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닐 알렉산드로비치는 1261년 알렉산드르 넵스키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263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모스크바를 상속받아 모스크바 공국을 건국했다. 1303년 사망할 때까지 영토를 확장하고 모스크바 최초의 수도원을 건설했다. 1300년 콜롬나를 획득하고, 1302년 페레야슬라블-잘레스키를 병합하여 세력을 키웠다. 그는 1303년에 사망하기 전 수도사가 되었으며, 1652년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03년 사망 - 한강 (고려)
    한강은 고려 시대 문신으로, 국자감대사성, 밀직사사 등을 역임하고 원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으며, 『고금록』 편찬에 참여하고 첨의시랑찬성사를 거쳐 문혜라는 시호를 받았다.
  • 1303년 사망 - 교황 보니파시오 8세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1294년부터 1303년까지 재임한 제192대 로마 교황으로, 법률가 출신이며 희년 선포와 대학교 설립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프랑스 왕, 콜론나 가문과의 갈등 및 아나니 사건 등 정치적 격변을 겪었다.
  • 1261년 출생 - 디니스
    디니스는 1279년부터 1325년까지 포르투갈을 통치하며 왕권 강화, 경제 발전, 포르투갈어 공용어 지정, 대학 설립, 해상 무역 진흥, 농업 발전, 문화 정책 등을 추진했다.
  • 1261년 출생 - 오토 3세 폰 바이에른 공작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니엘 알렉산드로비치 모스크바
미니어처 (《차르스키 티툴랴르니크》, 1672년)
칭호성(聖) 정교한 공작
재위1282년 – 1303년 3월 5일
계승모스크바 공국
선임자없음
후임자유리 1세
배우자마리아
자녀유리 3세
알렉산드르
보리스
아파나시
페도라
이반 1세
가문류리크 왕조
아버지알렉산드르 넵스키
출생일1261년 말
출생지블라디미르,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
사망일1303년 3월 4일
사망지모스크바, 모스크바 대공국
매장지대천사 성당
종교러시아 정교회
성인 정보
모스크바 대천사 성당 프레스코
프레스코 (모스크바 대천사 성당)
출생일1261년
출생지블라디미르
사망일1303년 3월 4일
축일3월 17일
9월 12일
공경러시아 정교회
시성일1791년
시성러시아 정교회
수호러시아 공병 부대
매장지다닐로프 묘지
호칭
러시아어Дани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다니일 알렉산드로비치)
일본어ダニール・アレクサンドロヴィチ
한국어다닐 알렉산드로비치
다른 이름다닐 1세
추가 정보
설립자다니일로비치 가문

2. 생애

보리스 미하일로비치의 조카인 다닐 알렉산드로비치는 1263년 야로슬라프 3세에 의해 모스크바 지역을 영지로 획득하였다. 1283년에 류리크 왕조의 왕위에 올라 모스크바 대공국[8]을 건국하였으며, 1303년에 죽을 때까지 모스크바 공국을 통치하였다.

1261년,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수도 블라디미르에서 알렉산드르 넵스키 대공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263년에 아버지가 죽자 유산 중에서 가장 가치가 낮은 모스크바를 영지로 받았다. 다닐은 자신의 작은 공국을 건설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에 노력을 집중했다.

1300년 랴잔 공국으로부터 오카 강 연안의 중요 거점 도시 콜롬나를 빼앗았고, 1302년 페레야슬라블잘레스키 공 이반 드미트리예비치가 후계자 없이 죽자 그의 유언에 따라 페레야슬라블잘레스키를 병합했다.[5] 이로써 모스크바 공국은 경제적으로 선진적인 지역과 중요한 강으로의 진출로를 확보하게 되었다.[5] 다닐의 치세 말까지 모스크바 공국의 영토는 두 배로 증가했다.[5]

1303년, 42세의 나이로 죽었다. 죽기 직전 수도사가 되어 머리를 깎았고, 그의 유해는 그 자신이 세운 다닐로프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1652년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2. 1. 초기 생애

다닐 알렉산드로비치는 1261년 클랴지마 강변 블라디미르에서 알렉산드르 넵스키와 그의 두 번째 부인인 바사 공주 사이에서 태어난 네 번째이자 막내 아들이었다.[1] 다니엘 수도승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1263년 11월 14일, 아버지 알렉산드르가 사망했을 때 다닐은 두 살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유산 중 가장 가치가 낮은 모스크바를 물려받았고, 그의 삼촌인 야로슬라프 3세의 섭정 아래 통치했다. 야로슬라프 3세는 1271년에 사망했지만, 다닐은 1282년까지 독립적인 통치자가 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1]

1300년 랴잔 공국으로부터 오카 강 연안의 중요 거점 도시 콜롬나를 빼앗았고, 1302년 페레야슬라블잘레스키 공 이반 드미트리예비치가 후계자 없이 죽자 그의 유언에 따라 페레야슬라블잘레스키를 병합했다.[5] 이로써 모스크바 공국은 경제적으로 선진적인 지역과 중요한 강으로의 진출로를 확보하게 되었다.[5] 다닐의 치세 말까지 모스크바 공국의 영토는 두 배로 증가했다.[5]

2. 2. 통치

야로슬라프 3세에게서 모스크바 지역을 영지로 받았고, 1283년 류리크 왕조의 왕위에 올라 모스크바 대공국[8]을 건국하여 1303년 죽을 때까지 모스크바 공국을 통치하였다.

다닐은 작은 공국을 건설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데 힘썼다. 1271년 야로슬라프 3세가 죽자 모스크바 공으로 자립했다.

1300년 랴잔 공국에서 오카 강 연안의 중요 거점 도시 콜롬나를 빼앗았고, 1302년 페레야슬라블잘레스키 공 이반 드미트리예비치가 후계자 없이 죽자 그의 유언에 따라 페레야슬라블잘레스키를 병합했다. 이를 통해 모스크바 공국은 당시 경제적으로 선진적인 지역과 중요한 강으로의 진출로를 확보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작았던 모스크바 공국의 영토는 다닐의 치세 말까지 두 배로 커졌다.[5]

1303년 4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죽기 직전 수도사가 되어 머리를 깎았고, 유해는 자신이 세운 다닐로프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2. 3. 죽음

다닐 알렉산드로비치는 1303년 3월 5일 4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8] 그는 블라디미르 대공이 되지 못했고,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유리 모스크바 대공은 블라디미르의 왕위 계승에 대한 정당한 권리가 없었다. 다닐 알렉산드로비치는 죽기 직전 수도사가 되어 머리를 깎았고, 그의 유해는 그 자신이 세운 다닐로프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1652년 러시아 정교회에 의해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3. 가족

다닐 알렉산드로비치의 아내는 마리아(Maria)였다. 슬하에 최소 여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6]

이름출생-사망비고
유리1281년 – 1325년 9월 21일모스크바 공 (1303년 - 1325년), 블라디미르 대공 (1319년 - 1322년), 노브고로드 공 (1322년 - 1325년)
알렉산드르 다닐로비치1308년 가을 사망
보리스1320년 사망코스트로마 공 (1304년 - 1320년)
아파나시 다닐로비치1322년 사망노브고로드 공 (1314년 - 1315년, 1319년 - 1322년)
페도라 다닐로브나1299년 사망랴잔 공작 야로슬라프 로마노비치와 결혼
이반 1세1288년 – 1340년 3월 31일모스크바 공 (1325년 - 1340년), 블라디미르 대공 (1328년 - 1340년), 노브고로드 공 (1328년 - 1337년)


참조

[1] 서적 Первый московский князь Дании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http://krotov.info/l[...] Nauka
[2] 웹사이트 Clipping from the Laurentian Codex about the prince Daniile Alexandrovich Moskovsky https://xn--80apmdfm[...]
[3] 웹사이트 Right-Believing Prince Daniel of Moscow http://oca.org/saint[...]
[4] 뉴스 St. Daniel of Moscow – the peace-loving prince http://nyblago.com/p[...] Russian Orthodox Church Outside of Russia 2017-12-01
[5] 서적 地図で読む世界の歴史 ロシア
[6] 서적 Российская родословная книга Типография Карла Вингебера
[7] 문서 당시에는 모스크바 공국
[8] 문서 당시에는 모스크바 공국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