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IGRP)은 시스코가 개발한 라우팅 프로토콜로, IP 주소 고갈 문제와 IGRP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EIGRP(향상된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로 대체되었다. EIGRP는 VLSM(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을 지원하며, 확산 갱신 알고리즘(DUAL)을 사용하여 라우팅 성능을 향상시키고 루프 없는 환경을 제공한다. IGRP는 시스코 IOS 버전 12.3 이후로 지원이 중단되었으며, CCNA 커리큘럼에서도 과거 프로토콜로 언급된다. 대한민국 인터넷 초기 인프라 구축 과정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EIGRP 또는 OSPF 등으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스코 프로토콜 - 시스코 디스커버리 프로토콜
    시스코 디스커버리 프로토콜(CDP)은 시스코 장비 간 연결된 장치 정보를 멀티캐스트로 교환하여 네트워크 관리를 돕는 시스코 고유의 프로토콜이지만, 평문 전송으로 인한 보안 취약점 때문에 LLDP와 같은 표준 프로토콜이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시스코 프로토콜 - EIGRP
    EIGRP는 시스코에서 개발한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자 하이브리드 라우팅 프로토콜로, 효율적인 라우팅을 위해 세 가지 테이블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관리하며, 다양한 메트릭과 기능을 지원한다.
  •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
    라우팅 정보 프로토콜(RIP)은 벨만-포드 알고리즘 기반의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로, 홉 카운트를 사용하여 최적 경로를 설정하며 라우팅 루프 방지를 위해 최대 홉 수를 15로 제한하고, RIPv1, RIPv2, RIPng 등의 버전이 있다.
  • 라우팅 프로토콜 - IS-IS
    IS-IS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라우팅을 제공하는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로, 빠른 컨버전스 속도와 확장성이 뛰어나 통신 사업자 및 데이터 센터에서 주로 사용되며 OSPF와 유사하지만 주소 체계 등에서 차이가 있다.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
프로토콜 정보
이름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
약자IGRP
개발자시스코 시스템즈
첫 출시1980년대 중반
프로토콜 종류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프로토콜 번호9
관리 거리100
라우팅 프로토콜 계열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라우팅 방식거리 벡터 라우팅
지원 프로토콜IP
상태사용 중단
특징
홉 제한255 (기본값은 100)
메트릭대역폭
부하
지연
신뢰도
MTU
타이머업데이트 타이머 (기본값 90초)
무효 타이머 (기본값 270초)
플러시 타이머 (기본값 630초)
스텝 다운 타이머
경로 알림RIP와 유사한 주기적 알림 사용
동작 방식네트워크 내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여 최적의 경로를 결정
단점RIP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변경에 느리게 수렴함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지 않음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의 한계점 가짐

2. IGRP의 발전과 EIGRP로의 전환

기존 IGRP는 IP 주소 고갈 문제와 같은 몇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시스코는 EIGRP(향상된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를 개발하였다. EIGRP는 IGRP를 성공적으로 대체하였으며, 이에 따라 IGRP는 현재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역사적인 프로토콜이 되었다.

2. 1. EIGRP의 주요 특징

시스코는 IP 주소 공간 부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IGRP (향상된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를 개발했다. EIGRP는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가진다.

  • VLSM 지원: VLSM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을 지원하여 IP 주소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확산 업데이트 알고리즘 채택: 라우팅 성능을 향상시키고 루프 없는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확산 업데이트 알고리즘 (DUAL)을 사용한다.


EIGRP는 기존의 IGRP를 완전히 대체하였으며, 이로 인해 IGRP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프로토콜이 되었다. 시스코 IOS 버전 12.3 이후부터는 IGRP가 지원되지 않으며, 새로운 CCNA 커리큘럼에서도 IGRP는 과거의 프로토콜로 간략하게만 언급된다.

2. 2. IGRP 지원 중단

시스코는 IP 주소 고갈 문제 등 기존 IGRP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EIGRP(향상된 내부 게이트웨이 라우팅 프로토콜)를 개발했다.[1][2] EIGRP는 VLSM(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을 지원하고, 라우팅 성능을 높이며 루프 없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확산 업데이트 알고리즘(DUAL)을 채택했다.[1][2]

이러한 기술적 개선을 통해 EIGRP는 IGRP를 완전히 대체하였으며, IGRP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역사적인 프로토콜이 되었다.[1][2] 이에 따라 시스코 IOS는 버전 12.3 이후부터 IGRP에 대한 지원을 중단했다.[1][2] 또한, 시스코 CCNA의 새로운 커리큘럼(버전 4)에서도 IGRP는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프로토콜' 또는 '과거의 프로토콜'로 간략하게만 다루어진다.[1][2]

참조

[1] 웹사이트 Configuring IGRP http://www.cisco.com[...] Cisco Systems
[2] 웹사이트 Assigned Internet Protocol Numbers https://www.iana.org[...]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IANA) 2013-06-18
[3] 웹사이트 Configuring IGRP http://www.cisco.com[...] Cisco Systems 2014-01-06
[4] 웹인용 Assigned Internet Protocol Numbers https://www.iana.org[...] 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IANA) 2013-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