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주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장치를 식별하고 통신하기 위한 고유한 숫자 주소로, IPv4와 IPv6 두 가지 버전이 사용된다. IPv4는 32비트 주소 체계로 널리 사용되었지만, 주소 고갈 문제로 인해 128비트의 IPv6가 개발되었다. IP 주소는 고정 IP와 동적 IP로 나뉘며, 네트워크는 서브넷팅과 CIDR을 통해 관리된다. IP 주소는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며, IP 주소 충돌 및 고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IP 주소는 개인 정보 보호 관련 법적 쟁점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운영체제는 IP 주소 및 네트워크 구성을 확인하기 위한 진단 도구를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IP 주소 - IP 주소 스푸핑
IP 주소 스푸핑은 송신자 IP 주소를 변조하여 위장하는 기술로, 부정 접근, 서비스 거부 공격, 인증 우회 등에 악용되거나 웹사이트 성능 테스트와 같은 합법적 사용도 가능하며, 패킷 필터링 등으로 방어할 수 있다. - IP 주소 - CIDR
CIDR(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은 IP 주소 할당 및 라우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주소 체계로,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VLSM)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유연하게 분할하고 IPv4와 IPv6 주소 모두에 적용 가능한 IP 주소와 접두어 길이를 간결하게 표현하는 표기법을 제공한다. - 인터넷 프로토콜 - IPTV
IPTV는 인터넷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실시간 방송, VOD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텔레비전 서비스이며, 고속통신망과의 통합, 양방향 서비스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망 사업자 제한 등의 제한 사항도 존재한다. - 인터넷 프로토콜 - DNSSEC
DNSSEC는 DNS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메인 정보에 디지털 서명을 추가하여 응답 레코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DNS 위장 공격을 막는 기술로, RRSIG, DNSKEY 등 다양한 리소스 레코드 유형을 사용하여 인증 체인을 구성하며 공개 키 암호 방식을 활용한다.
IP 주소 | |
---|---|
일반 정보 | |
![]() | |
종류 | 논리 주소 |
크기 | IPv4: 32비트 IPv6: 128비트 |
표기법 | IPv4: 점으로 구분된 십진수 표기법 IPv6: 콜론으로 구분된 16진수 표기법 |
예시 | IPv4: 192.0.2.1 IPv6: 2001:db8::1 |
관련 RFC | RFC 760 RFC 791 RFC 1883 RFC 2460 RFC 8200 |
IPv4 주소 | |
구성 요소 |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주소 |
주소 클래스 | A 클래스 B 클래스 C 클래스 D 클래스 E 클래스 |
사설 IP 주소 범위 |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
IPv6 주소 | |
특징 | 128비트 주소 공간 자동 주소 설정 향상된 보안 기능 |
기타 | |
역할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식별 및 위치 지정 |
관리 기관 |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
2. IP 버전
현재 인터넷에서는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4(IPv4)와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IPv6) 두 가지 버전의 인터넷 프로토콜(IP)이 사용되고 있다. IPv4는 1983년 ARPANET에서 처음 배포된 인터넷 프로토콜의 원래 버전이다. 1990년대 초, IPv4 주소 공간이 빠르게 고갈되면서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는 새로운 기술을 모색하게 되었고, 1995년에 IPv6가 개발되었다. IPv6 기술은 2000년대 중반 상업적으로 배포되기 시작했다.
오늘날 IPv4와 IPv6, 이 두 가지 버전이 동시에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IP 주소''라고 하면 IPv4 주소를 의미한다. IPv4와 IPv6 사이의 버전 시퀀스 간의 간격은 1979년 실험적인 인터넷 스트림 프로토콜에 버전 5가 할당되었지만, IPv5로 언급된 적은 없다.
v1부터 v9까지의 다른 버전이 정의되었지만, v4와 v6만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v1과 v2는 1974년과 1977년에 TCP 프로토콜의 이름이었고(당시 별도의 IP 사양이 없었음), v3은 1978년에 정의되었으며, v3.1은 TCP가 IP에서 분리된 첫 번째 버전이다. v6는 여러 제안된 버전(v6 ''단순 인터넷 프로토콜'', v7 ''TP/IX: 다음 인터넷'', v8 ''PIP — P 인터넷 프로토콜'', v9 ''TUBA — 빅 어드레스를 가진 TCP & UDP'')을 종합한 것이다.[1]
IP 주소는 IP 네트워크 상의 정보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식별 번호이며, 데이터 링크 계층의 MAC 주소를 물리 주소라고 하는 것에 대응하여 '''논리 주소'''라고도 불린다.
2. 1. IPv4 주소
IPv4 주소는 오늘날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P 주소이다. 32비트 크기로, (232)개의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일부는 사설 네트워크(약 1,800만 개 주소), 멀티캐스트 주소 지정(약 2억 7천만 개 주소) 등 특수한 목적으로 예약되어 있다.[2] 예를 들어 127.0.0.1은 로컬 호스트(자기 자신)를 가리킨다. (127로 시작하는 모든 IPv4 주소가 마찬가지다)right에서 이진 값으로 IPv4 주소 분해]]
thumb으로 변환하여 8자리 숫자(8비트)로 1바이트가 된다. 그 8비트가 4개로 구분되어 총 32비트(= 4바이트)가 된다.]]
IP 주소는 IP 네트워크 상의 정보 기기를 식별하기 위해 지정하는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식별 번호이다. 데이터 링크 계층의 MAC 주소를 물리 주소라고 하는 것에 대응하여 '''논리 주소'''라고도 불린다. IP 주소는 IPv4에서는 32비트, IPv6에서는 128비트의 수치이다. 이 수치 중 최상위 비트(MSB)에 가까운 쪽을 네트워크부, 최하위 비트(LSB)에 가까운 쪽을 호스트부로 구분한다. 네트워크부는 네트워크를 지정하고, 호스트부는 그 네트워크 내의 기기를 지정한다. 네트워크부와 호스트부의 구분에는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IPv4 주소는 일반적으로 0~255 사이의 십진수 넷을 쓰고 .으로 구분하여 나타낸다(예: 192.168.0.1).
2. 1. 1. IPv4 주소 표기
IPv4 주소는 일반적으로 점-십진 표기법으로 표시되며, 0부터 255까지의 십진수 네 개를 점으로 구분하여 나타낸다(예: 192.0.2.1).[2] 각 부분은 주소의 8비트, 즉 옥텟을 나타낸다. 기술 문서에서는 IPv4 주소를 16진법, 8진법, 이진수 등 다양한 형태로 표현하기도 한다.[2]IPv4의 IP 주소 표기법에는 다음과 같은 규칙이 있으며, IPv6에 대해서는 IPv6 주소 문서에서 다룬다.
- 일반적으로 '''점 구분 십진 표기법'''[24] 또는 '''점 주소'''[25]라고 불리는 0~255 사이의 숫자 4개 (8비트 × 4 = 32비트)를 점으로 연결하여 표기한다.
- (예) 192.168.0.1
IP 주소를 해석하는 구현(
gethostbyname()
또는 inet_aton()
등)의 일부에서는 다음과 같은 표기도 허용한다.- 숫자가 3개인 경우, 마지막 숫자는 16비트로 해석된다.
- (예) 192.168.1 (= 192.168.0.1)
- 숫자가 2개인 경우, 마지막 숫자는 24비트로 해석된다.
- (예) 192.11010049 (= 192.168.0.1, '''168''' × 2562 + '''0''' × 256 + '''1''' = 11010049)
- 점이 없는 경우, 단일 32비트 숫자로 해석된다. 롱 IP 주소라고도 불린다.
- (예) 3232235521 (= 192.168.0.1, '''192''' × 2563 + '''168''' × 2562 + '''0''' × 256 + '''1''' = 3232235521)
- 각 숫자는 0x를 앞에 붙이면 16진수, 0을 앞에 붙이면 8진수로 해석된다.
- (예)
0xC0A80001
(= 192.168.0.1) - (예)
0xC0.0250.1
(= 192.168.0.1, (C0→192, 250→168))
이러한 표기는 URL의 일부분으로 정의되어 있지만,[26][27] 운영 체제나 웹 브라우저 등의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장비에 따라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피싱 사이트 등에서 악용될 소지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 1. 2. IPv4 주소 클래스 (현재는 사용되지 않음)
인터넷 프로토콜 개발 초기에는 네트워크 번호가 항상 최상위 옥텟(가장 중요한 8비트)이었기 때문에 256개의 네트워크만 허용되어 부족했다. 1981년에 클래스풀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도입되면서 더 많은 네트워크 할당과 세분화된 서브넷 설계가 가능해졌다.IP 주소의 최상위 옥텟 처음 세 비트는 주소의 ''클래스''로 정의되었다. 주요 클래스(''A'', ''B'', ''C'')는 유니캐스트 주소 지정을 위해 사용되었다. 클래스에 따라 네트워크 식별은 전체 주소의 옥텟 경계 세그먼트를 기반으로 했다. 각 클래스는 네트워크 식별자에 순차적으로 옥텟을 더 많이 사용했으므로 상위 클래스(''B'', ''C'')는 가능한 호스트 수가 감소했다.
클래스 | 선두 비트 | 네트워크 번호 비트 필드 크기 | 나머지 비트 필드 크기 | 네트워크 수 | 네트워크당 주소 수 | 시작 주소 | 종료 주소 |
---|---|---|---|---|---|---|---|
A | 0 | 8 | 24 | 128 (27) | 16,777,216 (224) | 0.0.0.0 | 127.255.255.255 |
B | 10 | 16 | 16 | 16,384 (214) | 65,536 (216) | 128.0.0.0 | 191.255.255.255 |
C | 110 | 24 | 8 | 2,097,152 (221) | 256 (28) | 192.0.0.0 | 223.255.255.255 |
IP 주소는 다음 5개의 클래스로 나뉘었다.
클래스 | 주소 범위 | 용도 (선두 비트 값) |
---|---|---|
클래스 A | 0.0.0.0 - 127.255.255.255 | 네트워크 주소 길이는 8비트, 호스트 주소 길이는 24비트. (0-으로 시작) |
클래스 B | 128.0.0.0 - 191.255.255.255 | 네트워크 주소 길이는 16비트, 호스트 주소 길이도 16비트. (10-으로 시작) |
클래스 C | 192.0.0.0 - 223.255.255.255 | 네트워크 주소 길이는 24비트, 호스트 주소 길이는 8비트. (110-으로 시작) |
클래스 D | 224.0.0.0 - 239.255.255.255 | IP 멀티캐스트 전용. (1110-으로 시작) |
클래스 E | 240.0.0.0 - 255.255.255.255 | 미래 사용을 위해 예약되어 있음. (1111-으로 시작) |
클래스 A는 네트워크 부분이 8비트, 호스트 부분이 24비트로, 많은 기기를 가진 대규모 조직에 적합했다. 클래스 C는 네트워크 부분이 24비트, 호스트 부분이 8비트로, 그 반대였다. 이는 인구가 많은 지역에 짧은 시외 전화 지역 번호를 할당하고, 인구가 적은 지역에 긴 번호를 할당하는 것과 비슷하다. 클래스 A는 약 1,677만 대, 클래스 B는 65,534대, 클래스 C는 254대의 호스트를 연결할 수 있었다.
하지만 클래스 기반 IP 주소 할당은 대부분의 네트워크에서 클래스 B에 대한 할당 요청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클래스 B를 할당받은 네트워크 중에는 65,534대의 호스트를 모두 연결하는 경우가 드물어 IP 주소가 낭비되었다.
클래스풀 네트워크 설계는 인터넷 초창기에는 목적을 달성했지만, 1990년대 네트워크의 급속한 확장으로 확장성이 부족해졌다. 그래서 현재는 주소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의 경계를 세분화하는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와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CIDR)을 사용한다. IP 주소 할당 범위를 나타낼 때, IP 주소 끝에 "/" (슬래시)와 함께 네트워크 주소 길이를 표기하기도 한다.
2. 1. 3. IPv4 특수 주소
IPv4 주소는 32비트 크기로, (232)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다. 이 중 일부는 특수한 목적으로 예약되어 있다. 예를 들어, 127.0.0.1은 로컬 호스트(자기 자신)를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127로 시작하는 모든 IPv4 주소가 마찬가지다)[2] 이 외에도 사설 네트워크(약 1,800만 개 주소) 및 멀티캐스트 주소 지정(약 2억 7천만 개 주소) 등을 위해 예약된 주소들이 있다.2. 2. IPv6 주소
IPv6는 128비트 주소 체계를 사용하며, IPv4 주소 고갈 문제의 해결책으로 도입되었다. IPv6 주소는 두 자리 16진수 여덟 개를 쓰고 각각을 : 기호로 구분하는 방식으로 표현한다. 예를 들면 `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4`와 같은 형태이다.IPv6는 최대 2128(약 3.403 × 1038)개의 주소를 제공할 수 있어, 가까운 미래에 주소 부족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새로운 설계는 충분한 주소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서브 네트워크 라우팅 접두사를 효율적으로 집계하여 인터넷 라우팅을 재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를 통해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 증가 속도를 늦추었다.
IPv6의 주소 공간이 넓기 때문에 특정 목적을 위해 큰 블록을 할당하고, 효율적인 라우팅을 위해 집계할 수 있다. 따라서 CIDR과 같은 복잡한 주소 보존 방법이 필요하지 않다.
최신 데스크톱 및 엔터프라이즈 서버 운영 체제는 IPv6를 기본적으로 지원하지만, 일부 가정용 네트워킹 장비나 VoIP, 멀티미디어 장비에는 아직 널리 보급되지 않았다.
IP 주소는 IP 네트워크 상의 정보 기기를 식별하기 위해 지정하는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식별 번호이며, 데이터 링크 계층의 MAC 주소를 물리 주소라고 하는 것에 대응하여 '''논리 주소'''라고도 불린다.[1]
2. 2. 1. IPv6 특수 주소
IPv6에도 특수 용도로 예약된 주소가 있다. 예를 들어, `::1`은 루프백 주소, `fe80::/10`은 링크 로컬 주소를 나타낸다.`fe80::`로 시작하는 주소는 링크 로컬 주소라고 하며, 연결된 링크에서 통신하기 위해 인터페이스에 할당된다. 이러한 주소는 운영 체제에서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해 자동으로 생성된다. 이를 통해 링크의 모든 IPv6 호스트 간에 즉각적이고 자동적인 통신이 가능하다. 이 기능은 인접 탐색 프로토콜과 같은 IPv6 네트워크 관리의 하위 계층에서 사용된다.[1]
사설 및 링크 로컬 주소 접두사는 공용 인터넷에서 라우팅될 수 없다.[1]
3. IP 주소 할당
IP 주소는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적으로 할당받을 수 있다. IP 주소는 고정 IP 주소와 동적 IP 주소로 구분된다.
글로벌 IP 주소는 인터넷 레지스트리(예: APNIC, JPNIC)에서 ISP에게 묶음 단위로 할당(allocation)된다. ISP는 최종 사용자에게 이용 계약에 따라 IP 주소를 다시 할당(assignment)한다. 과거에는 대학교나 IT 기업이 레지스트리로부터 직접 할당받는 경우도 있었지만, 오늘날에는 상업용 ISP가 발달하여 이러한 경우는 드물다. 인터넷 레지스트리는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 → RIR(Regional Internet Registry) → NIR(National Internet Registry) → LIR(Local Internet Registry)와 같은 계층 구조를 가진다.
개인이 계약하는 경우, ISP는 대부분 글로벌 IP 주소 1개를 동적으로 할당한다. ISP나 계약 요금제에 따라 사설 IP 주소나 ISP 공유 주소를 할당하거나, 글로벌 IP 주소 1개 또는 복수의 글로벌 IP 주소를 고정으로 할당하기도 한다. IP 주소 할당은 다이얼 업 접속에서는 PPP(Point-to-Point Protocol), ADSL·FTTH 등에서는 PPPoE, CATV나 공중 무선 LAN (핫스팟)에서는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통해 이루어진다.
3. 1. 고정 IP 주소
IP 주소는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동적으로 할당되거나, 호스트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구성에 의해 영구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영구적인 구성을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는 것이라고도 한다. 주로 서버, 라우터, 메일 서버 등 네트워크 인프라에 사용되는 컴퓨터나 장비와 같이 항상 동일한 주소를 유지해야 하는 장치에 고정 IP 주소를 사용한다.[3]법인 계약의 경우 DNS나 메일 등의 각종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 VPN(가상 사설망) 등을 통한 거래처 등과의 데이터 교환에 있어서 IP 주소에 의한 인증이나 접근 제한이 있다는 점 등의 이유로, 복수(4개에서 16개 정도)의 글로벌 IP 주소를 고정으로 할당하는 계약이 일반적이다.
3. 2. 동적 IP 주소
동적 IP 주소는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HCP)을 사용하여 네트워크에 할당된다.[32] DHCP는 IP 주소를 할당하는 데 가장 자주 사용되는 기술이다. 네트워크의 각 장치에 특정 고정 주소를 할당해야 하는 관리 부담을 줄여주고, 특정 시간에 일부 장치만 온라인 상태인 경우 제한된 네트워크 주소 공간을 장치들이 공유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으로 최신 데스크톱 운영 체제에서는 동적 IP 구성이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다.DHCP로 할당된 주소는 "임대"와 연관되어 있으며 만료 기간이 있다. 호스트가 만료 전에 임대를 갱신하지 않으면 해당 주소는 다른 장치에 할당될 수 있다. 일부 DHCP 구현은 호스트의 MAC 주소를 기반으로 동일한 IP 주소를 다시 할당하려고 시도한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MAC 주소를 기반으로 특정 IP 주소를 할당하도록 DHCP를 구성할 수도 있다.
DHCP 외에도 부트스트랩 프로토콜(DHCP의 전신), 점대점 프로토콜(다이얼업 및 일부 광대역 네트워크에서 사용) 등의 기술이 동적 IP 주소 할당에 사용된다.
3. 2. 1. 스티키 동적 IP 주소
''스티키(Sticky)''는 자주 변경되지 않는 동적으로 할당된 IP 주소를 묘사하는 비공식적인 용어이다.[4] 예를 들어, IPv4 주소는 일반적으로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HCP)을 사용하여 할당되며, DHCP 서비스는 클라이언트가 할당을 요청할 때마다 동일한 주소를 할당할 가능성을 최대화하는 규칙을 사용할 수 있다. IPv6에서는 접두어 위임이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변경이 최소한으로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일반적인 가정 또는 소규모 사무실 설정에서 하나의 라우터만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게 표시되며, ISP는 최대한 안정적인 구성을 제공하기 위해 ''스티키(Sticky)'' 구성을 시도할 수 있다. 가정이나 사업장의 로컬 네트워크에서는 로컬 DHCP 서버가 IPv4 구성을 스티키하게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ISP는 클라이언트가 스티키 IPv6 주소를 사용하도록 할당할 수 있다.
''스티키(Sticky)''는 ''정적(Static)''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스티키 구성은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지만, 정적 구성은 영구적으로 사용되며 의도적으로만 변경된다.
3. 3. 주소 자동 구성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DHCP) 서버를 찾을 수 없는 경우, 운영 체제는 호스트에게 상태 없이 주소를 자동 할당하는 링크 로컬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33]IPv4 네트워크의 경우 주소 블록이 링크 로컬 주소로 정의되어 있다.[33] 이 주소 자동 구성 메커니즘에 대한 표준이 없던 시절, 마이크로소프트는 자동 개인 IP 주소 지정(APIPA) 프로토콜을 개발했다. APIPA의 최초 공개 구현은 Windows 98에 처음 등장했으며,[34] 널리 배포되어 사실상의 표준이 되었다. 2005년 5월, IETF는 APIPA를 정식 표준으로 정의했다.[35][36]
IPv6에서는 정적 또는 동적 주소를 사용하더라도 각 인터페이스는 블록에서 자동으로 링크 로컬 주소를 받는다.[33]
이러한 링크 로컬 주소는 호스트가 연결된 링크(예: 로컬 네트워크 세그먼트 또는 점대점 연결)에서만 유효하며, 라우팅할 수 없다. 또한, 개인 주소와 마찬가지로 인터넷을 통해 패킷의 출발지 또는 목적지가 될 수 없다.
4. IP 주소의 종류
IP 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식별하고, 네트워크 내에서 호스트의 위치를 제공하여 해당 호스트로 가는 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IP 주소는 IP 네트워크 상의 정보 기기를 식별하기 위해 지정하는 네트워크 계층에서의 식별 번호이며, 데이터 링크 계층의 MAC 주소를 물리 주소라고 하는 것에 대응하여 '''논리 주소'''라고도 불린다.
IP 주소는 크게 공인 IP 주소, 사설 IP 주소, 링크 로컬 주소, ISP 공유 주소로 나눌 수 있다.
- 공인 IP 주소: ICANN을 정점으로 하는 계층적인 위임 관계에 의해 세계적으로 관리되는 주소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에 연결할 때 ISP에 할당된 공인 IP 주소 중 하나가 할당된다.
- 사설 IP 주소: 사설 네트워크(외부에서 사용할 수 없는 사내 LAN 등)에서 사용되는 주소이다. 인터넷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으므로, IP 주소 레지스트리와의 조율이 필요하지 않다.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기술을 통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다.
- 링크 로컬 주소: 연결된 링크에서 통신하기 위해 인터페이스에 할당되는 주소이다. 윈도우 등에서는 IP 주소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DHCP 서버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169.254로 시작하는 클래스 B IP 주소가 할당된다. (APIPA)
- ISP 공유 주소: IP 주소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주소 체계이다. ISP는 가입자에게 ISP 공유 주소를 할당하고, 캐리어급 NAT(CGN)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제공한다.[18]
IP에는 IPv4와 IPv6 버전이 있으며, 각각 IPv4 주소와 IPv6 주소를 사용한다. IPv4 주소는 32비트, IPv6 주소는 128비트의 수치이다. 이 수치 중, MSB에 가까운 쪽을 네트워크부, LSB에 가까운 쪽을 호스트부로 구분하며,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부와 호스트부를 구분할 수 있다.
4. 1. 공인 IP 주소
공인 IP 주소는 전 세계적으로 라우팅 가능한 유니캐스트 IP 주소로, 사설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도록 예약된 주소(IETF RFC|1918영어)가 아니다. 공인 IP 주소는 전 세계 인터넷의 호스트 간 통신에 사용될 수 있다.가정 환경에서 공인 IP 주소는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가 가정의 네트워크에 할당한 IP 주소이다. 이 경우 라우터 구성에 로그인하여 로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17]
대부분의 공인 IP 주소는 변경되며 비교적 자주 변경된다. 변경되는 모든 유형의 IP 주소를 동적 IP 주소라고 한다. ISP는 일반적으로 동적 IP를 할당한다. ISP가 가정 네트워크에 변경되지 않는 주소를 제공하는 경우, 가정에서 웹사이트를 호스팅하는 고객이나 해커에 의해 악용될 가능성이 더 높다.[17]
사설 IP 주소, 링크 로컬 주소, 특수 용도의 IP 주소 등을 제외한 IP 주소를 "글로벌 IP 주소"라고 부르며, 인터넷 연결에 사용되고 중복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된다. 이를 위해 ICANN을 정점으로 하는 계층적인 위임 관계에 의해 세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라우터 등을 인터넷에 연결하면 ISP에 할당된 글로벌 IP 주소 중 하나가 컴퓨터 등에 할당된다.
4. 2. 사설 IP 주소
사설 IP 주소(로컬 IP 주소)는 사설 네트워크(외부에서 사용할 수 없는 사내 LAN 등)에서 사용되는 주소이다. 서로 다른 사설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하여 라우팅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설 IP 주소는 인터넷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으므로, IP 주소 레지스트리와의 조율이 필요하지 않다.사설 IP 주소로 사용하기 위해 예약된 주소 공간은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규모에 따라 적절한 범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클래스 | 범위 | 서브넷 마스크 | 주소 수 |
---|---|---|---|
클래스 A | 10.0.0.0 - 10.255.255.255 | 255.0.0.0 | 16,777,216 (16,777,216 × 1 서브넷) |
클래스 B × 16 | 172.16.0.0 - 172.31.255.255 | 255.240.0.0 | 1,048,576 (65,536 × 16 서브넷) |
클래스 C × 256 | 192.168.0.0 - 192.168.255.255 | 255.255.0.0 | 65,536 (256 × 256 서브넷) |
일반적으로 홈 게이트웨이는 192.168.0.0부터 192.168.0.255까지의 기본 주소 범위를 자동으로 사용한다.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는 장치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기술이 필요하다. NAT 장치는 사설 네트워크의 IP 주소를 공용 네트워크의 포트 번호에 매핑한다. 주거 네트워크에서는 일반적으로 주거용 게이트웨이에 NAT 기능이 구현되어, 내부 컴퓨터들은 하나의 공용 IP 주소를 공유하는 것처럼 보인다.[18]
사설 IP 주소와 관련된 시스템 덕분에, 공인 IP 주소를 대량으로 소비하지 않고도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를 늘릴 수 있다. 일부 인터넷 접속 서비스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기기에 공인 IP 주소 대신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기도 한다.
4. 3. 링크 로컬 주소
IPv6영어에서 로 시작하는 주소는 링크 로컬 주소라고 하며, 연결된 링크에서 통신하기 위해 인터페이스에 할당된다. 이러한 주소는 운영 체제에서 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대해 자동으로 생성되어, 링크의 모든 IPv6영어 호스트 간에 즉각적이고 자동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인접 탐색 프로토콜과 같은 IPv6영어 네트워크 관리의 하위 계층에서 사용된다.윈도우 등에서는 IP 주소가 설정되어 있지 않고, DHCP 서버도 발견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169.254로 시작하는 클래스 B IP 주소가 할당된다. (APIPA라는 기능) 이는 링크 로컬 주소라고 불리며, 단일 LAN 내에서의 통신에 사용할 수 있지만, 라우팅이 불가능하다.[1]
사설 및 링크 로컬 주소 접두사는 공용 인터넷에서 라우팅될 수 없다.
4. 4. ISP 공유 주소
ISP 공유 주소는 IPv4영어 주소 고갈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된 주소 체계이다. ISP는 가입자에게 ISP 공유 주소를 할당하고, 캐리어급 NAT(CGN)를 통해 인터넷 접속을 제공한다.[18] ISP 공유 주소는 2012년 4월에 로 발행되었으며, 범위는 100.64.0.0/10이다.ISP 공유 주소는 개별 ISP의 네트워크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이며, CGN을 통해 ISP 공유 주소와 글로벌 IP 주소를 상호 변환하여 인터넷에 연결한다.
IP 주소 고갈 문제로 인해 계약자가 증가해도 ISP가 계약자에게 대여할 글로벌 IP 주소를 새로 확보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ISP가 계약자에게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면 해당 IP 주소를 계약자의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NTT가 제공하는 フレッツ의 지역 IP망에서 사설 IP 주소(10.0.0.0/8)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フレッツ 이용자는 사설 IP 주소(10.0.0.0/8)를 로컬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할 수 없다.
이에 ISP 공유 주소를 도입하여 ISP는 ISP 공유 주소를 사용하고, ISP의 계약자는 임의의 사설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10이라는 주소 범위는 도쿄 지역을 망라하는 ISP가 ISP 공유 주소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10 정도의 주소 범위가 필요하다는 일본 측의 제안을 기반으로 한다.
5. 네트워크 구성
IP 네트워크는 IPv4와 IPv6 모두에서 서브네트워크로 분할될 수 있다. 이를 위해 IP 주소는 상위 비트의 ''네트워크 프리픽스''와 네트워크 내의 호스트 번호 매기기에 사용되는 나머지 비트인 ''나머지 필드'', ''호스트 식별자'' 또는 ''인터페이스 식별자''(IPv6)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서브넷 마스크 또는 CIDR 표기법은 IP 주소가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으로 어떻게 나뉘는지 결정한다.
"서브넷 마스크"라는 용어는 IPv4 내에서만 사용된다. 그러나 두 IP 버전 모두 CIDR 개념과 표기법을 사용한다. CIDR 표기법에서 IP 주소 뒤에는 슬래시와 네트워크 부분에 사용되는 비트의 수(10진수)가 온다. 이는 ''라우팅 프리픽스''라고도 불린다. 예를 들어 IPv4 주소와 해당 서브넷 마스크는 각각 192.0.2.1 및 255.255.255.0일 수 있다. 동일한 IP 주소와 서브넷에 대한 CIDR 표기법은 192.0.2.1/24인데, IP 주소의 처음 24비트가 네트워크와 서브넷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5. 1. 서브넷팅
IP 네트워크는 IPv4와 IPv6 모두에서 서브네트워크로 분할될 수 있다. IP 주소는 상위 비트의 ''네트워크 프리픽스''와 네트워크 내의 호스트 번호 매기기에 사용되는 나머지 비트인 ''나머지 필드'', ''호스트 식별자'' 또는 ''인터페이스 식별자''(IPv6)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서브넷 마스크 또는 CIDR 표기법은 IP 주소가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으로 어떻게 나뉘는지 결정한다."서브넷 마스크"라는 용어는 IPv4 내에서만 사용된다. 그러나 두 IP 버전 모두 CIDR 개념과 표기법을 사용한다. 이 표기법에서 IP 주소 뒤에는 슬래시와 네트워크 부분에 사용되는 비트의 수(10진수)가 온다. 이는 ''라우팅 프리픽스''라고도 불린다. 예를 들어, IPv4 주소와 해당 서브넷 마스크는 각각 192.0.2.1 및 255.255.255.0일 수 있다. 동일한 IP 주소와 서브넷에 대한 CIDR 표기법은 192.0.2.1/24인데, IP 주소의 처음 24비트가 네트워크와 서브넷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IP 주소는 다음 5개의 주소 클래스로 나뉜다.
클래스 | 주소 범위 | 용도 (선두 비트 값) |
---|---|---|
클래스 A | 0.0.0.0 - 127.255.255.255 | 네트워크 주소 길이는 8비트, 호스트 주소 길이는 24비트. (0-으로 시작) |
클래스 B | 128.0.0.0 - 191.255.255.255 | 네트워크 주소 길이는 16비트, 호스트 주소 길이도 16비트. (10-으로 시작) |
클래스 C | 192.0.0.0 - 223.255.255.255 | 네트워크 주소 길이는 24비트, 호스트 주소 길이는 8비트. (110-으로 시작) |
클래스 D | 224.0.0.0 - 239.255.255.255 | IP 멀티캐스트 전용. (1110-으로 시작) |
클래스 E | 240.0.0.0 - 255.255.255.255 | 미래 사용을 위해 예약되어 있음. (1111-으로 시작) |
클래스 A에서 클래스 C까지는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의 경계가 8비트 단위로 구분된다. 클래스 A는 네트워크 부분이 짧고(8비트), 호스트 부분이 길다(24비트). 즉, 많은 기기를 보유한 대규모 조직이나 많은 고객을 가진 대규모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에 할당하기에 적합하다. 클래스 C는 그 반대이다. 이는 일본의 전화번호에서 도쿄와 같이 인구가 많은 지역에는 03과 같은 짧은 시외 전화 지역 번호가 할당되고, 인구가 적은 지역에는 긴 시외 전화 지역 번호가 할당되는 것과 같다. 클래스 A는 약 대, 클래스 B는 65,534대, 클래스 C는 254대의 호스트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주소 클래스를 사용한 IP 주소 할당에는 문제가 발생했다. 대부분의 네트워크 (예: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서는 클래스 A는 너무 크고, 클래스 C는 너무 작았기 때문에 할당 요청이 클래스 B에 집중되었다. 클래스 B의 할당을 받은 네트워크 중에는 65,534대의 호스트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라면 연결 사용자 수)를 동시에 모두 연결하는 경우가 드문 네트워크도 존재하여 IP 주소가 낭비되었다. 그래서 현재는 주소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의 경계를 8비트 단위로 고정하지 않고 세분화하는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와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의 사용이 일반화되었다.
IP 주소의 할당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IP 주소의 끝에 "/"와 함께 네트워크 주소 길이를 표기하는 경우도 많다. IPv4의 경우, MSB 측에서부터의 비트 수로 네트워크 주소 길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92.168.0.0/24 표기의 경우, 네트워크 부분은 MSB에서 24비트이고 나머지 8비트가 호스트 부분이 된다. 주소 클래스가 아닌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한 경우, 네트워크 주소 길이의 숫자는 반드시 8의 배수가 되지 않는다.
5. 2. CIDR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
IP 네트워크는 IPv4와 IPv6 모두에서 서브네트워크로 분할될 수 있다. IP 주소는 상위 비트의 ''네트워크 프리픽스''와 네트워크 내의 호스트 번호 매기기에 사용되는 ''나머지 필드''(호스트 식별자 또는 인터페이스 식별자)로 구성된다. 서브넷 마스크 또는 CIDR 표기법은 IP 주소가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으로 어떻게 나뉘는지 결정한다."서브넷 마스크"라는 용어는 IPv4 내에서만 사용되지만, 두 IP 버전 모두 CIDR 개념과 표기법을 사용한다. CIDR 표기법에서 IP 주소 뒤에는 슬래시(/)와 네트워크 부분에 사용되는 비트의 수(10진수)가 오며, 이를 ''라우팅 프리픽스''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IPv4 주소와 해당 서브넷 마스크는 각각 192.0.2.1 및 255.255.255.0 일 수 있다. 동일한 IP 주소와 서브넷에 대한 CIDR 표기법은 192.0.2.1/24인데, IP 주소의 처음 24비트가 네트워크와 서브넷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IP 주소를 클래스 A, B, C, D, E의 5개 클래스로 나누어 할당했다. 클래스 A는 네트워크 주소 길이가 8비트, 호스트 주소 길이가 24비트인 반면, 클래스 C는 네트워크 주소 길이가 24비트, 호스트 주소 길이가 8비트였다. 이러한 방식은 일본의 전화번호에서 인구가 많은 도쿄와 같은 지역에는 짧은 시외 전화 지역 번호를 할당하고, 인구가 적은 지역에는 긴 시외 전화 지역 번호를 할당하는 것과 유사하다.
하지만 클래스 기반 IP 주소 할당은 클래스 B 주소에 대한 수요가 집중되고, 할당받은 네트워크에서 모든 호스트를 사용하지 않아 IP 주소가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는 주소 클래스를 사용하지 않고,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의 경계를 세분화하는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와 클래스 없는 도메인 간 라우팅(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CIDR) 의 사용이 일반화되었다. CIDR은 "사이더"라고 읽는다.
IP 주소의 할당 범위를 나타내기 위해 IP 주소 끝에 "/" (슬래시)와 함께 네트워크 주소 길이를 표기한다. IPv4의 경우, 최상위 비트(MSB) 측에서부터의 비트 수로 네트워크 주소 길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192.168.0.0/24는 네트워크 부분이 MSB에서 24비트이고 나머지 8비트가 호스트 부분임을 의미한다. 가변 길이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면 네트워크 주소 길이의 숫자는 반드시 8의 배수가 되지 않아도 된다.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영어을 사용하면 여러 IP 주소 범위를 지정하여 하나의 주소 블록으로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92.168.1.0 - 192.168.1.255 범위의 IP 주소는 192.168.1.0/24로 나타낼 수 있다. CIDR을 사용하면 주소 블록을 쉽게 집약하거나 분할할 수 있으므로 IP 패킷의 라우팅에 주로 활용된다. 예를 들어, 203.0.113.0/26, 203.0.113.64/26, 203.0.113.128/26, 203.0.113.192/26의 4개의 주소 블록은 203.0.113.0/24[28]로 집약할 수 있다.
69.208.0.0을 포함하는 IP 주소 그룹의 CIDR과 시작 주소 및 종료 주소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CIDR | 시작 주소 | 종료 주소 | 포함된 주소 수 | 이진법 표기된 접두사 부분의 주소 |
---|---|---|---|---|
69.208.0.0/0 | 0.0.0.0 | 255.255.255.255 | 4,294,967,296 | ... |
69.208.0.0/1 | 0.0.0.0 | 127.255.255.255 | 2,147,483,648 | 0*... |
69.208.0.0/4 | 64.0.0.0 | 79.255.255.255 | 268,435,456 | 0100... |
69.208.0.0/8 | 69.0.0.0 | 69.255.255.255 | 16,777,216 | 01000101... |
69.208.0.0/11 | 69.192.0.0 | 69.223.255.255 | 2,097,152 | 01000101.110*.. |
69.208.0.0/12 | 69.208.0.0 | 69.223.255.255 | 1,048,576 | 01000101.1101.. |
69.208.0.0/13 | 69.208.0.0 | 69.215.255.255 | 524,288 | 01000101.11010*.. |
69.208.0.0/14 | 69.208.0.0 | 69.211.255.255 | 262,144 | 01000101.110100.. |
69.208.0.0/15 | 69.208.0.0 | 69.209.255.255 | 131,072 | 01000101.1101000*.. |
69.208.0.0/16 | 69.208.0.0 | 69.208.255.255 | 65,536 | 01000101.11010000.. |
69.208.0.0/17 | 69.208.0.0 | 69.208.127.255 | 32,768 | 01000101.11010000.0*. |
69.208.0.0/18 | 69.208.0.0 | 69.208.63.255 | 16,384 | 01000101.11010000.00. |
69.208.0.0/19 | 69.208.0.0 | 69.208.31.255 | 8,192 | 01000101.11010000.000*. |
69.208.0.0/20 | 69.208.0.0 | 69.208.15.255 | 4,096 | 01000101.11010000.0000. |
69.208.0.0/21 | 69.208.0.0 | 69.208.7.255 | 2,048 | 01000101.11010000.00000*. |
69.208.0.0/22 | 69.208.0.0 | 69.208.3.255 | 1,024 | 01000101.11010000.000000. |
69.208.0.0/23 | 69.208.0.0 | 69.208.1.255 | 512 | 01000101.11010000.0000000*. |
69.208.0.0/24 | 69.208.0.0 | 69.208.0.255 | 256 | 01000101.11010000.00000000. |
69.208.0.0/25 | 69.208.0.0 | 69.208.0.127 | 128 | 01000101.11010000.00000000.0* |
69.208.0.0/26 | 69.208.0.0 | 69.208.0.63 | 64 | 01000101.11010000.00000000.00 |
69.208.0.0/27 | 69.208.0.0 | 69.208.0.31 | 32 | 01000101.11010000.00000000.000* |
69.208.0.0/28 | 69.208.0.0 | 69.208.0.15 | 16 | 01000101.11010000.00000000.0000 |
69.208.0.0/29 | 69.208.0.0 | 69.208.0.7 | 8 | 01000101.11010000.00000000.00000* |
69.208.0.0/30 | 69.208.0.0 | 69.208.0.3 | 4 | 01000101.11010000.00000000.000000** |
69.208.0.0/31 | 69.208.0.0 | 69.208.0.1 | 2 | 01000101.11010000.00000000.0000000* |
69.208.0.0/32 | 69.208.0.0 | 69.208.0.0 | 1 | 01000101.11010000.00000000.00000000 |
6. IP 주소와 라우팅
IP 주소는 작동 특성에 따라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로 분류된다.
6. 1. 유니캐스트
유니캐스트는 IPv4와 IPv6 모두에서 사용 가능한, 단일 IP 주소의 가장 일반적인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단일 송신자 또는 단일 수신자를 지칭하며, 송신과 수신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유니캐스트 주소는 보통 단일 장치 또는 호스트와 연결되지만, 하나의 장치 또는 호스트가 두 개 이상의 유니캐스트 주소를 가질 수도 있다.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유니캐스트 주소로 전송하려면 송신자가 각 수신자마다 데이터를 여러 번 전송해야 한다.6. 2. 브로드캐스트
브로드캐스팅은 IPv4에서 하나의 전송으로 네트워크의 모든 가능한 대상에 데이터를 주소 지정하는 기술이며, "모든 호스트 브로드캐스트"로 작동한다. 모든 수신자는 네트워크 패킷을 캡처한다. 주소는 네트워크 브로드캐스트에 사용된다. 또한, 보다 제한적인 디렉션 브로드캐스트는 네트워크 접두사와 함께 모든 1로 구성된 호스트 주소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장치로 디렉션 브로드캐스트에 사용되는 대상 주소는 이다.[13]IPv6는 브로드캐스트 주소 지정을 구현하지 않으며, 특수하게 정의된 모든 노드 멀티캐스트 주소로 멀티캐스트를 대체한다.
6. 3. 멀티캐스트
멀티캐스트 주소는 특정 수신자 그룹과 연결되어 있다. IPv4에서 부터 까지의 주소(클래스 D 주소)가 멀티캐스트 주소로 지정된다. IPv6는 접두사 를 가진 주소 블록을 멀티캐스트에 사용한다. 송신자는 단일 데이터그램을 자신의 유니캐스트 주소에서 멀티캐스트 그룹 주소로 보내고, 중간 라우터는 사본을 만들어 해당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한 모든 수신자에게 전송한다.6. 4. 애니캐스트
애니캐스트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와 마찬가지로 일대다 라우팅 토폴로지이다. 그러나 데이터 스트림은 모든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라우터가 네트워크에서 가장 가깝다고 판단하는 수신자에게만 전송된다. 애니캐스트 주소 지정은 IPv6의 내장 기능이다.[1][2] IPv4에서 애니캐스트 주소 지정은 최단 경로 메트릭을 사용하여 대상을 선택하는 경계 게이트웨이 프로토콜로 구현된다. 애니캐스트 방식은 글로벌 부하 분산에 유용하며, 분산 DNS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7. IP 주소 관련 문제
IP 주소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문제로는 IP 주소 충돌과 IP 주소 고갈 문제가 있다.
7. 1. IP 주소 충돌
IP 주소 충돌은 동일한 로컬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두 대의 장치가 동일한 IP 주소를 사용하려고 할 때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주소가 두 번 할당되면 해당 장치 중 하나 또는 둘 다의 IP 기능이 중단된다. 많은 현대적인 운영 체제는 IP 주소 충돌이 발생하면 관리자에게 알려준다.[37][38][39][40][41][42] IP 주소는 여러 다른 방법으로 여러 사람 및 시스템에 의해 할당될 수 있으며, 그 중 어느 것이든 잘못되었을 수 있다.[8][9][10][11][12] 충돌에 관여한 기기 중 하나가 LAN의 모든 기기에 대한 기본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경우, 모든 기기의 인터넷 사용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7. 2. IP 주소 고갈 문제
2019년 3월 현재, 특수한 용도를 제외한 모든 IPv4의 글로벌 주소는 누군가에게 할당된 상태이다. 즉, IPv4의 글로벌 주소에 여유가 없어 인터넷에 공개할 IP 장비 증설이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마치 부동산에서 신규 분양할 토지가 없어, 기존 건물이 있는 토지를 재개발해야만 새 건물을 지을 수 있는 상황과 유사하다.2017년 2월 15일, LACNIC의 IPv4 주소 재고가 /11 블록 이하가 되어 AFRINIC을 제외한 4개의 RIR에서 IPv4 주소 재고 고갈의 최종 단계에 이르렀다.[31]
이러한 IPv4 주소 고갈 문제의 대책으로, IPv6의 보급이 추진되고 있다.
8. IP 주소와 관련된 법적 쟁점
캐나다 대법원은 2024년 3월 IP 주소가 ''캐나다 권리 및 자유 헌장''에 따라 보호되는 사적 정보이며, 경찰이 이를 획득하려면 영장이 필요하다고 판결했다.[19] IP 주소는 유럽 위원회에 의해 개인 데이터로 간주되며 ''일반 개인정보 보호 규정(GDPR)''의 보호를 받는다.[20]
9. 진단 도구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는 명령줄 인터페이스 도구인 ipconfig[21] 및 netsh를 제공하며, 유닉스 계열 시스템 사용자는 ifconfig, netstat, route, lanstat, fstat, iproute2 유틸리티를 사용하여 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22]
참조
[1]
웹사이트
Why does IP have versions? Why do I care?
https://www.socallin[...]
2020-01-24
[2]
웹사이트
IPv4 and IPv6 address formats
https://www.ibm.com/[...]
[3]
논문
An efficient solution to a retrial queue for the performability evaluation of DHCP
https://linkinghub.e[...]
2010-07-01
[4]
웹사이트
Reading: IP Address
https://www.coursesi[...]
2024-04-12
[5]
웹사이트
DHCP and 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https://learn.micros[...]
2023-09-03
[6]
웹사이트
Event ID 4198 — TCP/IP Network Interface Configuration
https://learn.micros[...]
2023-09-03
[7]
웹사이트
Event ID 4199 — TCP/IP Network Interface Configuration
https://learn.micros[...]
2023-09-03
[8]
웹사이트
IP Address Conflicts – What Is an IP Address Conflict?
http://compnetworkin[...]
About.com
2013-11-23
[9]
웹사이트
How to Fix an IP Address Conflict
https://www.online-t[...]
Online Tech Tips Online-tech-tips.com
2023-09-03
[10]
웹사이트
Get help with "There is an IP address conflict" message
https://web.archive.[...]
Microsoft
2013-11-23
[11]
웹사이트
Fix duplicate IP address conflicts on a DHCP network
http://support.micro[...]
Microsoft
2013-11-23
[12]
웹사이트
Understanding And Resolving IP Address Conflicts
http://www.webopedia[...]
Webopedia
2013-11-23
[13]
웹사이트
What is a broadcast address?
https://www.ionos.co[...]
2022-06-08
[14]
서적
HTML5 Geolocation
https://archive.org/[...]
O'Reilly Media
[15]
논문
Retrospective IP Address Geolocation for Geography-Aware Internet Services
2021-07-22
[16]
웹사이트
IP geolocation (The NetOp Organization)
https://web.archive.[...]
2024-06-30
[17]
웹사이트
What Is a Public IP Address? (and How to Find Yours)
https://www.lifewire[...]
[18]
서적
Internetworking with TCP/IP:Principles, Protocols, and Architectures – 4th ed.
http://www.cs.purdue[...]
Prentice Hall
[19]
뉴스
Police now need a warrant to get a person's IP address, Supreme Court rules
https://www.cbc.ca/n[...]
2024-03-09
[20]
웹사이트
What is personal data?
https://commission.e[...]
2024-03-09
[21]
웹사이트
ipconfig
https://docs.microso[...]
2020-08-25
[22]
서적
Linux Network Administrators Guide
https://www.oreilly.[...]
2024-03-12
[23]
문서
TR X 0055:2002 インターネット利用者のための用語
https://www.ny.ics.k[...]
[24]
용어
dotted decimal notation
[25]
용어
dot address
[26]
웹사이트
URL Standard 3.5. Host parsing
https://url.spec.wha[...]
2017-07-30
[27]
웹사이트
26431 – Define IPv4 parsing
https://www.w3.org/B[...]
W3C
2015-07-01
[28]
문서
[29]
웹사이트
IPv4アドレス在庫枯渇対応に関する広報戦略ワーキンググループ(第4回)配布資料 資料WG広4-2 ケーブルテレビ業界のIPv4アドレス枯渇対応とIPv6化
https://www.soumu.go[...]
총무성
2009-10-21
[30]
뉴스
인터넷 용어 1분 설명 - 할당(Allocation), 할당(Assignment)이란 무엇입니까?
https://www.nic.ad.j[...]
JPNIC News & Views
2002-01-15
[31]
웹사이트
LACNIC Announces the Start of the Final Phase of IPv4 Exhaustion
http://www.lacnic.ne[...]
LACNIC
2017-11-19
[32]
논문
DHCP를 위한 재시도 큐에 대한 퍼포먼스 평가를 위한 효율적인 해결책
https://linkinghub.e[...]
2010-07-01
[33]
IETF
Special-Purpose IP Address Registries
2013-04-01
[34]
웹사이트
DHCP and 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https://docs.microso[...]
2019-05-20
[35]
IETF
Dynamic Configuration of IPv4 Link-Local Addresses
Network Working Group
2005-05-01
[36]
웹인용
stresslab
https://stresslab.cc[...]
2018-05-02
[37]
웹인용
Event ID 4198 — TCP/IP Network Interface Configuration
https://docs.microso[...]
2021-10-20
[38]
웹인용
Event ID 4199 — TCP/IP Network Interface Configuration
https://docs.microso[...]
2021-10-20
[39]
웹인용
How to Fix an IP Address Conflict
http://www.online-te[...]
Online Tech Tips Online-tech-tips.com
2009-08-04
[40]
웹인용
Get help with "There is an IP address conflict" message
http://windows.micro[...]
마이크로소프트
2013-11-22
[41]
웹인용
Fix duplicate IP address conflicts on a DHCP network
http://support.micro[...]
마이크로소프트
2013-11-23
[42]
웹인용
Understanding And Resolving IP Address Conflicts - Webopedia.com
http://www.webopedia[...]
Webopedia.com
2010-09-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신세계 폭파 협박 글 올린 중학생 제주서 검거
Error 522 · Cloudflare Support docs
경찰, SKT 해킹 사건 5개국과 공조수사 중…IP 100여개 추적조사
수사 판도 흔드는 녹음파일…‘무혐의’ 김건희, ‘공범’으로 바뀌나
TLS/SSL 인증서 유효기간 47일 시대 온다…디지서트, 기업 인증서 관리 대응 지원 강화 – 바이라인네트워크
개보위 “이미 어마어마한 피해…SKT 가입자 정보 싱가포르로 넘어가”
'음식은 거짓말 않는다?'…수사 대상 배달앱 쫓는 검찰, 왜
교수 돈으로 '야금야금' 비트코인 구매…간 큰 교직원 실형
카스퍼스키, 무료 VPN으로 가장한 악성 앱 급증 경고 – 바이라인네트워크
[그게 뭔가요] 보안 지키는 방탄조끼 ‘VPN’ – 바이라인네트워크
“개인정보 보호, 합리적 조치가 관건...웹서버까지 지켜야” – 바이라인네트워크
“DNS는 네트워크의 관문”...인포블록스가 말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보안 – 바이라인네트워크
KISA, “인터넷정보센터 운영 박차...‘IP주소·한글 도메인’ 확산 총력” – 바이라인네트워크
인터넷주소 데이터 활용성 높인다...KISA‘WHOIS 오픈API’ 대거 개방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