomo'') based on mitochondrial and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arkers
2006
[7]
서적
Superfamily Muroide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2005
[8]
간행물
[9]
논문
Taxonomic relationships among ''Phenacomys'' voles endemic to western United States
2005
[10]
논문
Conservation genetics of the Sonoma Tree Vole (''Arborimus pomo'') based on mitochondrial and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markers
2006
[11]
서적
Superfamily Muroidea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