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군·하동군 (1973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해군·하동군 선거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남해군과 하동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소선거구제가 시행되면서 관할 구역을 유지하며 1인 선거구로 개편되었으며, 이후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신동관, 문부식, 박익주, 최치환, 이수종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동군의 정치 - 사천시·남해군·하동군
사천시·남해군·하동군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며, 사천시, 남해군, 하동군을 관할하고, 사천시 선거구와 남해군·하동군 선거구의 통합으로 신설되었다. - 하동군의 정치 - 하동군수 선거
하동군수 선거는 1995년부터 하동군수를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선거로, 정구용, 조유행, 윤상기를 거쳐 현재는 하승철이 군수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각 선거마다 정당 구도와 득표 현황에 변화가 있었다. - 남해군의 정치 - 사천시·남해군·하동군
사천시·남해군·하동군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며, 사천시, 남해군, 하동군을 관할하고, 사천시 선거구와 남해군·하동군 선거구의 통합으로 신설되었다. - 남해군의 정치 - 남해군수 선거
남해군수 선거는 1995년부터 남해군수를 선출하기 위해 실시된 선거로, 김두관 군수부터 현재 장충남 군수까지 당선되었으며, 선거 결과는 남해군의 정치적 지형 변화와 특정 정당 지지 기반, 무소속 후보의 영향력을 보여준다. - 1973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서천군·보령군
부여군·서천군·보령군은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1988년 부여군, 서천군, 대천시·보령군으로 재편될 때까지 존속했던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 1973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종로구·중구
종로구·중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종로구와 중구 선거구가 통합되어 신설되었으며, 1988년 소선거구제 실시로 분리되었다.
남해군·하동군 (1973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 |
---|---|
선거구 정보 | |
이름 | 남해군·하동군 |
의회 | 국회 |
큰 지도 | 경상남도 |
연도 | 1973 |
폐지 | 1988 |
유형 | 국회 |
이전 선거구 | 남해군 하동군 |
이후 선거구 | 남해군·하동군 |
의원 수 | 2인 |
2. 역사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남해군 선거구와 하동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소선거구제가 시행되었다. 이에 남해군·하동군 선거구는 관할 구역을 유지하면서 1인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2. 1. 선거구 개설
wikitext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남해군 선거구와 하동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소선거구제가 시행되었다. 이에 남해군·하동군 선거구는 관할 구역을 유지하면서 1인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2. 2. 선거구 폐지
3. 역대 국회의원
wikitable
3. 1. 국회의원 목록
wikitable
3. 2. 정당별 당선 횟수
wikitable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1973년)
대한민국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남해군·하동군 선거구에서는 민주공화당 신동관 후보와 신민당 문부식 후보가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신동관 후보는 34,747표(35.26%)를 얻어 1위를, 신민당 문부식 후보는 25,588표(25.97%)를 얻어 2위를 차지했다. 민주공화당 엄기표 후보는 24,861표(25.23%), 무소속 박희수 후보는 13,323표(13.52%)를 얻었다. 전체 유권자 120,145명 중 98,519명이 투표에 참여했으며, 무효표는 2,515표였다.4. 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1978년)
대한민국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경상남도 남해군·하동군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10,728명이었다. 민주공화당 신동관 후보가 31,118표(32.37%)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최치환 후보는 25,977표(27.02%)를 얻어 당선되었다. 신민당 문부식 후보는 19,851표(20.65%), 무소속 이수종 후보는 12,681표(13.19%), 무소속 강상수 후보는 4,025표(4.18%), 무소속 최종태 후보는 2,473표(2.57%)를 얻었다. 총 96,125표가 투표되었고, 무효표는 1,209표였다.4. 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1981년)
대한민국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남해군·하동군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01,542명이었다. 민주정의당 박익주 후보가 36,087표(37.67%)를 얻어 당선되었고, 무소속 이수종 후보는 32,494표(33.92%)를 얻어 당선되었다. 신정당 고정남 후보는 19,309표(20.16%), 민권당 최종림 후보는 5,287표(5.52%), 민주사회당 김금석 후보는 2,598표(2.71%)를 얻었다. 민주한국당 오동환 후보는 0표를 얻었다. 총 95,775표가 투표되었고, 무효표는 2,779표였다.4. 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1985년)
대한민국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남도 남해군·하동군 선거구의 유권자 수는 112,986명이었다. 이 선거에서는 민주정의당 박익주 후보가 42,896표(43.34%)를 얻어 당선되었고, 한국국민당 최치환 후보가 18,076표(18.26%)로 그 뒤를 이어 당선되었다. 신한민주당 문부식 후보는 17,673표(17.85%), 민주한국당 이수종 후보는 11,766표(11.88%), 근로농민당 김기호 후보는 8,557표(8.64%)를 얻었다. 총 투표수는 98,968표였으며, 무효표는 1,548표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