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는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회색 무늬와 등에서 꼬리까지 두 줄로 이어진 결절이 특징이다. 위협을 느끼면 고약한 냄새가 나는 액체를 꼬리에서 분사하여 방어하며, 야행성, 수목성 생활을 한다. 주로 덤불지대, 삼림지대, 수풀지대와 같은 초목 지대에서 발견되며, 거미, 지네, 전갈 등 절지류를 먹는다. 암컷이 수컷보다 크며, 난생으로 한 번에 두 개의 알을 낳는다. 현재 멸종 위협을 받지 않아 IUCN 적색 목록에서 최소 관심 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2년 기재된 파충류 - 북방잎꼬리도마뱀붙이
북방잎꼬리도마뱀붙이는 오스트레일리아 북동부 해안 지역 등 다양한 지역의 열대 및 온대 우림에 서식하는 삼각형 머리와 잎 모양 꼬리를 가진 최대 14cm 크기의 야행성 도마뱀붙이로, 곤충과 절지동물을 먹으며 위협 시 꼬리를 흔들거나 자절하는 방어 기제를 사용하고 암컷은 얕은 둥지에 1~2개의 알을 낳는다. - 1892년 기재된 파충류 - 세뿔달린카멜레온
탄자니아 특정 산맥에서만 발견되는 세뿔달린카멜레온은 수컷에게 세 개의 뿔이 있으며, 녹색을 띠고 자극을 받으면 검은 반점이 나타나는 난생 동물로, IUCN "관심 필요" 등급으로 분류되어 국제 거래 제한 및 수출 금지 대상이다. - 제임스 더글러스 오길비가 명명한 분류군 - 주머니두더지
주머니두더지는 오스트레일리아의 모래 평원과 사구에 서식하며 모래를 파고 먹이를 찾는 데 특화된 유대류 동물로, 눈과 외부 귀가 없고 잘 발달된 발톱을 가진 주머니두더지목에 속하는 남부주머니두더지와 북부주머니두더지 두 종이 있다. - 제임스 더글러스 오길비가 명명한 분류군 - 하웰과
하웰과는 주걱치목에 속하는 물고기 과로, 바티스피라에놉스, 하웰라, 슈도하웰라 등의 속을 포함하며 프레갈레아그라(Praegaleagra)라는 화석 속도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돌도마뱀붙이과 - 네발톱도마뱀붙이속
네발톱도마뱀붙이속은 오세아니아, 멜라네시아, 태국, 류큐 열도에 분포하며 빨판과 발톱을 가진 중간 크기의 도마뱀붙이류이고 일부 종은 위협 시 꼬리나 피부를 떨구는 특징을 가진다. - 돌도마뱀붙이과 - 놀란도마뱀붙이속
놀란도마뱀붙이속은 유라시아에 분포하며 큰 머리와 원통형 몸통, 짧은 꼬리를 가진 10~20cm 크기의 야행성 도마뱀 속으로, 곤충을 먹고 난생으로 번식하며 9개의 종이 있고 애완동물로도 사육된다.
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Strophurus intermedius |
명명자 | Ogilby, 1892 |
이명 | Diplodactylus intermedius Ogilby, 1892 Diplodactylus ciliaris intermedius Kluge, 1967 Diplodactylus strophurus intermedius Mitchell, 1955 Strophurus intermedius burrelli Hoser, 2005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 |
강 | 파충류 |
목 | 뱀목 |
하목 | 도마뱀붙이하목 |
과 | 디플로닥틸루스과 |
속 | 가시꼬리도마뱀붙이속 |
종 | 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 |
보전 상태 | |
IUCN | LC - 최소 관심 대상 |
IUCN 기준 | IUCN3.1 |
2. 묘사
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는 도마뱀붙이 중에서는 큰 편에 속한다. 크레스티드 게코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눈 위에 가시가 돋아나 있지 않다. 성체의 몸길이는 주둥이에서 항문까지 평균 64mm이다.
2. 1. 외형
몸통은 회색 무늬를 띄며 아랫배는 창백하다.[13] 등에서부터 꼬리까지 결절이 두 줄씩 줄지어 나있어서 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14] 이 황갈색 결절들은 꼬리로 갈수록 더 도드라진다. 이 뿔처럼 생긴 결절은 방어 기제의 핵심 요소인데, 위협을 느끼면 해롭지는 않지만 냄새가 고약한 액체를 발사한다.[13] 다리와 몸통은 실하며,[14] 발가락은 대부분의 도마뱀붙이과 종들처럼 납작하게 퍼져있다. 눈의 테두리는 밝은 주황색을 띈다. 머리는 타원형이며 주둥이는 둥글고 눈은 크다.2. 2. 성적 이형성
성체는 성적 이형성을 띄며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6] 수컷은 암컷에게는 없는 큰 반음경 융기(돌출부)를 가지고 있다.[6]3. 분류
제임스 더글라스 오길비는 1892년에 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를 ''Strophurus intermedius''라는 학명으로 최초로 기록하였다.[14] 그는 같은 해에 이 종을 ''Diplodactylus intermedius''로도 기술했다.[5] 가시꼬리도마뱀붙이속은 등과 꼬리에 가시가 돋아나 있는 것이 특징이며, 18종(또는 20종)이 속해 있는데 모두 호주에 자생한다. 이들은 꼬리에서 해롭지는 않지만 고약한 냄새가 나는 액체를 뿌리는 독특한 방어 기제를 가지고 있다.[13][4] ''Strophurus''는 라틴어로 "꼬리를 돌리다"를 의미하며, ''intermedius''는 "중간"을 의미한다.[7]
4. 분포
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는 노던 준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퀸즐랜드주에서 발견되는데, 특히 남부에 많이 서식한다. 뉴사우스웨일스주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전역, 빅토리아주의 북쪽 반절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16] 노던 준주의 앨리스 스프링스 주변에서 제일 흔하게 발견된다.[16] 말리나무 덤불지대, 삼림지대에서 제일 흔하게 발견된다.
5. 생태
남방가시꼬리는 야행성, 수목성이다.[17][13]
5. 1. 서식지
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는 외온동물이며 따뜻한 반건조 서식지에서 발견된다. 낮에는 바위, 통나무 밑에 숨거나[17][13] 스피니펙스 밑에서도 발견된다. 밤에는 활동적으로 먹이를 사냥한다.일반적으로 덤불지대, 삼림지대, 수풀지대와 같은 초목으로 뒤덮인 지대에서 발견된다.
6. 번식
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는 난생이며 한 번에 두 개의 알을 낳는다. 암수는 두 살에 성숙하여 번식을 시작한다. 암컷은 여름이 오면 번식에 돌입하는데, 1년에 6개월 이상 번식이 가능하다.[15] 알이 부화하기까지는 45일이 소요된다.[15]
7. 식성
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는 거미, 지네, 전갈, 바퀴벌레, 애벌레, 귀뚜라미, 딱정벌레 등의 절지동물만을 먹는다.[15] 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의 먹이는 근연종인 동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와 90% 가까이 겹친다.[15]
8. 위협
남방가시꼬리는 꼬리에서 포식자를 쫓는 액체를 뿌려 새들에게서 자신을 지킨다.[18] 하지만 야생 고양이와 같은 외래포식자들도 남방가시꼬리를 노리고 있다. 호주 중부에서는 고양이가 파충류를 포함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한다고 알려져 있다.[18] 야생 고양이는 여름이면 도마뱀붙이 등의 파충류를 자주 사냥하는 것으로 보인다.[18]
9. 보전 상태
남방가시꼬리도마뱀붙이는 멸종 위기를 겪고 있지 않다.[19] IUCN 적색 목록에 멸종 위기종으로 등재되지 않았다. ''S. intermedius''는 위협을 받는 종이 아니며,[10] IUCN 적색 목록에 의해 최소 관심 종으로 평가되었다.
참조
[1]
간행물
Strophurus intermedius
http://dx.doi.org/10[...]
2019-12-13
[2]
웹사이트
[3]
논문
The reptile fauna of Nombinnie Nature Reserve and State Conservation Area, western New South Wales
2006
[4]
논문
A new subspecies of Strophurus intermedius (Squamata: Gekkonidae) from South Australia
2005
[5]
논문
Description of Three New Australian lizards
1892
[6]
논문
Comparative Biology of Eight Species of Diplodactylus Gecko in Western Australia
1986
[7]
웹사이트
Southern spiny-tailed gecko (Strophurus intermedius) at the Australian Reptile Online Database {{!}} AROD.com.au
http://www.arod.com.[...]
[8]
간행물
West Corurgan wildlife
2008
[9]
논문
Diet of the Feral Cat (Felis catus) in Central Australia
1997
[10]
웹사이트
Strophurus intermedius: Eastern Spiny-tailed Gecko {{!}} Atlas of Living Australia
http://bie.ala.org.a[...]
[11]
간행물
Strophurus intermedius
http://www.iucnredli[...]
2017-12-06
[12]
저널
The reptile fauna of Nombinnie Nature Reserve and State Conservation Area, western New South Wales
2006
[13]
저널
A new subspecies of Strophurus intermedius (squamata: Gekkonidae) from South Australia
2005
[14]
저널
Description of three new Australian lizards
1892
[15]
저널
Comparative biology of eight species of Diplodactylus Gecko in Western Australia
1986
[16]
웹인용
Southern spiny-tailed gecko (Strophurus intermedius) at the Australian Reptile Online Database {{!}} AROD.com.au
https://web.archive.[...]
[17]
간행물
West Corurgan wildlife
2008
[18]
저널
Diet of the Feral Cat (Felis catus) in Central Australia
1997
[19]
웹인용
Strophurus intermedius : Eastern Spiny-tailed Gecko {{!}} Atlas of Living Australia
http://bie.ala.org.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