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카라과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카라과의 대통령은 니카라과 국가 원수이며,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 시기, 독립 공화국 시기의 최고 지도자, 대통령을 거쳐 현재에 이른다. 니카라과는 소모사, 오르테가, 차모로 가문 등 특정 가문의 장기 집권, 쿠데타, 군사 독재 정권의 반복, 친미 성향의 국민자유당과 공산주의 성향의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의 대립 등 복잡한 정치적 역사를 겪었다. 2021년 선거에서는 다니엘 오르테가가 7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나, 야당 탄압으로 선거의 공정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카라과의 대통령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는 미국 교육을 받고 국가경비대를 이용해 니카라과의 대통령이 된 독재자로, 미국의 지원을 받으며 장기간 독재 통치를 했고, 그의 암살 후에도 그의 아들들이 통치를 이어받았다. - 니카라과의 대통령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는 니카라과의 독재자로, 국가경비대 사령관을 거쳐 대통령에 취임하여 반대파 탄압과 부정부패로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았으며, 1979년 축출된 후 암살당했다.
니카라과의 대통령 | |
---|---|
개요 | |
직위 | 대통령 |
국가 | 니카라과 공화국 |
원어 명칭 | Presidente de la República de Nicaragua |
![]() | |
현직 | 다니엘 오르테가 |
취임일 | 2007년 1월 10일 |
유형 | 국가 원수 정부 수반 |
거주지 | 나란하 궁 |
소재지 | 마나과 |
임명 방식 | 직접 선거 |
임기 | 5년 (재선 가능) |
법적 근거 | 니카라과 공화국 헌법 |
창설일 | 1854년 8월 30일 |
초대 대통령 | 프루토 차모로 |
부통령 | 부통령 (로사리오 무리요) |
급여 | 월 116,768 니카라과 코르도바 |
웹사이트 | 니카라과 대통령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전신 | 니카라과 최고 지도자 |
기타 | |
관련 정보 | 2011 2016 2021 |
2. 역사
니카라과는 소모사와 오르테가 가문이 장기 집권을 여러 차례 했으며, 사카사, 차모로 등 여러 정치 가문도 집권을 여러 번 했다. 군사 쿠데타를 포함한 군사 독재 정권도 여러 번 등장했다. 특히, 친미 성향의 민족주의 자유당과 공산주의 성향의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이 오랫동안 대립해왔다.[9]
1838년 독립 이후, 니카라과는 초기에는 최고 지도자라는 직함으로 통치하다가 1854년부터 대통령제를 도입했다. 1990년부터 2009년까지 대통령 연임이 금지되었으나, 2009년 니카라과 대법원의 판결로 연임 규정이 폐지되었다.[10]
2. 1.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 시기 (1821-1838)
1821년부터 1838년까지 니카라과는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의 일원이었다. 이 시기 니카라과는 연방 정부의 지배를 받았으며, 연방 내에서는 자유주의 세력과 보수주의 세력 간의 갈등이 지속되었다. 이 기간 동안 니카라과의 국가 원수 목록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있다.2. 1. 1. 중앙아메리카 연방 공화국 하 니카라과 국가 원수
이름 | 정당 | 재임 기간 | 비고 |
---|---|---|---|
마누엘 안토니오 데 라 세르다 | 보수 연방주의자 | 1825년 4월 22일 – 1826년 4월 22일 | 1차, 레온 출신. |
후안 아르구엘로 | 자유주의 연방주의자 | 1826년 4월 22일 – 1827년 9월 14일 | 1차, 레온 출신. |
페드로 베니토 피네다 | 보수 연방주의자 | 1826년 9월 17일 – 1827년 2월 26일 | 반란 중, 그라나다 출신. |
마누엘 안토니오 데 라 세르다 | 보수 연방주의자 | 1827년 2월 27일 – 1828년 11월 7일 | 반란 중, 2차. |
페드로 오비에도 | 자유주의 연방주의자 | 1827년 9월 14일 – 1827년 12월 | 임시, 치난데가, 레온 및 그라나다 출신. |
자유주의 호국 (Juntas) | 자유주의 연방주의자 | 1827년 12월 – 1828년 8월 | 레온 및 그라나다 출신. |
후안 아르구엘로 | 자유주의 연방주의자 | 1828년 8월 5일 – 1829년 11월 | 2차, 레온 출신. |
후안 에스피노사 | 자유주의 연방주의자 | 1829년 11월 8일 – 1830년 5월 10일 | 대행. |
디오니시오 데 에레라 | 자유주의 연방주의자 | 1830년 5월 10일 – 1833년 12월 | |
베니토 모랄레스 | 정통주의자 | 1833년 12월 – 1834년 3월 10일 | 대행. |
호세 누녜스 | 정통주의자 | 1834년 3월 10일 – 1835년 4월 23일 | |
호세 세페다 | 자유주의 연방주의자 | 1835년 4월 23일 – 1837년 1월 25일 | 암살됨. |
호세 누녜스 | 정통주의자 | 1837년 1월 25일 – 1838년 1월 12일 | 2차, 대행. |
프란시스코 히메네스 루비오 | 정통주의자 | 1838년 1월 12일 – 1838년 3월 13일 | 대행. |
호세 누녜스 | 정통주의자 | 1838년 3월 13일 – 1838년 11월 17일 | 3차. |
2. 2. 니카라과 독립 공화국 시기 (1838-현재)
중앙아메리카 연방이 해체된 후, 니카라과는 1838년 독립 공화국이 되었다.[9] 초기에는 최고 지도자라는 직함으로 통치하다가 1854년부터 대통령제를 도입했다.1854년부터 현재까지 니카라과의 대통령 목록은 다음과 같다.
대 | 이름 | 취임 | 퇴임 | 정당 |
---|---|---|---|---|
1 | 프루토 차모로 | 1854년 4월 30일 | 1855년 3월 12일 | 보수당 |
- | 호세 마리아 에스트라다 (대리) | 1855년 3월 12일 | 1855년 10월 22일 | 보수당 |
- | 파트리시오 리바스 (임시) | 1855년 10월 30일 | 1857년 6월 24일 | 보수당 |
- | 윌리엄 워커 | 1856년 7월 12일 | 1857년 5월 1일 | 필리버스터 |
- | 정부 위원회 | 1857년 6월 24일 | 1857년 11월 15일 | 자유당/보수파 |
2 | 토마스 마르티네스 | 1857년 11월 15일 | 1867년 3월 1일 | 보수당 |
3 | 페르난도 솔로르자노 구스만 | 1867년 3월 1일 | 1871년 3월 1일 | 보수당 |
4 | 호세 비센테 쿠아드라 | 1871년 3월 1일 | 1875년 3월 1일 | 보수당 |
5 | 페드로 호아킨 차모로 알파로 | 1875년 3월 1일 | 1879년 3월 1일 | 보수당 |
6 | 호아킨 사바라 | 1879년 3월 1일 | 1883년 3월 1일 | 보수당 |
7 | 아단 카르데나스 | 1883년 3월 1일 | 1887년 3월 1일 | 보수당 |
8 | 에바리스토 카라소 | 1887년 3월 1일 | 1889년 8월 1일 | 보수당 |
- | 니콜라스 오소르노 (대리) | 1889년 8월 1일 | 1889년 8월 5일 | 보수당 |
- | 로베르토 사카사 (대리) | 1889년 8월 5일 | 1891년 1월 1일 | 보수당 |
9 | 이그나시오 차베스 | 1891년 1월 1일 | 1891년 3월 1일 | 보수당 |
10 | 로베르토 사카사 | 1891년 3월 1일 | 1893년 7월 11일 | 보수당 |
- | 살바도르 마차도 (대리) | 1893년 7월 11일 | 1893년 7월 15일 | 보수당 |
- | 호아킨 사바라 (대리) | 1893년 7월 16일 | 1893년 7월 25일 | 보수당 |
11 | 호세 산토스 셀라야 | 1893년 7월 25일 | 1909년 12월 21일 | 자유당 |
- | 호세 마드리스 (대리) | 1909년 12월 21일 | 1910년 8월 20일 | 자유당 |
- | 호세 돌로레스 스트라다 (대리) | 1910년 8월 20일 | 1910년 8월 27일 | 보수당 |
- | 루이스 메나 (대리) | 1910년 8월 27일 | 1910년 8월 30일 | 보수당 |
- | 후안 호세 에스트라다 (임시) | 1910년 8월 30일 | 1911년 5월 9일 | 보수당 |
12 | 아돌포 디아스 | 1911년 5월 9일 | 1917년 1월 1일 | 보수당 |
13 | 에밀리아노 차모로 바르가스 | 1917년 1월 1일 | 1921년 1월 1일 | 보수당 |
14 | 디에고 마누엘 차모로 | 1921년 1월 1일 | 1923년 10월 12일 | 보수당 |
- | 로센도 차모로 (대리) | 1923년 10월 12일 | 1923년 10월 27일 | 보수당 |
15 | 바르톨로메 마르티네스 | 1923년 10월 27일 | 1925년 1월 1일 | 보수당 |
16 | 카를로스 호세 솔로르자노 | 1925년 1월 1일 | 1926년 3월 14일 | 보수당 |
- | 에밀리아노 차모로 바르가스 (사실상) | 1926년 3월 14일 | 1926년 11월 11일 | 보수당 |
- | 세바스티안 우리자 (대리) | 1926년 11월 11일 | 1926년 11월 14일 | 보수당 |
17 | 아돌포 디아스 | 1926년 11월 14일 | 1929년 1월 1일 | 보수당 |
18 | 호세 마리아 몬카다 타피아 | 1929년 1월 1일 | 1933년 1월 1일 | 자유당 |
19 | 후안 바우티스타 사카사 | 1933년 1월 1일 | 1936년 6월 9일 | 자유당 |
- | 카를로스 알베르토 브레네스 (대리) | 1936년 6월 9일 | 1937년 1월 1일 | 자유당 |
20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 1937년 1월 1일 | 1947년 5월 1일 | 군사 정권/국민자유당 |
21 | 레오나르도 아르게요 바레토 | 1947년 5월 1일 | 1947년 5월 26일 | 국민자유당 |
- | 벤하민 라카요 사카사 (대리) | 1947년 5월 26일 | 1947년 8월 15일 | 국민자유당 |
22 | 빅토르 마누엘 로만 이 레예스 | 1947년 8월 15일 | 1950년 5월 6일 | 국민자유당 |
- | 마누엘 페르난도 수리타 (대리) | 1950년 5월 6일 | 1950년 5월 7일 | 국민자유당 |
23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 1950년 5월 7일 | 1956년 9월 29일 | 군사 정권/국민자유당 |
24 | 루이스 소모사 데바일레 | 1956년 9월 29일 | 1963년 5월 1일 | 국민자유당 |
25 | 르네 시크 | 1963년 5월 1일 | 1966년 8월 3일 | 국민자유당 |
- | 올란도 몬테네그로 메드라노 (대리) | 1966년 8월 3일 | 1966년 8월 4일 | 국민자유당 |
26 | 로렌조 게레로 | 1966년 8월 4일 | 1967년 5월 1일 | 국민자유당 |
27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 1967년 5월 1일 | 1972년 5월 1일 | 군사 정권/국민자유당 |
- | 보수당 훈타 | 1972년 5월 1일 | 1974년 12월 1일 | 국민자유당/사회보수당 |
28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 1974년 12월 1일 | 1979년 7월 17일 | 군사 정권/국민자유당 |
- | 프란시스코 우르쿠요스 (대리) | 1979년 7월 17일 | 1979년 7월 18일 | 국민자유당 |
- | 국가 재건 훈타 (조정자: 다니엘 오르테가) | 1979년 7월 18일 | 1985년 1월 10일 | 자치회/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29 | 다니엘 오르테가 | 1985년 1월 10일 | 1990년 4월 25일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30 | 비올레타 차모로 | 1990년 4월 25일 | 1997년 1월 10일 | 국가 야당 연합 |
31 | 아르놀도 알레만 | 1997년 1월 10일 | 2002년 1월 10일 | 헌법 옹호 자유당 |
32 | 엔리케 볼라뇨스 | 2002년 1월 10일 | 2007년 1월 10일 | 헌법 옹호 자유당 |
33 | 다니엘 오르테가 | 2007년 1월 10일 | 현직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1990년부터 2009년까지 대통령의 연임은 금지되었으나, 2009년 니카라과 대법원의 판결로 연임 규정이 폐지되었다.[10]
2. 2. 1. 최고 지도자 (1838-1854)
초상 | 이름 | 정당 | 재임 기간 | 비고 |
---|---|---|---|---|
![]() | 호세 누녜스 | 정통당 | 1838년 4월 30일 – 1839년 1월 5일 | 제1차 과도 정부 |
![]() | 호아킨 델 코시요 | 정통당 | ? 1839 – 1839년 5월 15일 | 제2차 과도 정부 |
에바리스토 로차 | 정통당 | 1839년 1월 5일 – 1839년 6월 30일 | 제2차 과도 정부, 권한대행 | |
![]() | 파트리시오 리바스 | 민주당 | 1839년 6월 30일 – 1839년 7월 27일 | 제2차 과도 정부, 권한대행 |
호아킨 델 코시요 | 정통당 | 1839년 7월 27일 – 1839년 10월 20일 | 제2차 과도 정부 | |
일라리오 울로아 | 정통당 | 1839년 10월 20일 – 1839년 11월 7일 | 권한대행 | |
토마스 바야다레스 | 민주당 | 1839년 11월 7일 – 1840년 9월 21일 | 권한대행 | |
파트리시오 리바스 | 민주당 | 1840년 9월 21일 – 1841년 3월 4일 | 권한대행 | |
![]() | 파블로 부이트라고 | 정통당 | 1841년 3월 4일 – 1843년 4월 1일 | 1841년 선거 |
후안 데 디오스 오로스코 | 정통당 | 1843년 4월 1일 – 1843년 5월 31일 | 권한대행 | |
마누엘 페레스 | 민주당 | 1843년 5월 31일 – 1844년 11월 4일 | 의회 선출, 엘살바도르 침공으로 사임 | |
에밀리아노 마드리즈 | 민주당 | 1844년 11월 4일 – 1845년 1월 24일 | 12월 26일까지 권한대행, 이후 레온에서 임시 | |
실베스트레 셀바 | 정통당 | 1844년 12월 16일 – 1845년 1월 20일 | 프란시스코 말레스핀 침공군에 의해 마사야에서 임명 | |
블라스 안토니오 사엔스 | 정통당 | 1845년 1월 20일 – 4월 4일 | 1월 24일까지 마사야 임시, 선거 전까지 권한대행 | |
![]() | 호세 레온 산도발 | 공화주의 | 1845년 4월 4일 – 1847년 3월 12일 | 1845년 선거 |
미겔 라몬 모랄레스 | 정통당 | 1847년 3월 12일 – 1847년 4월 6일 | 권한대행 | |
![]() | 호세 마리아 게레로 | 공화주의 | 1847년 4월 6일 – 1849년 1월 1일 | 1847년 선거에서 패배, 입법 의회 만장일치 임명 |
토리비오 테란 | 정통당 | 1849년 1월 1일 – 1849년 3월 8일 | 권한대행 | |
베니토 로살레스 | 정통당 | 1849년 3월 8일 – 1849년 4월 1일 | 권한대행 | |
![]() | 노르베르토 라미레스 | 정통당 | 1849년 4월 1일 – 1851년 4월 1일 | 1849년 선거 |
후스토 아바운자 | 정통당 | 1851년 4월 1일 – 5월 5일 | 레온 임시 정부, 상원 권한대행 | |
![]() | 라우레아노 피네다 | 민주당 | 1851년 5월 5일 – 8월 4일 | 호세 트리니다드 무뇨스 군사 쿠데타로 폐위 |
후스토 아바운자 | 정통당 | 1851년 8월 4일 – 11월 11일 | 군사 쿠데타 지도자, 호세 트리니다드 무뇨스 권한 하 상원 권한대행 | |
라우레아노 피네다 | 민주당 | 1851년 8월 5일 – 8월 11일 | 반대파 | |
호세 프란시스코 델 몬테네그로 | 정통당 | 1851년 8월 5일 – 8월 11일 | 그라나다 정부, 지휘 중 사망 | |
호세 데 헤수스 알파로 | 민주당 | 1851년 8월 11일 – 11월 2일 | 반대파, 그라나다 정부, 상원 권한대행 | |
![]() | 풀헨시오 베가 | 정통당 | 1851년 11월 11일 – 1852년 | 프루토 차모로 준장 지원, 의회 임명, 호세 트리니다드 무뇨스에 승리 |
라우레아노 피네다 | 민주당 | 1851년 11월 11일 – 1853년 4월 1일 | 1851년 11월 2일까지 반란 | |
![]() | 프루토 차모로 | 정통당 | 1853년 4월 1일 – 1854년 4월 30일 | 그라나다 정부 |
![]() | 프란시스코 카스테욘 | 민주당 | 1854년 6월 11일 – 1855년 9월 2일 | 1855년 4월 1일까지 레온 임시 반란 |
나자리오 에스코토 | 민주당 | 1855년 9월 2일 – 10월 30일 | 레온 임시 반란 |
2. 2. 2. 대통령 (1854-현재)
1854년부터 현재까지 니카라과의 대통령 목록은 다음과 같다.[9]대 | 이름 | 취임 | 퇴임 | 정당 |
---|---|---|---|---|
1 | 푸르토 차모로 | 1854년 4월 30일 | 1855년 3월 12일 | 보수당 |
- | 호세 마리아 에스트라다 (대리) | 1855년 3월 12일 | 1855년 10월 22일 | 보수당 |
- | 파트리시오 리바스 (임시) | 1855년 10월 30일 | 1857년 6월 24일 | 보수당 |
- | 윌리엄 워커 | 1856년 7월 12일 | 1857년 5월 1일 | 필리버스터 |
- | 정부 위원회 | 1857년 6월 24일 | 1857년 11월 15일 | 자유당/보수파 |
2 | 토마스 마르티네스 | 1857년 11월 15일 | 1867년 3월 1일 | 보수당 |
3 | 페르난도 솔로르자노 구스만 | 1867년 3월 1일 | 1871년 3월 1일 | 보수당 |
4 | 호세 비센테 쿠아드라 | 1871년 3월 1일 | 1875년 3월 1일 | 보수당 |
5 | 페드로 호아킨 차모로 알파로 | 1875년 3월 1일 | 1879년 3월 1일 | 보수당 |
6 | 호아킨 사바라 | 1879년 3월 1일 | 1883년 3월 1일 | 보수당 |
7 | 아담 카데나스 | 1883년 3월 1일 | 1887년 3월 1일 | 보수당 |
8 | 에바리스토 카라소 | 1887년 3월 1일 | 1889년 8월 1일 | 보수당 |
- | 니콜라스 오소르노 (대리) | 1889년 8월 1일 | 1889년 8월 5일 | 보수당 |
- | 로베르토 사카사 (대리) | 1889년 8월 5일 | 1891년 1월 1일 | 보수당 |
9 | 이그나시오 차베스 | 1891년 1월 1일 | 1891년 3월 1일 | 보수당 |
10 | 로베르토 사카사 | 1891년 3월 1일 | 1893년 7월 11일 | 보수당 |
- | 살바도르 마차도 (대리) | 1893년 7월 11일 | 1893년 7월 15일 | 보수당 |
- | 호아킨 사바라 (대리) | 1893년 7월 16일 | 1893년 7월 25일 | 보수당 |
11 | 호세 산토스 셀라야 | 1893년 7월 25일 | 1909년 12월 21일 | 자유당 |
- | 호세 마드리스 (대리) | 1909년 12월 21일 | 1910년 8월 20일 | 자유당 |
- | 호세 돌로레스 스트라다 (대리) | 1910년 8월 20일 | 1910년 8월 27일 | 보수당 |
- | 루이스 메나 (대리) | 1910년 8월 27일 | 1910년 8월 30일 | 보수당 |
- | 후안 호세 에스트라다 (임시) | 1910년 8월 30일 | 1911년 5월 9일 | 보수당 |
12 | 아돌포 디아스 | 1911년 5월 9일 | 1917년 1월 1일 | 보수당 |
13 | 에밀리아노 차모로 바르가스 | 1917년 1월 1일 | 1921년 1월 1일 | 보수당 |
14 | 디에고 마누엘 차모로 | 1921년 1월 1일 | 1923년 10월 12일 | 보수당 |
- | 로센도 차모로 (대리) | 1923년 10월 12일 | 1923년 10월 27일 | 보수당 |
15 | 바르톨로메 마르티네스 | 1923년 10월 27일 | 1925년 1월 1일 | 보수당 |
16 | 카를로스 호세 솔로르자노 | 1925년 1월 1일 | 1926년 3월 14일 | 보수당 |
- | 에밀리아노 차모로 바르가스 (사실상) | 1926년 3월 14일 | 1926년 11월 11일 | 보수당 |
- | 세바스티안 우리자 (대리) | 1926년 11월 11일 | 1926년 11월 14일 | 보수당 |
17 | 아돌포 디아스 | 1926년 11월 14일 | 1929년 1월 1일 | 보수당 |
18 | 호세 마리아 몬카다 타피아 | 1929년 1월 1일 | 1933년 1월 1일 | 자유당 |
19 | 후안 바우티스타 사카사 | 1933년 1월 1일 | 1936년 6월 9일 | 자유당 |
- | 카를로스 알베르토 브레네스 (대리) | 1936년 6월 9일 | 1937년 1월 1일 | 자유당 |
20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 1937년 1월 1일 | 1947년 5월 1일 | 군사 정권/국민자유당 |
21 | 레오나르도 아르게요 바레토 | 1947년 5월 1일 | 1947년 5월 26일 | 국민자유당 |
- | 벤하민 라카요 사카사 (대리) | 1947년 5월 26일 | 1947년 8월 15일 | 국민자유당 |
22 | 빅토르 마누엘 로만 이 레예스 | 1947년 8월 15일 | 1950년 5월 6일 | 국민자유당 |
- | 마누엘 페르난도 수리타 (대리) | 1950년 5월 6일 | 1950년 5월 7일 | 국민자유당 |
23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가르시아 | 1950년 5월 7일 | 1956년 9월 29일 | 군사 정권/국민자유당 |
24 | 루이스 소모사 데바일레 | 1956년 9월 29일 | 1963년 5월 1일 | 국민자유당 |
25 | 르네 시크 | 1963년 5월 1일 | 1966년 8월 3일 | 국민자유당 |
- | 올란도 몬테네그로 메드라노 (대리) | 1966년 8월 3일 | 1966년 8월 4일 | 국민자유당 |
26 | 로렌조 게레로 | 1966년 8월 4일 | 1967년 5월 1일 | 국민자유당 |
27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 1967년 5월 1일 | 1972년 5월 1일 | 군사 정권/국민자유당 |
- | 보수당 훈타 | 1972년 5월 1일 | 1974년 12월 1일 | 국민자유당/사회보수당 |
28 | 아나스타시오 소모사 데바일레 | 1974년 12월 1일 | 1979년 7월 17일 | 군사 정권/국민자유당 |
- | 프란시스코 우르쿠요스 (대리) | 1979년 7월 17일 | 1979년 7월 18일 | 국민자유당 |
- | 국가 재건 훈타 (조정자: 다니엘 오르테가) | 1979년 7월 18일 | 1985년 1월 10일 | 자치회/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29 | 다니엘 오르테가 | 1985년 1월 10일 | 1990년 4월 25일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30 | 비올레타 차모로 | 1990년 4월 25일 | 1997년 1월 10일 | 국가 야당 연합 |
31 | 아르놀도 알레만 | 1997년 1월 10일 | 2002년 1월 10일 | 헌법 옹호 자유당 |
32 | 엔리케 볼라뇨스 | 2002년 1월 10일 | 2007년 1월 10일 | 헌법 옹호 자유당 |
33 | 다니엘 오르테가 | 2007년 1월 10일 | 현직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2009년 니카라과 대법원은 헌법에 규정된 대통령 연임 금지 조항은 효력이 없다는 판결을 내려 연임 제한이 없어졌다.[10]
1990년부터 2009년까지 대통령의 연임은 금지되었으나, 2009년 니카라과 대법원의 판결로 연임 규정이 폐지되었다.[10]
3. 최근 선거
3. 1. 2021년 니카라과 총선
대통령은 직접 선거로 부통령과 함께 선출되며, 임기는 5년이다.[9] 1990년부터 2009년까지 대통령의 연임은 금지되었다. 그러나 2009년 니카라과 대법원은 헌법에 규정된 연임 금지 조항은 효력이 없다는 판결을 내렸고, 이로 인해 연임 규정이 폐지되었다.[10]
참조
[1]
웹사이트
Shocking Gap Between Latin America's Presidential Salaries and Workers Minimum Wage
http://www.latinpost[...]
2017-06-22
[2]
웹사이트
Proponen reducir salario de otros cargos públicos nicaragüenses – LVDS
https://www.lavozdel[...]
2007-01-26
[3]
뉴스
Nicaragua's Ortega takes office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1-11
[4]
뉴스
Nicaragua court backs re-elec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9-10-20
[5]
뉴스
Nicaragua: Ortega allowed to run for third successive term
https://www.bbc.com/[...]
BBC News
2014-01-29
[6]
웹사이트
Gobernantes de Nicaragua
http://www.mined.gob[...]
Ministerio de Educación
2012-12-09
[7]
웹사이트
Shocking Gap Between Latin America's Presidential Salaries and Workers Minimum Wage
http://www.latinpost[...]
2017-06-22
[8]
웹사이트
Proponen reducir salario de otros cargos públicos nicaragüenses – LVDS
https://www.lavozdel[...]
2007-01-26
[9]
문서
ニカラグア基礎データ
https://www.mofa.go.[...]
2021-01-21
[10]
뉴스
Nicaragua: Ortega allowed to run for third successive term
https://www.bbc.com/[...]
BBC News
2014-01-29
[11]
웹인용
Ministerio de Educación
http://www.mined.gob[...]
2012-1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