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바다 준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바다 준주는 1861년 미국 서부 유타 준주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은 개발로 인구가 증가했지만, 주 승격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미합중국의 은 수요와 반노예제 성향의 시민들로 인해 주 승격이 추진되었다. 1866년에 현재 영역의 대부분이 확정되었으며, 동쪽 경계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고, 남쪽 경계는 애리조나 준주의 일부를 편입하며 확장되었다. 준주의 주도는 제노아에서 카슨 시티로 이전되었으며, 제임스 워렌 나이가 유일한 준주 주지사로 재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타 준주 - 1850년 타협
    1850년 타협은 미국-멕시코 전쟁 이후 노예제 문제로 갈등이 심화된 북부와 남부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헨리 클레이가 주도하여 캘리포니아의 자유주 편입, 도망 노예법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지만, 남북 전쟁을 10년 연기하는 데 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유타 준주 - 유타 전쟁
    유타 전쟁은 1857년부터 1858년까지 유타 준주에서 몰몬교도와 미국 연방 정부 사이에 벌어진 갈등으로, 몰몬교도들의 자치적인 신정 통치, 일부다처제에 대한 연방 정부의 불신, 마운틴 메도우 학살 사건 등이 원인이 되어 발발했으나 토머스 케인의 중재로 평화적으로 해결되었고 이후 몰몬교도와 연방 정부 간의 갈등은 지속되어 유타가 미국의 주로 편입되는 데까지 영향을 미쳤다.
  • 네바다주 설립 이전의 역사 -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
    과달루페 이달고 조약은 1848년 미국과 멕시코 간에 체결되어 미-멕시코 전쟁을 종식시키고 멕시코가 현재 미국 서남부의 광대한 영토를 미국에 할양하는 대신 미국이 멕시코에 배상금을 지불하도록 규정했으나, 멕시코에는 치욕으로, 미국에는 영토 확장으로 평가되며 양국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네바다주 설립 이전의 역사 - 멕시코-미국 전쟁
    멕시코-미국 전쟁은 1846년부터 1848년까지 텍사스 합병과 영토 분쟁으로 인해 미국과 멕시코 간에 벌어진 전쟁이며, 미국이 승리하여 멕시코로부터 광대한 영토를 할양받는 결과를 가져왔다.
  • 뉴멕시코 준주 - 1850년 타협
    1850년 타협은 미국-멕시코 전쟁 이후 노예제 문제로 갈등이 심화된 북부와 남부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헨리 클레이가 주도하여 캘리포니아의 자유주 편입, 도망 노예법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지만, 남북 전쟁을 10년 연기하는 데 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 뉴멕시코 준주 - 애리조나 준주
    애리조나 준주는 1863년부터 1912년까지 미국의 자치령으로 존재했으며, 뉴멕시코 준주에서 분리되어 설치, 남북 전쟁 시기 남부 연합에 가담하기도 했고, 수도를 프레스콧, 투손을 거쳐 피닉스에 정착, 콜로라도 강 서쪽 일부 지역이 네바다주로 이관, 최종적으로 1912년 미국의 48번째 주로 승격되었다.
네바다 준주
기본 정보
고유 명칭네바다 준주
일반 명칭Nevada Territory
국가미국
하위 행정 구역 종류조직화된 자치 준주
존속 기간1861년 3월 2일 ~ 1864년 10월 31일
미국의 국기 (1863-1865)
국기 (1863–1864)
1861년의 네바다 준주, 유타 및 뉴멕시코 준주와 함께
1861년의 네바다 준주, 유타 및 뉴멕시코 준주와 함께
수도제노아 (1861)
카슨시티 (1861–1864)
정부 형태조직화된 자치 준주
정치
지도자 직함주지사
주요 지도자제임스 W. 나이
역사
이전유타 준주
사건 시작유기 법안
날짜 시작1861년 3월 2일
사건 종료주 승격
날짜 종료1864년 10월 31일
이후네바다

2. 역사

네바다 준주는 유타 준주에서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며, 초기에는 원주민 와슈 족의 이름을 따서 '와슈'라고 불렸다. 네바다는 자원 개발로 인구가 증가했지만, 주 승격 요건을 충족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미국이 은을 필요로 했고 주민들이 반노예제 성향을 보여 주 승격이 추진되었다.[4]

1866년에 네바다의 현재 영역 대부분이 확정되었다. 동부(예: 링컨 카운티)와 남부 끝은 유타 준주애리조나 준주로 이관되었다. 캘리포니아주와의 경계선은 타호 호수와 북위 35도선, 콜로라도강 사이의 위치 문제로 논란이 계속되어 20세기까지 측량이 반복되었다.[6] 1866년 5월 5일, 의회는 애리조나 준주 파유토 군을 포함한 콜로라도 강 서쪽 지역을 네바다로 이관시켰고, 이 남쪽 끝은 클라크 카운티로 개명되어 현재 라스베이거스가 되었다.[5]

네바다 준주의 동쪽 경계는 원래 워싱턴 경도 39도선이었으나, 동쪽에서 금이 발견되면서 1862년 워싱턴 경도 38도선으로, 1866년에는 워싱턴 경도 37도선으로 동쪽으로 이동했다. 이로 인해 유타 준주의 영토가 줄었다. 남쪽 경계는 북위 37도선이었지만, 1866년 네바다의 요청으로 1867년 콜로라도 강까지 남쪽으로 확장되었다. 애리조나는 이에 항의했으나,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미국 남부 연합과 연대했기 때문에 의회의 지지를 얻지 못했다.[5]

준주 주도는 임시 주도 제노아에서 카슨시티로 이전되었다. 아이작 루프를 이은 제임스 워렌 나이가 유일한 준주 주지사였으며, 준주 서기관은 마크 트웨인의 형인 오리온 클레멘스였다.[4]

2. 1. 설립 이전

유타 준주의 서부 지역은 원주민인 와슈 족의 이름을 따서 '와슈'라고 불렸다. 이 지역은 이라는 자원이 풍부하여, 은을 개발하려는 개척민들이 몰려들어 인구가 계속 증가했다. 그러나 주 승격에 필요한 인구에는 미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합중국이 은을 필요로 했고, 주민들이 대체로 반노예제 성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인구 문제를 감안하고 주 승격을 추진했다.

2. 2. 준주 설립과 경계 변화

네바다 준주는 서부 유타 준주의 일부였으며, 원주민인 와슈 족의 이름을 따서 '와슈'라고 불렸다. 네바다에는 이라는 자원이 있었고, 이를 개발하기 위해 온 개척민들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그러나 주 승격을 충족할 만한 인구는 아니었지만, 미국이 은을 필요로 했고, 시민들이 일반적으로 반노예제 경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인구 문제를 파악하고 주 승격을 진행했다.[4]

1866년 네바다 영역의 대다수가 확정되었다. 이때 주 동부(예: 링컨 카운티)와 남부의 선단부가 각각 유타 준주애리조나 준주로 이관되었다.

캘리포니아주네바다주 경계선의 정확한 위치는 타호 호수와 북위 35도선이 콜로라도강이 만나는 지점 사이이지만, 논란이 많아 20세기 들어서도 측량이 반복되고 있었다.[6] 1866년 5월 5일, 의회는 애리조나 준주 파유토 군을 포함하여 콜로라도 강에서 서쪽 지역을 네바다로 이관시켰다. 이 남부의 선단부는 클라크 카운티로 개명되었으며, 현재는 라스베이거스가 되었다.

네바다 준주의 동쪽 경계는 워싱턴 경도 39도선으로 정의되었지만, 동쪽에서 금이 발견되자 네바다 준주 대표단은 의회에 경계를 워싱턴 경도 38도선으로 동쪽으로 옮겨달라고 요청했고, 의회는 1862년에 이를 허가했다. 1866년에는 더 많은 금 매장량이 발견된 부분적인 이유로 경계가 워싱턴 경도 37도선으로 더 동쪽으로 이동했다. 이러한 동쪽 이동으로 인해 유타 준주의 영토가 줄어들었다. 네바다 준주의 남쪽 경계는 북위 37도선으로 정의되었지만, 1866년에 네바다는 의회에 경계를 콜로라도 강까지 남쪽으로 이동해 달라고 요청했다. 의회는 1867년에 이 요청을 수락하여 네바다에 애리조나 준주의 서쪽 끝을 모두 부여했다. 애리조나는 강력하게 항의했지만, 미국 남북 전쟁 동안 미국 남부 연합과 연대했기 때문에 의회에서 거의 공감을 얻지 못했다.[5]

2. 3. 주 승격

네바다 준주는 서부 유타 준주의 일부였으며, 원주민인 와슈 족을 따서 ‘와슈’라고 불렀다. 네바다에는 이라는 자원이 있고 그것을 개발하기 위해 오는 개척민들로 인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었지만, 주 승격을 충족시킬만한 인구는 되지 않았다. 하지만 미합중국이 은을 필요로 했으며, 일반적으로 시민들은 반노예제의 경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인구 문제를 파악하고 주 승격을 진행했다.

네바다는 1866년에 현재 영역의 대다수가 확정되었다. 이때 주 동부(예 링컨 카운티)와 남부의 선단부가 각각 유타 준주애리조나 준주로 이관되었다.

캘리포니아주네바다주 경계선의 정확한 위치는 타호 호수와 북위 35도선이 콜로라도강이 만나는 지점 사이이지만, 논란이 많아 20세기 들어서도 측량이 반복되고 있었다. 1866년 5월 5일, 의회는 애리조나 준주 파유토 군을 포함하여 콜로라도 강에서 서쪽 지역을 네바다로 이관시켰다. 이 남부의 선단부는 클라크 카운티로 개명하여 현재는 라스베가스가 되었다.

2. 4. 준주 정부

준주의 주도는 임시 주도 제노아에서 카슨시티로 옮겨졌다. 준주 주지사인 아이작 루프를 이은 제임스 워렌 나이가 초대이자, 유일한 준주 주지사가 되었다. 준주 서기관은 마크 트웨인의 형인 오리온 클레멘스였다.[4] 1866년 5월 5일, 의회는 애리조나 준주 파유토 군을 포함하여 콜로라도 강에서 서쪽 지역을 네바다로 이관시켰다. 이 남부의 선단부는 클라크 카운티로 개명하여 현재는 라스베이거스가 되었다.[5]

3. 라스베이거스의 발전

1866년 5월 5일, 미국 의회는 애리조나 준주 파유토 군을 포함하여 콜로라도 강 서쪽 지역을 네바다로 이관시켰다.[1] 이 지역은 클라크 카운티로 개명되었으며, 현재 라스베이거스가 이 카운티에 속해 있다.[2]

참조

[1] 문서
[2] 웹사이트 California Digital Newspaper Collection https://cdnc.ucr.edu[...]
[3] 간행물 USStat
[4] 보고서 Population of the States and Counties of the United States: 1790–1990 https://www.census.g[...]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0-05-18
[5] 서적 How the States Got Their Shapes HarperCollins
[6] 뉴스 Four Corners mistake recalls long border feud between Nevada, California http://www.lvrj.com/[...] 2009-04-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