널뛰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널뛰기는 널빤지 양쪽에서 두 사람이 번갈아 뛰어오르는 한국의 전통 민속놀이이다. 유래에 대한 정확한 자료는 없으나, 고려시대부터 전승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알래스카 원주민의 놀이와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수천 년 전 동북아시아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조선시대 부녀자들이 담 밖의 세상을 보기 위해 시작되었다는 설, 정초에 널뛰기를 하면 가시에 찔리지 않고 악귀에 씌지 않는다는 속설 등이 전해진다. 널뛰기를 하기 위해서는 널빤지, 멍석, 널을 뛸 사람, 보조해줄 사람이 필요하며, 널빤지 양쪽 끝을 번갈아 밟고 뛰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민속놀이 -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10줄 x 9줄의 판에서 각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궁을 잡는 한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상희라고도 불렸으며, 현대에는 주로 노년층 남성이 즐기고 대한장기협회에서 보급 및 관리를 한다. - 한국의 민속놀이 - 씨름
씨름은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한국의 전통 스포츠이자 민속놀이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도 나타나 있으며 남북한 공동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고 무제한급 우승자는 '천하장사'로 불린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널뛰기 | |
|---|---|
| 놀이 정보 | |
| 이름 | 널뛰기 |
| 종류 | 민속놀이 |
| 놀이 도구 | 널, 짚단 |
| 참가 인원 | 2명 이상 |
| 관련 문화 | 단오 |
| 역사 및 유래 | |
| 기원 | 삼국시대 또는 그 이전 |
| 유래 | 양반 집안의 여자들이 담 밖을 보기 위해 고안되었다는 설이 있음 |
| 놀이 방법 | |
| 진행 방식 | 널 위에 두 사람이 번갈아 올라가 뛰면서 즐기는 놀이 |
| 널의 위치 | 짚단 위에 널을 놓고, 널 가운데를 괸다. |
| 기술 | 높이 뛰어 오르거나 다양한 재주넘기 기술을 선보임 |
| 지역별 특징 | |
| 전라남도 | 전라남도 지역에서는 '널뛰기' 외에 '널뛰어뛰기', '널빼기' 등의 유사한 놀이가 존재함. |
| 문화적 의미 | |
| 공동체 의식 함양 | 함께 뛰면서 협동심과 공동체 의식을 기를 수 있음. |
| 신체 발달 | 균형 감각과 하체 근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줌. |
| 관련 행사 | |
| 단오 축제 | 단오와 같은 명절에 널리 행해짐. |
| 기타 정보 | |
| 영어 이름 | Korean plank game, Neolttwigi |
| 참고 문헌 | [1] |
2. 유래
널뛰기의 유래에 대하여는 정확한 자료가 없지만, 고려 시대에 여성들이 말타기나 격구 같은 활달한 운동을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널뛰기 역시 놀이의 성격으로 보아 당시의 여성들이 즐겼을 것으로 짐작된다. 알라스카 원주민의 전통놀이인 점을 고려하면 수천년 전 동북아시아 고대로부터 유래되었다고 봐야한다. 혹자는 조선시대 부녀자들이 주로 집안에서 갇혀 살았기 때문에 널뛰기로 담장 밖의 세상을 살펴보았다고 하지만, 민속도를 보면 야외에서도 많이 행하여진 점을 볼 때 근거가 없어보인다.
2. 1. 널뛰기에 얽힌 속설
- 처녀 시절에 널을 뛰지 않으면 시집을 가서 아기를 낳지 못한다는 속설이 있다.
- 정초에 널뛰기를 하면 한 해 동안 가시에 찔리지 않거나 악귀에 씌지 않고 지낼 수 있다는 속설이 있다.
3. 준비물
널뛰기를 하려면 널빤지, 멍석, 널 뛸 사람 두 명, 널 중앙에 서 있을 사람, 널 뛰는 사람을 보조해 줄 사람이 필요하다. 튼튼한 널빤지 가운데에 짚 등을 깔고 시소처럼 하여 양쪽에서 뛰어오른다.[3]
4. 놀이 방법
멍석을 말아 널빤지 밑에 넣어 가운데 오게 하고, 널빤지 한쪽 끝을 한 사람이 밟고 선다. 먼저 올라선 사람이 널빤지 끝에서 널을 구르며 튀어 오르면 반대편에서도 널빤지를 딛고 튀어 오른다. 이렇게 두 사람이 번갈아 발로 널빤지를 구르며 뛰는 놀이이다. 튼튼한 널빤지 가운데에 짚 등을 깔고 시소처럼 하여 양쪽에서 뛰어오른다.
한쪽 사람이 점프하여 착지한 반동으로 반대편에 있는 사람이 높이 날아오르는 것을 번갈아 반복한다. 발을 헛디디거나 널빤지에서 떨어진 쪽이 지는 것으로 한다.[3]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Play in Today's Society, Volume 1
SAGE Publications
2009-04-14
[2]
웹사이트
Neolttwigi
http://terms.naver.c[...]
2008
[3]
웹사이트
Kpedia「널뛰기 : 板跳び、跳板戱」
http://www.kpedia.jp[...]
[4]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