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정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정교회는 동방 정교회의 자치 교회로, 러시아를 중심으로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등 구 소련 지역과 중국, 일본 등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다. 1세기 사도 안드레아의 전승에서 기원하며, 988년 블라디미르 1세에 의해 국교로 채택되어 비잔틴 문화를 수용하며 발전했다. 1589년 모스크바 총대주교좌가 설립되었고, 1721년 표트르 대제에 의해 신성종무회의가 설치되어 국가 통제를 받았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박해를 겪었으나, 소련 붕괴 후 종교의 자유를 얻어 재건되었다. 현재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 1세가 수장이며, 우크라이나 정교회 문제 등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등 타 교파와 갈등을 겪고 있다. 비잔틴 전례를 따르며 이콘과 성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러시아 십자가를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방 정교회 - 교부
교부는 초기 기독교 신학자들로, 정통 교리를 세우고 성스러운 삶을 살았으며 교회로부터 인정받았고, 활동 시기와 지역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며, 이들의 사상은 교파를 초월한 기독교 공통의 사상 재산으로 여겨진다. - 동방 정교회 - 불가리아 정교회
불가리아 정교회는 864년 기독교 전파 이후 역사를 이어온 동방 정교회의 자치 교회이며, 불가리아 내 13개 교구와 해외 교구를 관할하고, 동방 정교회의 신학 및 예배 전통을 따르고 있다. - 러시아 정교회 - 벨라루스 정교회
벨라루스 정교회는 15개의 교구로 구성된 벨라루스의 정교회이나, 2020-2021년 벨라루스 시위 및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관련 활동으로 정치적 중립성 및 종교적 자유에 대한 비판을 받고 있으며 벨라루스 민주 공화국 라다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고 있다. - 러시아 정교회 - 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우크라이나 정교회(모스크바 총대주교청)는 우크라이나 내 정교회 교회로, 러시아 정교회와의 관계 악화, 정부 압력, 내부 분열 속에서 존속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1990년 자치권을 획득했으나 2018년 이후 교구 이전과 러시아 연계 단체 활동 금지 법안 통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러시아 정교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러시아 정교회 |
로마자 표기 | Russkaya pravoslavnaya tserkov |
다른 이름 | 러시아 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
모국어 이름 | 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
모국어 이름 (로마자) | Russkaya pravoslavnaya tserkov' |
모국어 이름 (로마자) (별칭) | Moskovskiy patriarkhat |
약칭 | ROC |
종파 | 동방 정교회 |
방향 | 러시아 정교회 |
성경 | 엘리자베스 성경 (교회 슬라브어) 시노드 성경 (러시아어) |
신학 | 동방 정교회 신학 |
정치 체제 | 주교제 |
거버넌스 | 러시아 정교회 성 시노드 |
구조 | 친교 |
수석 주교 |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 |
주교 수 | 382 (2019년) |
성직자 | 40,514명의 전임 성직자, 35,677명의 사제 및 4,837명의 부제 포함 |
교구 | 38,649 (2019년) |
교구 수 | 314 (2019년) |
수도원 수 | 972개 (남성 474개, 여성 498개) (2019년) |
협회 | 세계 교회 협의회 |
지역 | 러시아 구소련 국가 러시아 디아스포라 |
언어 | 교회 슬라브어(예배) 러시아어(설교 및 서류) 추가: 동방 정교회를 믿는 러시아의 민족의 언어; 디아스포라의 현지 언어 (영어 우선) |
전례 | 비잔틴 전례 |
본부 | 다닐로프 수도원, 모스크바, 러시아 |
설립자 | 키예프의 블라디미르 1세 |
설립일 | 988년 |
설립 장소 | 키예프 루스 |
독립 | 1448년 (사실상) |
승인 | 1589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 의해 159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전 정교회 총대주교 회의에서 |
분리 | 구의식파(17세기 중반) 카타콤 교회(1920년대) 러시아 정교회 해외교회(1927–2007) 우크라이나 정교회(2022년) 라트비아 정교회(2022년) |
신자 수 | 1억 1천만 명 (러시아 9,500만 명, 관련 자치 교회 총 1,500만 명) |
웹사이트 | 러시아 정교회 공식 웹사이트 |
추가 정보 | |
봉신례 언어 | 교회 슬라브어 |
성가 전통 | 러시아 성가 |
달력 | 율리우스력 |
2. 역사
전승에 따르면, 사도 안드레아가 1세기경 흑해 주변과 키예프, 노브고로드 등 루스인 지역에 복음을 전파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 이야기를 뒷받침하는 역사적 증거는 부족하다.
10세기 키예프 루스 공국에서 기독교가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944~945년 비잔티움 제국과의 조약 기록에 따르면, 이호르의 사절들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선서 의식을 거행할 때 기독교인들이 언급된다. 올가는 10세기 중반에 세례를 받았으나, 스비아토슬라프 1세는 개종하지 않았다. 988년 블라디미르 1세가 동로마 제국에서 파송된 성직자들에게 세례를 받고 정교회를 국교로 정했다. 블라디미르 1세는 신하들을 외국에 파견하여 신앙의 실태를 조사하게 했는데, 신하들은 정교 의식에 대해 "우리는 천상에 있었는지 지상에 있었는지 알 수 없었습니다. 지상에는 이러한 광경이나 아름다움도 없고, 또 이야기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저곳에서는 신이 사람들과 함께 계시고, 그들의 예배가 모든 나라를 능가한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라고 보고했다. 키예프 루스는 정교회 수용을 통해 비잔티움 제국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키릴 문자에 기반한 슬라브어를 발전시켜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했다.
1015년 블라디미르 1세 사후 내란이 발생하여 그의 아들 보리스와 글레프가 희생되었으나, 1037년 야로슬라프 현공이 키예프에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을 건립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부터 관구장주교를 임명받아 루스 정교회의 기틀을 다졌다.
야로슬라프 공은 루스를 정교회로 개종시키는 데 힘썼다. 1037년 야로슬라프 공은 키예프에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 건립을 명했고, 그리스인 관구장주교 테오펨프스토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부터 서임되어 키예프에 착좌하여 루스 정교회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1세기 말 경, 루스인들은 이교도에서 벗어나 정교회 신자가 되었고, 1051년에는 루스인 성직자 일라리온이 키예프 관구장주교로 서임되었다.
몽골 침략 이후 키예프가 중요성을 잃자, 1299년 키예프 및 온 러시아의 총대주교 막시무스는 관구를 블라디미르로 이전했다. 그의 후임자 페트르는 모스크바 공국의 지원을 받아 1325년 관구를 모스크바로 옮겼다. 모스크바에서 페트르의 재임 기간 동안 성모 승천 대성당의 기초가 마련되었고, 페트르는 그곳에 묻혔다. 이로써 모스크바는 러시아 정교회의 미래 중심지로 지정되었다.
1439년 플로렌스 공의회에서 러시아 대표 이시도르가 강압에 의해 연합에 서명했으나, 모스크바 대공 바실리 2세는 이를 거부하고 이시도르를 추도프 수도원에 감금했다. 1448년 12월 15일, 러시아 주교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동의 없이 요나를 총대주교로 선출하여 러시아 정교회는 사실상 독립(자치)하게 되었다.
15세기 후반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자 모스크바 대공국은 스스로 로마 제국의 정당한 후계자를 자처하며 정교회의 유일한 군주로 등극하였다.[14][15] 모스크바 대공 이반 3세는 동로마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의 조카 소피아 파라이올로기나와 결혼하고, 동로마 제국의 문장인 쌍두 독수리를 문장으로 삼아 그 후계자임을 자처하며 차르(카이사르, 즉 황제)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한다.[14][15] 당시 루스인들은 동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구심점을 잃은 정교회를 사수하라는 하느님의 거룩한 소명을 받았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모스크바가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이어 제3의 로마라는 신념의 기원이 되었다.[14][15]
표트르 1세 재위기간 섭정이었던 보리스 고두노프는 모스크바 관구장주교의 지위를 총대주교로 격상시켰다. 1589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이에레미아스 2세의 동의 아래 러시아에 총대주교좌가 신설되어 모스크바 관구장주교는 전 루스 총대주교로 승격되었다.[16] 1593년에는 4대 고대교회 총대주교들(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회합하여 모스크바 총대주교구에 교회 서열상 5번째 총대주교좌를 부여함으로써 승인 절차는 마무리되었다. 총대주교제를 설립한 법령에서 러시아 제국 전체를 "제3의 로마"라고 부른다.[16]
17세기 중반 알렉세이 로마노프가 황제로 즉위한 후, 1653년 그가 비호한 니콘이 십자성호를 긋는 방식을 포함한 교회 의식을 새로운 그리스 교회식으로 바꾸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는 전례를 점차 변화시켜 왔으나 루스 정교회는 10세기 개종 당시 전수 받은 전례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으므로 많은 성직자들과 평신도들은 이 같은 정책에 반대하며, 루스인의 정교회 전통은 다른 지역교회들의 전통보다 훨씬 우월하므로 절대 바뀌어선 안된다고 하였다. 또한 서유럽 장로회와의 교류도 보수적인 러시아 정교도의 심기를 건드렸으며, 많은 이들이 그리스 예식 수용을 거부하며 총대주교에 저항하였다.
이로써 1656년 러시아 정교회는 신의식파(新儀式派)와 고의식파(古儀式派)로 분열되었으며, 전통을 고수하는 고의식파가 박해받기 시작했다. 이때 분열된 고의식파는 다시 재성직자파(Поповцы)와 부재성직자파(Безпоповцы)로 나뉘었다. 재성직자파는 성직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고 1846년부터 자신들의 주교도 가지게 되었지만, 부재성직자파는 성직자를 가지지 않은 상태로 오늘날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그 외 분파인 두호보르파는 폭력에 반대하는 기독교 평화주의 신념에 따라 양심적 병역거부를 주장하고, 하느님 외에 누구에게도 복종할 수 없다는 신념에 따라 인간적인 권위를 부정하는 교리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 정부의 박해를 받아 캐나다로 집단이민을 가야만 했다.
1682년 표트르 대제는 러시아 제국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교회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국가 권력에 종속시키고자 했다. 1700년 총대주교 아드리안이 사망하자, 표트르 대제는 새로운 총대주교 선출을 불허하고 우크라이나 출신 성직자인 스테판 야보르스키를 ''자리 대행''으로 임명했다.[22]
1721년 표트르 대제는 모스크바 총대주교를 관구장주교로 격하시키고, 신성종무회의를 통해 교회를 국가의 통제 아래 두었다. 표트르는 교회를 포함한 러시아의 자원을 활용하여 현대적인 유럽 국가를 건설하고 군주제의 권위를 강화하려 했으며, 서구의 교회-국가 관계에서 영감을 받아 교회의 제도적 구조를 다른 부처들과 일치시키려 했다.[22] 테오판 프로코포비치가 작성한 ''영적 규정''은 더 이상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인정하지 않았다.[22]
172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는 러시아 정교회 신성종무회의를 공식 승인했고, 러시아 황제는 신성종무회의 구성원들을 자신의 충복들로 채워 교회를 국가의 통제하에 두었다. 표트르의 개혁은 1917년까지 지속된 러시아 정교회 공의회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22]
18세기 후반, 파이시이 벨리치코프스키와 그의 제자들에 의해 옵티나 수도원에서 ''스타르체스트보''가 부상하며 러시아 정교회에서 중요한 영적 부흥이 시작되었다. 알렉세이 콤야코프를 비롯한 슬라보필 성향의 평신도 신학자들은 ''소보르노스트''를 포함한 쇄신된 정교회 교리의 핵심 개념을 설명했다.[22]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멸망하고 소비에트 연방(소련)이 수립되자 러시아 정교회는 박해를 받기 시작했다.[26] 1917년 혁명으로 제정이 무너지자 정교회는 티혼을 모스크바 및 전 루스 총대주교로 선출해 총대주교좌를 복구했다.[27] 그러나 레닌과 트로츠키에 의해 소비에트 정권이 들어선 뒤, 공산당은 정교회에 적대적인 정책을 폈다.[28] 성직자들과 수도자들의 순교, 설교 금지, 성당 파괴, 교회 재산 몰수 등으로 고난을 겪었다. 볼셰비키 혁명 후 5년 동안 28명의 주교와 1,200명의 사제가 처형되었다.[28]
1922년 공식 수립된 소비에트 연방은 종교 제거를 국가의 통치 정당이 표방한 이념적 목표로 삼았다. 정교회 성직자와 신자들은 반혁명적 요소로 간주되어 수용소 수감, 정신병원에 수감되기도 했다.[29][30] 1917년부터 1935년 사이에 13만 명의 동방 정교회 사제들이 체포되었고, 이 중 9만 5천 명이 사망했다.
교회의 생존을 위해 소련 정부와의 관계 개선이 필요해진 러시아 정교회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을 지원하였다.[224] 스탈린은 교회의 애국심을 높이 사 세르기를 총대주교로 선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등 외형적 박해를 완화하고 신학교육기관 설립도 허용하였다.
1961년 세계 교회 협의회(WCC)에 가입하여 타 지역 정교회 및 다른 기독교 교파들과 교류하기 시작했으나, 여전히 신부들은 정상적인 사목을 할 수 없었고, 기독교 교육은 금지되었다.
니키타 흐루쇼프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지도 아래 교회에 대한 새롭고 광범위한 박해가 시작되었다. 1959년부터 1964년까지 니키타 흐루쇼프 집권 기간 동안 두 번째 탄압과 교회 폐쇄가 발생했다. 정교회 교회 수는 1959년 약 22,000개에서 1965년 약 8,000개로 감소했고, 운영 중인 수도원 수는 20개 미만으로 줄었다.
블라디미르 대주교에 따르면, 1988년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운영 중인 교회 수는 6,893개, 수도원 수는 21개였다. 1987년 러시아 SFSR에서는 신생아의 40%에서 50%가 세례를 받았다.
고르바초프에 의해 1990년 10월 소련 최고회의가 양심의 자유와 종교의 자유법을 의결한 이후, 공산주의 시절 박해를 받던 러시아 정교회는 종교의 자유를 얻게 되었다.[225]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정교회는 러시아인들의 정신적 지주로서 재기하고 있다. 스탈린이 폭파한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 복구를 기점으로 러시아 각지에서 소련 시대에 파괴된 성당과 교회 조직의 재건이 진행되고 있다.
그리스도 승천 대축일인 2007년 5월 17일, 공산주의 혁명 이후 분열되었던 러시아 정교회와 해외 러시아 정교회는 80년 만에 재통합했다. 모스크바의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에서 러시아 정교회 수좌주교 알렉세이 2세 모스크바 총대주교와 해외 러시아 정교회 수좌주교 라브르 관구장주교가 교회 재통합 협정에 서명했다.[155]
2009년 1월 27일, 키릴 군댜예프 관구장주교가 총 700표 가운데 508표를 얻어 신임 총대주교로 선출되었고, 2월 1일에 총대주교 착좌식이 거행되었다.[72] 키릴 총대주교는 알렉시 2세 총대주교의 뒤를 이었으며, 로마 교황청과의 역사적인 화해를 도모할 수 있을 만한 개혁 성향의 성직자로 평가받고 있다.[225]
레닌그라드 대주교 알렉시(리디거)는 1990년 총대주교 자리에 올라 70년간의 탄압 이후 러시아 사회로 정교회 기독교가 부분적으로 복귀하는 과정을 주관했으며, 러시아 정교회(ROC)를 공산주의 이전 모습과 유사하게 변화시켰다.[57] 그의 임기 말까지 약 1만 5천 개의 교회가 재개장되거나 새로 지어졌으며, 복구 및 재건 과정은 그의 후임인 키릴 총대주교 아래에서도 계속되었다.[57] 2016년 공식 수치에 따르면 교회에는 174개의 교구, 361명의 주교, 그리고 3만 9,800명의 성직자가 3만 4,764개의 교구를 담당했다.[57]
러시아 교회는 공산주의 붕괴 이후 남은 이념적 공백을 채우려고 노력했으며, 일부 분석가들의 견해에 따르면 "독립적인 권력 기관"이 되었다.[58] 2000년 8월, 러시아 정교회는 사회 개념의 기초를 채택했으며[59] 2008년 7월에는 인간 존엄성, 자유 및 권리에 대한 기본 가르침을 채택했다.[60]
알렉시 총대주교 재임 기간 동안, 특히 2002년 요한 바오로 2세가 러시아 영토에 대한 가톨릭 교구 구조를 만들면서 러시아 정교회와 바티칸 사이의 관계에서 어려움이 있었다.[61] 러시아 교회 지도자들은 이 행동을 바티칸이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을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려는 이전 시도로 간주했다.
1990년대 중반 에스토니아 정교회를 둘러싸고 세계 총대주교청과의 심각한 갈등이 발생했는데, 이는 러시아 정교회가 성찬례 관계를 일방적으로 중단하는 결과를 초래했다.[61] 2007년 10월 초 라벤나에서 열린 정교회-가톨릭 대화 참가자 회의에서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대표인 힐라리온 알페예프 주교는 세계 총대주교청 관할인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대표가 참석함에 따라 회의에서 퇴장했다.[62]
키릴 총대주교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행정 구조 개혁을 실시했다. 2011년 7월 27일, 성 시노드는 중앙아시아 대주교구를 설립하여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의 교회 구조를 재편성했다.[73] 또한, 2011년 10월 6일, 총대주교의 요청에 따라 성 시노드는 인접한 여러 교구를 통합하는 행정 구조인 대주교구(러시아어: митрополия, mitropoliya)를 도입했다.[74] 키릴 총대주교 재임 기간 동안 러시아 정교회는 크렘린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후원을 받았다.[85][75] 키릴 총대주교는 2012년 2월 푸틴의 2000년대 재임 기간을 "하나님의 기적"이라고 언급하며 푸틴의 2012년 대선을 지지했다.[76][77]
2018년,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과의 오랜 경쟁과 우크라이나 교회에 대한 자치권 부여 결정에 대한 모스크바의 분노로 인해 성대한 대공의회를 보이콧했다.[153][81] 2018년 10월 15일, 러시아 정교회의 성소의회는 단절하여 전적인 친교를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과 끊었다.[82][83]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이 2019년 1월 5일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설립을 최종적으로 확정한 반면, 러시아 정교회는 해당 국가에서 유일한 합법적인 정교회 관할권은 자신의 지부라고 계속 주장했다.[89]
2019년 10월, 러시아 정교회는 그리스 교회가 우크라이나 자치권을 인정한 후 일방적으로 친교를 끊었다.[93] 11월 3일, 키릴 총대주교는 모스크바에서 거행된 예배 중 그리스 교회의 수장인 아테네의 이에로니모스 2세 총대주교를 기념하지 않았다.[94] 2019년 11월 8일, 러시아 정교회는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총대주교인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로스 2세 총대주교가 같은 날 OCU를 인정한 후 키릴 총대주교가 그를 기념하는 것을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96][97][98]
2021년 9월 27일, 러시아 정교회는 소비에트 정권에 의해 박해받은 모든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을 위한 종교적 추모일을 제정했다. 이 날은 10월 30일이다.[99][100]
모스크바의 키릴 총대주교의 전쟁에 대한 지지 입장은 국제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105] 키예프의 오누프리(베레조프스키)(Onufriy (Berezovsky)) 대주교이자 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UOC-MP)의 총대주교는 이 전쟁을 "재앙"이라고 부르며, "시기심으로 자신의 형제를 죽인 카인의 죄를 되풀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101] 그는 또한 푸틴에게 직접 호소하여 "형제 살해 전쟁"을 즉각 종식시켜 줄 것을 요청했다.[102][103] 2022년 러시아 침공 이후 많은 UOC-MP 교구들이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충성을 전환하려는 의사를 밝혔다.[104]
키릴 총대주교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승인하고 그곳에서 싸우는 러시아 군인들에게 축복을 내렸다.[118] 결과적으로 우크라이나 러시아 정교회의 여러 사제들이 예배 중에 키릴 총대주교의 이름을 언급하는 것을 중단했다.[117] 키릴 총대주교는 게이 프라이드 행진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해 전쟁을 벌이는 이유 중 하나로 본다.[119]
2022년 3월 6일 (사면 주일 휴일) 그리스도 구세주 교회에서의 예배 중에 그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을 정당화하며, 우크라이나가 8년 동안 "학살"을 자행하고 있다고 말한 "돈바스"(즉,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인민 공화국을 지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122] 키릴 총대주교는 우크라이나가 현지 주민들에게 게이 프라이드 행사를 강요하려 한다고 말했다.
2022년 3월 9일 예배 후 그는 러시아가 러시아의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에 대해 무력을 사용할 권리가 있으며, 우크라이나인과 러시아인은 하나의 민족이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하나의 국가라고 선언했다.[124]
2022년 3월에 세계교회협의회(WCC)에 보낸 서한에서 키릴 총대주교는 나토 확장, 러시아어 보호,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설립을 들어 우크라이나 공격을 정당화했다.[125][126]
바티칸 대표들은 키릴 총대주교가 우크라이나에서 평화를 추구하려는 의지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129] 4월 3일 전 캔터베리 대주교인 로완 윌리엄스는 러시아 정교회를 WCC에서 축출해야 한다는 강력한 주장을 제기했다.[130]
키릴 총대주교는 우크라이나 전선으로 시민들을 동원하는 것을 지지했으며, 시민들에게 군 복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치면 하나님의 왕국에서 하나님과 함께할 것이라고 촉구했다.[140][141][142]
2024년 3월 말 키릴 총대주교가 주도한 전러시아인민회의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성전"이라고 명시한 문서가 승인되었다.[146] 이 문서는 이 전쟁이 "세계주의의 맹공격과 서구의 승리로부터 세계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서구는 사탄주의에 빠져 있다고 밝혔다
2. 1. 초기 역사
전승에 따르면, 사도 안드레아가 1세기경 흑해 주변과 키예프, 노브고로드 등 루스인 지역에 복음을 전파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 이야기를 뒷받침하는 역사적 증거는 부족하다.10세기 키예프 루스 공국에서 기독교가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944~945년 비잔티움 제국과의 조약 기록에 따르면, 이호르의 사절들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선서 의식을 거행할 때 기독교인들이 언급된다. 올가는 10세기 중반에 세례를 받았으나, 스비아토슬라프 1세는 개종하지 않았다. 988년 블라디미르 1세가 동로마 제국에서 파송된 성직자들에게 세례를 받고 정교회를 국교로 정했다. 블라디미르 1세는 신하들을 외국에 파견하여 신앙의 실태를 조사하게 했는데, 신하들은 정교 의식에 대해 "우리는 천상에 있었는지 지상에 있었는지 알 수 없었습니다. 지상에는 이러한 광경이나 아름다움도 없고, 또 이야기할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저곳에서는 신이 사람들과 함께 계시고, 그들의 예배가 모든 나라를 능가한다는 것만은 분명합니다."라고 보고했다. 키예프 루스는 정교회 수용을 통해 비잔티움 제국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키릴 문자에 기반한 슬라브어를 발전시켜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했다.
1015년 블라디미르 1세 사후 내란이 발생하여 그의 아들 보리스와 글레프가 희생되었으나, 1037년 야로슬라프 현공이 키예프에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을 건립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부터 관구장주교를 임명받아 루스 정교회의 기틀을 다졌다.
2. 2. 키예프 관구장주교좌 확립과 발전
야로슬라프 공은 루스를 정교회로 개종시키는 데 힘썼다. 1037년 야로슬라프 공은 키예프에 스뱌토고소피아 대성당 건립을 명했고, 그리스인 관구장주교 테오펨프스토스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부터 서임되어 키예프에 착좌하여 루스 정교회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11세기 말 경, 루스인들은 이교도에서 벗어나 정교회 신자가 되었고, 1051년에는 루스인 성직자 일라리온이 키예프 관구장주교로 서임되었다.몽골 침략 이후 키예프가 중요성을 잃자, 1299년 키예프 및 온 러시아의 총대주교 막시무스는 관구를 블라디미르로 이전했다. 그의 후임자 페트르는 모스크바 공국의 지원을 받아 1325년 관구를 모스크바로 옮겼다. 모스크바에서 페트르의 재임 기간 동안 성모 승천 대성당의 기초가 마련되었고, 페트르는 그곳에 묻혔다. 이로써 모스크바는 러시아 정교회의 미래 중심지로 지정되었다.
1439년 플로렌스 공의회에서 러시아 대표 이시도르가 강압에 의해 연합에 서명했으나, 모스크바 대공 바실리 2세는 이를 거부하고 이시도르를 추도프 수도원에 감금했다. 1448년 12월 15일, 러시아 주교들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동의 없이 요나를 총대주교로 선출하여 러시아 정교회는 사실상 독립(자치)하게 되었다.
2. 3. 모스크바 총대주교좌 성립
15세기 후반 동로마 제국이 멸망하자 모스크바 대공국은 스스로 로마 제국의 정당한 후계자를 자처하며 정교회의 유일한 군주로 등극하였다.[14][15] 모스크바 대공 이반 3세는 동로마 마지막 황제 콘스탄티노스 11세의 조카 소피아 파라이올로기나와 결혼하고, 동로마 제국의 문장인 쌍두 독수리를 문장으로 삼아 그 후계자임을 자처하며 차르(카이사르, 즉 황제)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시작한다.[14][15] 당시 루스인들은 동로마 제국의 멸망 이후, 구심점을 잃은 정교회를 사수하라는 하느님의 거룩한 소명을 받았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모스크바가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이어 제3의 로마라는 신념의 기원이 되었다.[14][15]표트르 1세 재위기간 섭정이었던 보리스 고두노프는 모스크바 관구장주교의 지위를 총대주교로 격상시켰다. 1589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이에레미아스 2세의 동의 아래 러시아에 총대주교좌가 신설되어 모스크바 관구장주교는 전 루스 총대주교로 승격되었다.[16] 1593년에는 4대 고대교회 총대주교들(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안티오키아, 예루살렘)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회합하여 모스크바 총대주교구에 교회 서열상 5번째 총대주교좌를 부여함으로써 승인 절차는 마무리되었다. 총대주교제를 설립한 법령에서 러시아 제국 전체를 "제3의 로마"라고 부른다.[16]
2. 4. 고의식파 분열
17세기 중반 알렉세이 로마노프가 황제로 즉위한 후, 1653년 그가 비호한 니콘이 십자성호를 긋는 방식을 포함한 교회 의식을 새로운 그리스 교회식으로 바꾸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는 전례를 점차 변화시켜 왔으나 루스 정교회는 10세기 개종 당시 전수 받은 전례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었으므로 많은 성직자들과 평신도들은 이 같은 정책에 반대하며, 루스인의 정교회 전통은 다른 지역교회들의 전통보다 훨씬 우월하므로 절대 바뀌어선 안된다고 하였다. 또한 서유럽 장로회와의 교류도 보수적인 러시아 정교도의 심기를 건드렸으며, 많은 이들이 그리스 예식 수용을 거부하며 총대주교에 저항하였다.이로써 1656년 러시아 정교회는 신의식파(新儀式派)와 고의식파(古儀式派)로 분열되었으며, 전통을 고수하는 고의식파가 박해받기 시작했다. 이때 분열된 고의식파는 다시 재성직자파(Поповцы)와 부재성직자파(Безпоповцы)로 나뉘었다. 재성직자파는 성직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고 1846년부터 자신들의 주교도 가지게 되었지만, 부재성직자파는 성직자를 가지지 않은 상태로 오늘날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그 외 분파인 두호보르파는 폭력에 반대하는 기독교 평화주의 신념에 따라 양심적 병역거부를 주장하고, 하느님 외에 누구에게도 복종할 수 없다는 신념에 따라 인간적인 권위를 부정하는 교리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러시아 정부의 박해를 받아 캐나다로 집단이민을 가야만 했다.
2. 5. 총대주교좌 폐지와 신성종무회의
1682년 표트르 대제는 러시아 제국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교회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국가 권력에 종속시키고자 했다. 1700년 총대주교 아드리안이 사망하자, 표트르 대제는 새로운 총대주교 선출을 불허하고 우크라이나 출신 성직자인 스테판 야보르스키를 ''자리 대행''으로 임명했다.[22]1721년 표트르 대제는 모스크바 총대주교를 관구장주교로 격하시키고, 신성종무회의를 통해 교회를 국가의 통제 아래 두었다. 표트르는 교회를 포함한 러시아의 자원을 활용하여 현대적인 유럽 국가를 건설하고 군주제의 권위를 강화하려 했으며, 서구의 교회-국가 관계에서 영감을 받아 교회의 제도적 구조를 다른 부처들과 일치시키려 했다.[22] 테오판 프로코포비치가 작성한 ''영적 규정''은 더 이상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인정하지 않았다.[22]
172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와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는 러시아 정교회 신성종무회의를 공식 승인했고, 러시아 황제는 신성종무회의 구성원들을 자신의 충복들로 채워 교회를 국가의 통제하에 두었다. 표트르의 개혁은 1917년까지 지속된 러시아 정교회 공의회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22]
18세기 후반, 파이시이 벨리치코프스키와 그의 제자들에 의해 옵티나 수도원에서 ''스타르체스트보''가 부상하며 러시아 정교회에서 중요한 영적 부흥이 시작되었다. 알렉세이 콤야코프를 비롯한 슬라보필 성향의 평신도 신학자들은 ''소보르노스트''를 포함한 쇄신된 정교회 교리의 핵심 개념을 설명했다.[22]
2. 6. 소련 시대의 박해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러시아 제국이 멸망하고 소비에트 연방(소련)이 수립되자 러시아 정교회는 박해를 받기 시작했다.[26] 1917년 혁명으로 제정이 무너지자 정교회는 티혼을 모스크바 및 전 루스 총대주교로 선출해 총대주교좌를 복구했다.[27] 그러나 레닌과 트로츠키에 의해 소비에트 정권이 들어선 뒤, 공산당은 정교회에 적대적인 정책을 폈다.[28] 성직자들과 수도자들의 순교, 설교 금지, 성당 파괴, 교회 재산 몰수 등으로 고난을 겪었다. 볼셰비키 혁명 후 5년 동안 28명의 주교와 1,200명의 사제가 처형되었다.[28]1922년 공식 수립된 소비에트 연방은 종교 제거를 국가의 통치 정당이 표방한 이념적 목표로 삼았다. 정교회 성직자와 신자들은 반혁명적 요소로 간주되어 수용소 수감, 정신병원에 수감되기도 했다.[29][30] 1917년부터 1935년 사이에 13만 명의 동방 정교회 사제들이 체포되었고, 이 중 9만 5천 명이 사망했다.
교회의 생존을 위해 소련 정부와의 관계 개선이 필요해진 러시아 정교회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을 지원하였다.[224] 스탈린은 교회의 애국심을 높이 사 세르기를 총대주교로 선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등 외형적 박해를 완화하고 신학교육기관 설립도 허용하였다.
1961년 세계 교회 협의회(WCC)에 가입하여 타 지역 정교회 및 다른 기독교 교파들과 교류하기 시작했으나, 여전히 신부들은 정상적인 사목을 할 수 없었고, 기독교 교육은 금지되었다.
니키타 흐루쇼프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의 지도 아래 교회에 대한 새롭고 광범위한 박해가 시작되었다. 1959년부터 1964년까지 니키타 흐루쇼프 집권 기간 동안 두 번째 탄압과 교회 폐쇄가 발생했다. 정교회 교회 수는 1959년 약 22,000개에서 1965년 약 8,000개로 감소했고, 운영 중인 수도원 수는 20개 미만으로 줄었다.
블라디미르 대주교에 따르면, 1988년까지 소비에트 연방의 운영 중인 교회 수는 6,893개, 수도원 수는 21개였다. 1987년 러시아 SFSR에서는 신생아의 40%에서 50%가 세례를 받았다.
2. 7. 현재
고르바초프에 의해 1990년 10월 소련 최고회의가 양심의 자유와 종교의 자유법을 의결한 이후, 공산주의 시절 박해를 받던 러시아 정교회는 종교의 자유를 얻게 되었다.[225]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정교회는 러시아인들의 정신적 지주로서 재기하고 있다. 스탈린이 폭파한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 복구를 기점으로 러시아 각지에서 소련 시대에 파괴된 성당과 교회 조직의 재건이 진행되고 있다.그리스도 승천 대축일인 2007년 5월 17일, 공산주의 혁명 이후 분열되었던 러시아 정교회와 해외 러시아 정교회는 80년 만에 재통합했다. 모스크바의 구세주 그리스도 대성당에서 러시아 정교회 수좌주교 알렉세이 2세 모스크바 총대주교와 해외 러시아 정교회 수좌주교 라브르 관구장주교가 교회 재통합 협정에 서명했다.[155]
2009년 1월 27일, 키릴 군댜예프 관구장주교가 총 700표 가운데 508표를 얻어 신임 총대주교로 선출되었고, 2월 1일에 총대주교 착좌식이 거행되었다.[72] 키릴 총대주교는 알렉시 2세 총대주교의 뒤를 이었으며, 로마 교황청과의 역사적인 화해를 도모할 수 있을 만한 개혁 성향의 성직자로 평가받고 있다.[225]
레닌그라드 대주교 알렉시(리디거)는 1990년 총대주교 자리에 올라 70년간의 탄압 이후 러시아 사회로 정교회 기독교가 부분적으로 복귀하는 과정을 주관했으며, 러시아 정교회(ROC)를 공산주의 이전 모습과 유사하게 변화시켰다.[57] 그의 임기 말까지 약 1만 5천 개의 교회가 재개장되거나 새로 지어졌으며, 복구 및 재건 과정은 그의 후임인 키릴 총대주교 아래에서도 계속되었다.[57] 2016년 공식 수치에 따르면 교회에는 174개의 교구, 361명의 주교, 그리고 3만 9,800명의 성직자가 3만 4,764개의 교구를 담당했다.[57]
러시아 교회는 공산주의 붕괴 이후 남은 이념적 공백을 채우려고 노력했으며, 일부 분석가들의 견해에 따르면 "독립적인 권력 기관"이 되었다.[58] 2000년 8월, 러시아 정교회는 사회 개념의 기초를 채택했으며[59] 2008년 7월에는 인간 존엄성, 자유 및 권리에 대한 기본 가르침을 채택했다.[60]
알렉시 총대주교 재임 기간 동안, 특히 2002년 요한 바오로 2세가 러시아 영토에 대한 가톨릭 교구 구조를 만들면서 러시아 정교회와 바티칸 사이의 관계에서 어려움이 있었다.[61] 러시아 교회 지도자들은 이 행동을 바티칸이 러시아 정교회 신자들을 로마 가톨릭으로 개종시키려는 이전 시도로 간주했다.
1990년대 중반 에스토니아 정교회를 둘러싸고 세계 총대주교청과의 심각한 갈등이 발생했는데, 이는 러시아 정교회가 성찬례 관계를 일방적으로 중단하는 결과를 초래했다.[61] 2007년 10월 초 라벤나에서 열린 정교회-가톨릭 대화 참가자 회의에서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대표인 힐라리온 알페예프 주교는 세계 총대주교청 관할인 에스토니아 사도 정교회 대표가 참석함에 따라 회의에서 퇴장했다.[62]
키릴 총대주교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행정 구조 개혁을 실시했다. 2011년 7월 27일, 성 시노드는 중앙아시아 대주교구를 설립하여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의 교회 구조를 재편성했다.[73] 또한, 2011년 10월 6일, 총대주교의 요청에 따라 성 시노드는 인접한 여러 교구를 통합하는 행정 구조인 대주교구(러시아어: митрополия, mitropoliya)를 도입했다.[74] 키릴 총대주교 재임 기간 동안 러시아 정교회는 크렘린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후원을 받았다.[85][75] 키릴 총대주교는 2012년 2월 푸틴의 2000년대 재임 기간을 "하나님의 기적"이라고 언급하며 푸틴의 2012년 대선을 지지했다.[76][77]
2018년,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과의 오랜 경쟁과 우크라이나 교회에 대한 자치권 부여 결정에 대한 모스크바의 분노로 인해 성대한 대공의회를 보이콧했다.[153][81] 2018년 10월 15일, 러시아 정교회의 성소의회는 단절하여 전적인 친교를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청과 끊었다.[82][83] 콘스탄티노플 세계 총대주교청이 2019년 1월 5일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설립을 최종적으로 확정한 반면, 러시아 정교회는 해당 국가에서 유일한 합법적인 정교회 관할권은 자신의 지부라고 계속 주장했다.[89]
2019년 10월, 러시아 정교회는 그리스 교회가 우크라이나 자치권을 인정한 후 일방적으로 친교를 끊었다.[93] 11월 3일, 키릴 총대주교는 모스크바에서 거행된 예배 중 그리스 교회의 수장인 아테네의 이에로니모스 2세 총대주교를 기념하지 않았다.[94] 2019년 11월 8일, 러시아 정교회는 알렉산드리아와 전 아프리카의 총대주교인 알렉산드리아의 테오도로스 2세 총대주교가 같은 날 OCU를 인정한 후 키릴 총대주교가 그를 기념하는 것을 중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96][97][98]
2021년 9월 27일, 러시아 정교회는 소비에트 정권에 의해 박해받은 모든 동방 정교회 기독교인을 위한 종교적 추모일을 제정했다. 이 날은 10월 30일이다.[99][100]
모스크바의 키릴 총대주교의 전쟁에 대한 지지 입장은 국제적인 비판을 받고 있다.[105] 키예프의 오누프리(베레조프스키)(Onufriy (Berezovsky)) 대주교이자 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UOC-MP)의 총대주교는 이 전쟁을 "재앙"이라고 부르며, "시기심으로 자신의 형제를 죽인 카인의 죄를 되풀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101] 그는 또한 푸틴에게 직접 호소하여 "형제 살해 전쟁"을 즉각 종식시켜 줄 것을 요청했다.[102][103] 2022년 러시아 침공 이후 많은 UOC-MP 교구들이 우크라이나 정교회에 충성을 전환하려는 의사를 밝혔다.[104]
키릴 총대주교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승인하고 그곳에서 싸우는 러시아 군인들에게 축복을 내렸다.[118] 결과적으로 우크라이나 러시아 정교회의 여러 사제들이 예배 중에 키릴 총대주교의 이름을 언급하는 것을 중단했다.[117] 키릴 총대주교는 게이 프라이드 행진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대해 전쟁을 벌이는 이유 중 하나로 본다.[119]
2022년 3월 6일 (사면 주일 휴일) 그리스도 구세주 교회에서의 예배 중에 그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공격을 정당화하며, 우크라이나가 8년 동안 "학살"을 자행하고 있다고 말한 "돈바스"(즉, 도네츠크와 루한스크 인민 공화국을 지지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122] 키릴 총대주교는 우크라이나가 현지 주민들에게 게이 프라이드 행사를 강요하려 한다고 말했다.
2022년 3월 9일 예배 후 그는 러시아가 러시아의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우크라이나에 대해 무력을 사용할 권리가 있으며, 우크라이나인과 러시아인은 하나의 민족이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하나의 국가라고 선언했다.[124]
2022년 3월에 세계교회협의회(WCC)에 보낸 서한에서 키릴 총대주교는 나토 확장, 러시아어 보호, 우크라이나 정교회의 설립을 들어 우크라이나 공격을 정당화했다.[125][126]
바티칸 대표들은 키릴 총대주교가 우크라이나에서 평화를 추구하려는 의지가 부족하다고 비판했다.[129] 4월 3일 전 캔터베리 대주교인 로완 윌리엄스는 러시아 정교회를 WCC에서 축출해야 한다는 강력한 주장을 제기했다.[130]
키릴 총대주교는 우크라이나 전선으로 시민들을 동원하는 것을 지지했으며, 시민들에게 군 복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치면 하나님의 왕국에서 하나님과 함께할 것이라고 촉구했다.[140][141][142]
2024년 3월 말 키릴 총대주교가 주도한 전러시아인민회의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성전"이라고 명시한 문서가 승인되었다.[146] 이 문서는 이 전쟁이 "세계주의의 맹공격과 서구의 승리로부터 세계를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서구는 사탄주의에 빠져 있다고 밝혔다.[146]
3. 지역
러시아 정교회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등 구 러시아 제국과 소련 지역에 주로 분포되어 있다. 중국,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캐나다, 중남미, 일본 등 기타 일부 지역에도 전파되어 있다. 한국 정교회(정교회 한국관구)도 1900년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들이 건립하였다.
미국 정교회(OCA)는 1794년 당시 러시아령 아메리카였던 알래스카에 8명의 러시아 정교회 수도사들이 설립한 선교 사업에서 시작되었다.[154] 1867년 미국이 러시아로부터 알래스카를 매입한 후, 이 선교 사업은 러시아 정교회의 완전한 교구로 성장했다. 19세기 후반에는 동유럽과 중유럽 출신 이민자들과 중동 출신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미국 내 러시아 정교회가 다른 지역으로 확장되었다. 1970년 자치권을 부여받으면서 미국 정교회(Orthodox Church in America)로 알려지게 되었다.[154]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미국과 캐나다에 대한 이전의 정교회적 주장을 포기했으며, 1970년 일본에 자치 교회의 설립을 인정하기도 했다.
일본에 정교회를 전파한 것은 러시아의 수도사제 니콜라이이다.[215] 러일전쟁 등으로 일본 내 반러시아 감정이 악화되는 악조건 속에서 한때 가톨릭교회에 이은 교세를 확보하게 되었다.[216] 1970년 모스크바 총주교청과의 관계를 회복하여 자치교회가 되었다.[219] 재정과 신앙 생활은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완전히 독립되어 있으며, 교회 운영에 있어서 거의 완전한 자치를 행하고 있다.[219] 러시아와 직접적으로 관계를 갖는 일본의 교회로서, 러시아 정교회 주일 포드볼리예가 있다.[220]
4. 구조 및 조직
러시아 정교회는 계층적 구조로 조직되어 있다. 최하위 조직 단위는 일반적으로 단일 러시아 정교회 건물과 그 참석자들로 구성되며, 신부가 수장으로 있는 교구이다. 특정 지역의 모든 교구는 주교구(епархия—서방의 교구에 해당)에 속하며, 주교가 관할한다. 2012년 6월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261개의 러시아 정교회 주교구가 있다.
일부 주교구는 총대주교구(현재 벨라루스 총대주교구)나 카자흐스탄과 중앙아시아의 ROC 주교구와 같은 대도시 지역(митрополичий округ)으로 조직될 수 있다. 1990년대 초부터 전 소련의 일부 새로 독립된 국가의 ROC 주교구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내에서 자치 교회의 지위를 누리고 있다.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에스토니아 정교회, 라트비아 정교회, 몰도바 정교회, 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UOC-MP)이 이러한 자치 교회에 해당하며, 특히 우크라이나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행정 문제에서 사실상 완전히 독립적이다. 2007년부터 러시아 정교회 해외 교회도 유사한 지위를 누리고 있다. 중국 정교회와 일본 정교회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으로부터 완전한 자치권을 부여받았지만, 이 자치권은 보편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소규모 주교구는 일반적으로 단일 주교가 관할하며, 대규모 주교구, 총대주교구 및 자치 교회는 대주교가 관할하며, 때로는 한 명 이상의 주교가 배정되기도 한다.
러시아 정교회의 최고 권위는 모든 주교와 성직자 및 평신도 대표로 구성된 러시아 정교회 지역 공의회이다. 공의회 사이 기간에는 러시아 정교회 성상회의가 7명의 상임 위원으로 구성되며 모스크바 및 전 러시아 총대주교이자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의 원수가 의장을 맡아 최고 행정권을 행사한다. 모스크바 총대주교는 광범위한 행정권을 가지고 있지만, 교황과 달리 모스크바 도시 교구 외부에는 직접적인 교회법적 관할권이 없으며, 신앙에 관한 문제뿐만 아니라 가톨릭-정교회 분열과 같은 전체 정교회 공동체와 관련된 문제에 대해 단독으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
러시아 정교회는 4단계의 자치구조를 가지고 있다.[157][158] 러시아 정교회에 속한 자치 교회들은 다음과 같다.
#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우크라이나 정교회(Ukrainian Orthodox Church (Moscow Patriarchate)) (자치권에 가까운 특수 지위의 자치 교회)
# 자치 교회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몰도바, 러시아 정교회 해외 교구)
# 벨라루스 정교회(Belarusian Orthodox Church) (외교구(exarchate)); 동남아시아 총대주교구(Patriarchal Exarchate in South-East Asia); 서유럽 총대주교구; 아프리카 총대주교구(Patriarchal Exarchate of Africa)
# 파키스탄 정교회
# 카자흐스탄 대주교구
# 일본 정교회(Japanese Orthodox Church)
# 중국 정교회(Chinese Orthodox Church)
5. 타 교파와의 관계
러시아 정교회는 정교회 내에서 "정교의 분열"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다.[203] 이는 현대에 들어 정교회가 토지가 아닌 각 민족 교회별로 관할권을 유지하면서 발생하는 교구 분쟁 문제이다.[203] 러시아 정교회는 각지의 러시아인 공동체를 둘러싸고 이러한 문제를 겪고 있으며, 대부분 미해결 상태이다.[203]
2007년 5월 17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재외 러시아 정교회와 화해 협상을 통해 최종 합의 문서를 체결, 재외 러시아 정교회는 준자치 정교회 지위를 갖게 되었다.[204]
2018년, 우크라이나 정교회 문제[205][206]로 러시아 정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대립이 심화되어,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 단교를 선언했다. 모스크바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단교 나아가, 우크라이나 정교회(2018년 설립)를 승인한 여러 정교회와 단교하며 정교회 전체의 분열을 초래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총대주교 키릴 1세가 지지하면서, 암스테르담의 성 니콜라스 정교회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의 관계 단절을 선언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산하로 들어갈 것을 요청했다.[209][210]
러시아 정교회는 동방 가톨릭 교회와 복음주의를 포함한 개신교 선교와의 경쟁으로 인해 긴장 관계에 있다. 특히 이들은 자금이 풍부하여 러시아 정교회는 이들의 선교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212]
바티칸과는 오랫동안 긴장 관계에 있으며, 특히 우크라이나 동방 가톨릭 교회 문제로 우크라이나에서 현저한 대립을 보인다.[213] 북방 십자군과 같은 역사적 사건과 더불어, 동서 교회 화해를 선전하면서 포교를 확대하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정교회 신자들의 불신은 깊다. 이러한 이유로 상호 영성체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모스크바 총대주교와 로마 교황의 정상 회담도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교·추기경급의 교류는 이루어지고 있다. 요한 바오로 2세 서거 시에는 당시 러시아 정교회 대외 담당 국장이자 2인자였던 키릴 대주교가 조문을 왔으며, 2006년 5월에는 베네딕토 16세와 키릴 대주교가 회견을 가졌다.[214] 또한, 교황청 정의 평화 평의회 전 의장 로제 에치가라이 추기경이 교황의 이름으로 축사를 했고, 키릴 대주교는 이에 대해 함께 기도하고 대화·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로 답했다.[214]
러시아 혁명 이전까지 성공회와는 관계 심화 논의가 있었으나, 현재는 특별히 깊은 관계는 아니다. 한편, 2011년 5월, 러시아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대외관계 책임자인 볼로콜람스크의 힐라리온(Hilarion Alfeyev) 대주교는 정교회와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이 "낙태 반대, 가족, 결혼"과 같은 문제에 대해 동일한 입장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해 두 기독교 공동체 간의 활발한 풀뿌리 운동을 원한다고 말했다.[163]
현재 러시아 정교회는 예루살렘과 세계 여러 국가에 교회 사절단을 파견하고 있다.[165][166]
힐라리온 대주교는 또한 두 종교가 러시아에서 종교 전쟁을 한 적이 없기 때문에 이슬람교와 기독교 사이의 평화로운 공존이 가능하다고 믿는다.[164] 힐라리온 대주교는 러시아 정교회가 "무신론적 세속주의에 대해 일부 영역에서 매우 강하게 반대"하며 "인간 생명의 본질적인 무언가를 파괴한다고 믿는다"고 말했다.[164]
5. 1. 동방 정교회 내
러시아 정교회는 정교회 내에서 "정교의 분열"이라는 문제를 안고 있다.[203] 이는 현대에 들어 정교회가 토지가 아닌 각 민족 교회별로 관할권을 유지하면서 발생하는 교구 분쟁 문제이다.[203] 러시아 정교회는 각지의 러시아인 공동체를 둘러싸고 이러한 문제를 겪고 있으며, 대부분 미해결 상태이다.[203]
2007년 5월 17일,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재외 러시아 정교회와 화해 협상을 통해 최종 합의 문서를 체결, 재외 러시아 정교회는 준자치 정교회 지위를 갖게 되었다.[204]
2018년, 우크라이나 정교회 문제[205][206]로 러시아 정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의 대립이 심화되어, 모스크바 총대주교청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과 단교를 선언했다. 모스크바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단교 나아가, 우크라이나 정교회(2018년 설립)를 승인한 여러 정교회와 단교하며 정교회 전체의 분열을 초래했다.
2019년 현재, 러시아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및 우크라이나 정교회(2018년 설립)를 제외한 전 세계의 정교회와 완전한 친교(full communion) 관계에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총대주교 키릴 1세가 지지하면서, 암스테르담의 성 니콜라스 정교회는 모스크바 총대주교청과의 관계 단절을 선언하고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 산하로 들어갈 것을 요청했다.[209][210]
5. 2. 타 기독교 교파
러시아 정교회는 동방 가톨릭 교회와 복음주의를 포함한 프로테스탄트 선교와의 경쟁으로 인해 긴장 관계에 있다. 특히 이들은 자금이 풍부하여 러시아 정교회는 이들의 선교에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212]바티칸과는 오랫동안 긴장 관계에 있으며, 특히 우크라이나 동방 가톨릭 교회 문제로 우크라이나에서 현저한 대립을 보인다.[213] 북방 십자군과 같은 역사적 사건과 더불어, 동서 교회 화해를 선전하면서 포교를 확대하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 대한 정교회 신자들의 불신은 깊다. 이러한 이유로 상호 영성체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모스크바 총대주교와 로마 교황의 정상 회담도 아직 실현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교·추기경급의 교류는 이루어지고 있다. 요한 바오로 2세 서거 시에는 당시 러시아 정교회 대외 담당 국장이자 2인자였던 키릴 대주교가 조문을 왔으며, 2006년 5월에는 베네딕토 16세와 키릴 대주교가 회견을 가졌다.[214] 또한, 교황청 정의 평화 평의회 전 의장 로제 에치가라이 추기경이 교황의 이름으로 축사를 했고, 키릴 대주교는 이에 대해 함께 기도하고 대화·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말로 답했다.[214]
러시아 혁명 이전까지 성공회와는 관계 심화 논의가 있었으나, 현재는 특별히 깊은 관계는 아니다. 한편, 2011년 5월, 러시아 정교회 모스크바 총대주교청 대외관계 책임자인 볼로콜람스크의 힐라리온(Hilarion Alfeyev) 대주교는 정교회와 복음주의 기독교인들이 "낙태 반대, 가족, 결혼"과 같은 문제에 대해 동일한 입장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해 두 기독교 공동체 간의 활발한 풀뿌리 운동을 원한다고 말했다.[163]
6. 예배 및 관습
러시아 정교회의 예배는 비잔티움 전례를 따르며, 성가와 이콘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162] 이콘은 '쓰여진 복음'으로 간주되며, 제작과 사용에 있어 엄격한 전통과 규칙이 따른다.[162]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성 삼위일체 (약 1400년)와 같이, 일반적으로 나무에 그린 그림이며, 종종 작지만 교회나 수도원에 있는 일부 이콘은 훨씬 클 수 있다. 일부 러시아 이콘은 구리로 만들어졌다.[161] 러시아의 많은 종교 가정에서는 벽에 ''크라스니 우골''(krasny ugol, "붉은" 또는 "아름다운" 구석)에 이콘을 걸어 놓았다. 러시아 교회에서는 신랑석이 일반적으로 중앙에 두 개의 문이 있는 이콘 벽인 이코노스타시스(러시아어: иконостас)에 의해 성소와 분리되어 있다.[162]
러시아 정교회 종소리는 키예프 루스의 세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를 지닌 러시아 정교회 전통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정교회의 관례에 따라, 특정한 신앙의 영웅은 처음에는 지역 교회와 주교구 내에서 지역적 수준에서만 시성될 수 있다. 이러한 권리는 통치하는 수좌주교에게 있으며, 총대주교의 축복을 받을 때에만 가능합니다. 지역 주교구 신자들의 과제는 기적에 대한 묘사를 기록하고, 성인의 전기(행적기)를 작성하고, 이콘을 그리고, 성인이 시성되는 예배의 전례문을 작곡하는 것이다. 이 모든 것은 시성을 위한 시노드 위원회에 보내지며, 그곳에서 지역 신앙의 영웅을 시성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총대주교가 축복을 내리고 지역 수좌주교가 지역 차원에서 시성 행위를 수행한다. 그러나 성인을 기리는 전례문은 모든 교회 서적에 게재되는 것이 아니라 지역 출판물에만 게재된다. 마찬가지로, 이러한 성인들은 아직 전체 교회가 아니라 지역적으로만 시성되고 존경받고 있다. 성인의 영광이 주교구의 한계를 넘어설 때, 총대주교와 성 시노드는 교회 차원에서 그들의 시성 여부를 결정한다. 시노드의 지지와 총대주교의 축복을 받은 후, 전체 교회 규모에서 특정 성인의 영광 문제는 러시아 정교회 공의회에 심의를 위해 제출된다.
혁명 이후 시대와 1970년까지의 공산주의 박해 기간 동안에는 시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1970년, 성 시노드는 일본 선교사인 니콜라이 카사트킨(1836~1912)을 시성하기로 결정했다. 1977년에는 시베리아, 극동, 알류샨 열도, 알래스카, 모스크바의 대주교였던 모스크바의 성 이노켄티(1797~1879)도 시성되었다. 1978년에는 러시아 정교회가 하르키우의 멜레티우스를 위한 기도 순서를 만들었다고 선포되었는데, 이는 당시 가능한 유일한 방법이었기 때문에 사실상 그의 시성을 의미했다. 마찬가지로 다른 정교회의 성인들이 교회 달력에 추가되었다. 1962년에는 러시아의 성 요한, 1970년에는 알래스카의 성 허먼, 1993년에는 아토스 산의 장로인 실루안 아토스(1987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에 의해 이미 시성됨)가 추가되었다. 1980년대 러시아 정교회는 반세기 동안 중단되었던 시성 절차를 재개했다.
1989년, 성 시노드는 시성을 위한 시노드 위원회를 설립했다. 1990년 러시아 정교회 공의회는 20세기 공산주의 탄압으로 고통받은 새로운 순교자들의 시성을 위한 문서를 준비하도록 시성을 위한 시노드 위원회에 명령했다. 1991년에는 모든 주교구에 지역 문서를 수집하여 시노드 위원회에 보낼 지역 시성 위원회를 설립하기로 결정되었다. 그 임무는 지역 기록 보관소를 연구하고, 신자들의 기억을 수집하고, 순교자들에게 기도하는 것과 관련된 모든 기적을 기록하는 것이었다. 1992년 교회는 20세기 새로운 신앙의 순교자들을 기리는 날로 1월 25일을 지정했다. 이 날은 특별히 1918년 키예프의 대주교 블라디미르(보고야블렌스키)가 살해되어 교회 수좌주교들 중 공산주의 테러의 첫 번째 희생자가 된 날이기 때문에 선택되었다.
2000년 러시아 정교회 공의회에서 정교회 역사상 가장 큰 일반 시성이 이루어졌습니다. 성인의 수뿐만 아니라 이 시성에서 모든 알려지지 않은 성인들이 언급되었다는 점에서도 그러했습니다. 이름이 알려진 시성된 성인은 1,765명이었고,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하나님께 알려진" 다른 성인들도 있었다.[160]
7. 인물
키릴 1세는 현재 모스크바 총대주교이다. 일라리온 알페예프는 대외협력국장, 대주교, 신학자, 작곡가이다.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소련 붕괴 후 러시아의 정신적 지주로서 정교회를 자리매김하게 한 작가이다. 야마시타 린은 일본 최초의 여성 이콘 화가이다. 스기하라 지우네는 일본의 외교관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리투아니아에서 유대인 난민들에게 비자를 발급하여 생명을 구했다. 사와베 타쿠마는 일본 정교회의 첫 일본인 사제이다.
참조
[1]
웹사이트
Внутренняя жизнь и внешняя деятельность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с 2009 года по 2019 год
http://www.patriarch[...]
[2]
웹사이트
Доклад Святейшего Патриарха Кирилла на Епархиальном собрании г. Москвы (20 декабря 2019 года) / Патриарх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3]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Moscow Patriarchate)
https://www.oikoumen[...]
1961-01-01
[4]
웹사이트
The Baptism of Russia and Its Significance for Today
http://www.orthodox.[...]
2001-10-13
[5]
웹사이트
Life of the Apostle Andrew
http://www.chrysosto[...]
chrysostom.org
[6]
웹사이트
The Baptism of Ukraine and Its Significance for Today
http://www.orthodox.[...]
orthodox.clara.net
2001-10-13
[7]
웹사이트
Primacy and Synodality from an Orthodox Perspective
https://mospat.ru/en[...]
[8]
웹사이트
Religions in Russia: a New Framework
http://www.pravmir.c[...]
[9]
웹사이트
Number of Orthodox Church Members Shrinking in Russia, Islam on the Rise - Poll
http://www.pravmir.c[...]
[10]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 History & Facts
https://www.britanni[...]
2024-01-27
[11]
서적
The Atlas of Religion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07
[12]
웹사이트
I. Общие положения – Русская православная Церковь
http://www.patriarch[...]
[13]
웹사이트
Union Between Christians
https://www.unionbet[...]
[14]
학술지
Moscow the Third Rome: Sources of the Doctrine
1953
[15]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Blackwell Publishing
[16]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Orthodox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4-02-03
[17]
간행물
Yuri Kagramanov, The war of languages in Ukraine
http://magazines.rus[...]
2006-08-01
[18]
뉴스
РПЦ: вмешательство Константинополя в ситуацию на Украине может породить новые расколы
https://tass.ru/obsc[...]
[19]
웹사이트
Ecumenical Patriarch Takes Moscow Down a Peg Over Church Relations With Ukraine
https://orthodoxyind[...]
2018-07-02
[20]
웹사이트
Ecumenical Patriarch Bartholomew: "As the Mother Church, it is reasonable to desire the restoration of unity for the divided ecclesiastical body in Ukraine" (The Homily by Patriarch Bartholomew I of Constantinople after the memorial service for the late Metropolitan of Perge, Evangelos)
https://www.patriarc[...]
2018-07-02
[21]
웹사이트
«Передача» Киевской митрополии Московскому патриархату в 1686 году: канонический анализ
https://risu.ua/ru/p[...]
[22]
서적
Russia in the Age of Peter the Great
1998
[23]
웹사이트
The Russian Clergy. Translated from the French ... By C. Du Gard Makepeace
https://books.google[...]
1872-12-25
[24]
서적
Ishchushchie boga (Moscow, 1911); Russian Orthodoxy on the Eve of Revolution; Subversive Piety: Religion and the Political Crisis in Late Imperial Russia; Sacred Stories: Religion and Spirituality in Modern Russia
[25]
웹사이트
What role did the Orthodox Church play in the Reformation in the 16th Century?
http://www.stgeorgeg[...]
[26]
간행물
"The Church and the Russian Revolution"
https://archive.org/[...]
1917-08-01
[27]
웹사이트
Анафема св. патриарха Тихона против советской власти и призыв встать на борьбу за веру Христову
http://st-elizabet.n[...]
[28]
뉴스
Cross meets Kremlin
http://www.time.com/[...]
2001-06-24
[29]
서적
Father Arseny 1893–1973 Priest, Prisoner, Spiritual Father.
[30]
뉴스
Anti-Communist Priest Gheorghe Calciu-Dumitreasa
https://www.washingt[...]
2006-11-26
[31]
서적
The Russian Church and the Soviet State; The Russian Orthodox Church: A Contemporary History; The Russian Church Under the Soviet Regime 1917–1982; A History of Marxist–Leninist Atheism and Soviet Anti-Religious Policies; Power and the Sacred in Revolutionary Russia: Religious Activists in the Village; Storming the Heavens: The Soviet League of the Militant Godless; "Godless Communists": Atheism and Society in Soviet Russia; Red Priests: Renovationism, Russian Orthodoxy, and Revolution, 1905–1946
[32]
웹사이트
Historical and canonical reference for reasons making believers leave the Moscow patriarchate
http://www.ipc.od.ua[...]
[33]
웹사이트
The Moscow Patriarchate and Sergianism
http://www.orthodoxi[...]
[34]
웹사이트
The Visit of His Eminence Metropolitan Laurus to the Parishes of Argentina and Venezuela
http://www.russianor[...]
2004-12-11
[35]
웹사이트
Церковные Церковные Ведомости: Духовное наследие Катакомбной Церкви и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Заграницей - Patriarch Tikhon's Catacomb Church. History of the Russian True Orthodox Church
http://catacomb.org.[...]
[36]
서적
Everyday Stalinism: Ordinary Life in Extraordinary Times: Soviet Russia in the 1930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37]
웹사이트
Московський патріархат створювали агенти НКВС, – свідчать розсекречені СБУ документи
https://espreso.tv/n[...]
[38]
웹사이트
СБУ рассекретила архивы: московского патриарха в 1945 году избирали агенты НКГБ
https://www.znak.com[...]
2017-12-11
[39]
서적
Tsarist and Communist Russia 1855–1964
2015-04-30
[40]
간행물
Dissent in the Russian Orthodox Church
1969-10
[41]
뉴스
Fr Dmitry Dudko
https://www.independ[...]
2004-06-30
[42]
서적
Keston Institute and the Defence of Persecuted Christians in the USSR
[43]
논문
The Russian Orthodox Church and nationalism after 1988
https://biblicalstud[...]
1990-12
[44]
논문
The millennium celebrations of 1988 in the USSR
https://biblicalstud[...]
1988-12
[45]
뉴스
Born Again. Putin and Orthodox Church Cement Power in Russia
https://www.wsj.com/[...]
2007-12-18
[46]
웹사이트
Выписки из отчетов КГБ о работе с лидерами Московской патриархии
http://www.krotov.in[...]
2008-12-08
[47]
뉴스
Russian Patriarch 'was KGB spy
https://www.theguard[...]
1999-02-12
[48]
서적
The Mitrokhin Archive: The KGB in Europe and the West
Gardners Books
2000
[49]
서적
The State Within a State: The KGB and Its Hold on Russia – Past, Present, and Future
1994
[50]
웹사이트
Putin's Espionage Church
http://cicentre.com/[...]
2008-12-09
[51]
웹사이트
Confirmed: Russian Patriarch Worked with KGB, Catholic World News
http://www.cwnews.co[...]
2007-12-29
[52]
웹사이트
George Trofimoff Affidavit
http://cicentre.com/[...]
2008-06-27
[53]
웹사이트
Ириней (Зуземиль)
http://ortho-rus.ru/[...]
2007-11-09
[54]
서적
A Long Walk to Church: A Contemporary History of Russian Orthodoxy
Westview Press
1995
[55]
서적
A Long Walk to Church: A Contemporary History of Russian Orthodoxy
Westview Press
1995
[5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Abroad
http://orthodoxinfo.[...]
2007-12-31
[57]
뉴스
Русская церковь объединяет свыше 150 млн. верующих в более чем 60 странах – митрополит Иларион
Interfax.ru
2011-03-02
[58]
뉴스
Russia's church mourns patriarch
http://us.ft.com/ftg[...]
2008-12-05
[59]
웹사이트
The Basis of the Social Concept
http://www.mospat.ru[...]
2015-03-27
[60]
웹사이트
The Russian Orthodox Church's Basic Teaching on Human Dignity, Freedom and Rights
http://www.mospat.ru[...]
2015-03-27
[61]
간행물
Телеграмма Патриаха Алексия Патриаху Константинопольскому Варфоломею I от 23 февраля 1996
1996-03
[62]
웹사이트
No 130 (October 21, 2007) » Europaica Bulletin » OrthodoxEurope.org
http://orthodoxeurop[...]
[63]
웹사이트
Interfax-Religion
http://www.interfax-[...]
[64]
웹사이트
Progress in dialogue with Catholics, says Ecumenical Patriarchate new.asianews.it
http://new.asianews.[...]
2007-10-19
[65]
웹사이트
Ecumenical progress, Russian isolation, after Catholic-Orthodox talks
http://www.cwnews.co[...]
2007-10-19
[66]
뉴스
President Putin and the patriarchs
http://www.timesonli[...]
2008-01-11
[67]
웹사이트
Piety's Comeback as a Kremlin Virtue
http://www.cdi.org/r[...]
2008-12-11
[68]
뉴스
At Expense of All Others, Putin Picks a Church
https://www.nytimes.[...]
2008-04-24
[69]
웹사이트
Патриарх Алексий Второй: эпоха упущенных возможностей
http://portal-credo.[...]
RISU
2009-08-03
[70]
뉴스
Ветряные мельницы православия
http://kommersant.ru[...]
Kommersant
2008-12-15
[71]
웹사이트
Russia's church mourns patriarch
https://web.archive.[...]
2008-12-05
[72]
웹사이트
Общество – свежие и последние новости из жизни общества в мире и России, комментарии, интервью очевидцев
https://web.archive.[...]
[73]
기타
[74]
기타
[75]
뉴스
In Expanding Russian Influence, Faith Combines With Firepower
https://www.nytimes.[...]
2016-09-13
[76]
웹사이트
Стенограмма встречи председателя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Ф В.В. Путина со Святейшим Патриархом Кириллом и лидерами традиционных религиозных общин России / Статьи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77]
서적
The Role of Religion in Eastern Europe Today
https://books.google[...]
Springer
[78]
웹사이트
НОВЫЕ СТАРЫЕ СИМПТОМЫ – ReligioPolis –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ресурс Центра религиовед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https://web.archive.[...]
[79]
웹사이트
Борьба башен или неумеренный аппетит? Почему Путин избегает патриарха
https://web.archive.[...]
[80]
웹사이트
Из-за чего Путин сторонится патриарха: "Собеседник" узнал, за что Кирилл попал в опалу
https://web.archive.[...]
[81]
뉴스
Ukrainian Question Divides Orthodox World
https://themoscowtim[...]
2016-06-30
[82]
웹사이트
Священный Синод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признал невозможным дальнейшее пребывание в евхаристическом общении с Константинопольским Патриархатом / Новости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83]
웹사이트
ЖУРНАЛЫ заседания Священного Синода от 15 октября 2018 года / Официальные документы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84]
웹사이트
Οικουμενικό Πατριαρχείο
https://ec-patr.org/
[85]
뉴스
Archbishop's defiance threatens Putin's vision of Russian greatness
https://www.theguard[...]
2018-10-14
[86]
뉴스
Putin Is the Biggest Loser of Orthodox Schism
https://www.bloomber[...]
2018-10-13
[87]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Breaks Ties With Constantinople Patriarchate
https://www.rferl.or[...]
RFERL
[88]
뉴스
Russian Church breaks with Orthodox body
https://www.bbc.com/[...]
2018-10-16
[89]
웹사이트
ЖУРНАЛЫ заседания Священного Синода от 28 декабря 2018 года / Официальные документы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90]
뉴스
Ukraine's President Signs Law Forcing Russia-Affiliated Church To Change Name
https://www.rferl.or[...]
2018-12-22
[91]
뉴스
Poroshenko signs law on Ukrainian Orthodox Church renaming
http://tass.com/soci[...]
2018-12-22
[92]
웹사이트
Supreme Court of Ukraine rules in favor of Moscow Patriarchate
https://www.unian.in[...]
[93]
뉴스
Statement of the Holy Synod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19-10-17
[94]
뉴스
Патриарх Кирилл впервые не помянул главу Элладской церкви в богослужении: Священный синод РПЦ ранее постановил прекратить молитвенное общение с иерархами ЭПЦ
https://tass.ru/obsc[...]
2018-11-03
[95]
뉴스
Church of Greece calmly monitors the actions of Moscow
https://orthodoxtime[...]
2019-11-04
[96]
웹사이트
Patriarch Kirill to cease liturgical commemoration of Patriarch of Alexandria – Moscow Patriarchate spokesman
https://web.archive.[...]
2019-11-08
[97]
웹사이트
РПЦ считает невозможным дальнейшее поминовение Александрийского патриарха
http://www.interfax-[...]
2019-11-08
[98]
웹사이트
Patriarchate of Alexandria recognizes Autocephalous Church of Ukraine (upd)
https://orthodoxtime[...]
2019-11-08
[99]
웹사이트
Russian Church has established a day of remembrance for the victims of repression
http://www.interfax-[...]
2021-09-27
[100]
웹사이트
ЖУРНАЛЫ заседания Священного Синода от 23–24 сентября 2021 года / Официальные документы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101]
뉴스
Moscow and Ukrainian Orthodox leaders call for peace – but define it differently
https://religionnews[...]
2022-02-24
[102]
웹사이트
Metropolitan Onufriy: Russia has started military actions against Ukraine, pray for the army and the people
https://orthodoxtime[...]
[103]
웹사이트
How is Russia-Ukraine war linked to religion?
https://apnews.com/a[...]
2022-02-27
[104]
뉴스
'I'm shocked by my church leaders in Moscow' – priest in Ukraine
https://www.bbc.co.u[...]
2022-04-15
[105]
뉴스
Russian Orthodox Patriarch Kirill's support for Putin's Ukraine war has fractured his church
https://theweek.com/[...]
2022-04-19
[106]
뉴스
The Latvian Orthodox Church condemns the war in Ukraine
https://baltics.news[...]
2022-03-07
[107]
뉴스
Russian Orthodox priest arrested for anti-war stance
https://cruxnow.com/[...]
2022-03-10
[108]
뉴스
Russian Priest Defends Calling Ukraine Conflict a 'War' After $330 Fine
https://www.newsweek[...]
2022-03-19
[109]
뉴스
Ukraine war: Russians grieve for fallen soldiers
https://www.bbc.com/[...]
2022-03-17
[110]
뉴스
'Those who unleashed aggression won't be in heaven' St. Petersburg priest faces criminal charges for condemning Russia's war against Ukraine
https://meduza.io/en[...]
2022-06-13
[111]
뉴스
Russian priest under investigation after criticising military
https://cne.news/art[...]
2022-07-13
[112]
뉴스
Russian Orthodox Priest In Kazakhstan Forced Out Over Anti-War Stance
https://www.rferl.or[...]
2023-06-26
[113]
뉴스
'Nothing to be afraid of': How Father Grigory became Russia's most prominent anti-war priest
https://www.euronews[...]
2023-01-14
[114]
뉴스
Kirill's provocative statement: Russia has never attacked anyone
https://orthodoxtime[...]
2022-05-04
[115]
간행물
The Orthodox Response to Putin's Invasion
https://www.commonwe[...]
2022-02-27
[116]
뉴스
Russia increases censorship with new law: 15 years in jail for calling Ukraine invasion a 'war'
https://www.usatoday[...]
[117]
뉴스
Патріарх Кирило благословив війська РФ на війну проти України. Як це сталось
https://www.bbc.com/[...]
[118]
뉴스
After supporting Ukraine invasion, Russia's Patriarch Kirill criticized worldwide
https://www.ncronlin[...]
2022-03-15
[119]
뉴스
Russian Orthodox Church alleges gay pride parades were part of the reason for Ukraine war
https://edition.cnn.[...]
2022-03-08
[120]
뉴스
Russia's Patriarch Kirill defends invasion of Ukraine, stoking Orthodox tensions
https://www.ncronlin[...]
2022-03-08
[121]
뉴스
The pro-Putin preacher the U.S. won't touch
https://www.politico[...]
Politico
2022-06-22
[122]
웹사이트
Патриаршая проповедь в Неделю сыропустную после Литургии в Храме Христа Спасителя / Патриарх / Патриархия.ru
http://www.patriarch[...]
[123]
뉴스
The Russian Patriarch Just Gave His Most Dangerous Speech Yet — And Almost No One In the West Has Noticed
https://religiondisp[...]
Religion Dispatches
2022-04-04
[124]
웹사이트
Patriarchal Sermon on Wednesday of the First Week of Great Lent after the Liturgy of the Presanctified Gifts at the Cathedral of Christ the Savior
http://www.patriarch[...]
2022-03-09
[125]
웹사이트
To Acting Secretar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Archpriest John Sauca
https://www.oikoumen[...]
2022-03-10
[126]
웹사이트
Response by H.H. Patriarch Kirill of Moscow to Rev. Prof. Dr Ioan Sauca
https://www.oikoumen[...]
[127]
웹사이트
Exclusive {{!}} Pope Francis: "I am ready to meet Putin in Moscow"
https://www.corriere[...]
2022-03-05
[128]
웹사이트
Report: EU commission proposes sanctions against Patriarch Kirill
https://www.catholic[...]
[129]
웹사이트
With war in Ukraine, Pope Francis' years long outreach to Kirill appears to be in ruins
https://religionnews[...]
2022-03-10
[130]
웹사이트
Expel Russian Orthodox from WCC says Rowan Williams
https://www.thetable[...]
2022-04-04
[131]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in Amsterdam announces split with Moscow
https://www.theguard[...]
2022-03-13
[132]
웹사이트
Orthodox Church of Lithuania to seek independence from Moscow
https://orthodoxtime[...]
[133]
웹사이트
About 200 priests of the UOC-MP demand International Ecclesiastical Tribunal for Kiril
https://risu.ua/en/i[...]
[134]
뉴스
Pressure on Kirill intensifies – 400 priests call for condemnation by world Orthodoxy
https://orthodoxtime[...]
2022-04-14
[135]
뉴스
Patriarch Kirill 'Understands' Ukraine Church Schism
https://www.themosco[...]
2022-05-29
[136]
웹사이트
Resolution of the Council of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of May 27, 2022
https://news.church.[...]
2022-05-27
[137]
웹사이트
Ukraine hunts collaborators in its divided church
https://www.politico[...]
2022-12-09
[138]
웹사이트
The Russian Orthodox Church does not recognize the independence of Ukraine or the independence of the UOC
https://www.radiosvo[...]
2023-01-04
[138]
웹사이트
The Charter of the UOC does not contain any provisions that could even hint at the connection with Moscow — the Head of the Legal Department
https://news.church.[...]
2022-12-31
[138]
웹사이트
The UOC priest protested his inclusion in the ROC Publishing Council
https://news.church.[...]
2022-12-31
[139]
뉴스
Top Vatican prelate calls Russian patriarch's defense of Ukraine war 'heresy'
https://cruxnow.com/[...]
2022-06-30
[140]
뉴스
Putin's top priest tells Russians not to fear death amid mobilization
https://www.newsweek[...]
2022-09-23
[141]
웹사이트
Russia's Last Crusade
https://www.asianews[...]
2022-09-24
[142]
웹사이트
Kirill de Moscú sigue llamando a la guerra santa: "Este sacrificio lava todos los pecados"
https://www.eldebate[...]
2022-09-23
[143]
웹사이트
Praying for Putin: Spies in Cassocks Threaten the West
https://cepa.org/art[...]
2023-10-31
[144]
웹사이트
Patriarch Bartholomew firmly denied the possibility of "reconsidering" the granting of autocephaly to the Church of Ukraine
https://risu.ua/en/p[...]
2023-09-03
[145]
뉴스
Russian Orthodox priest faces expulsion for refusing to pray for victory over Ukraine
https://www.theguard[...]
2024-01-14
[146]
웹사이트
Ukraine Is Now 'Holy War,' Russian Church Declares
https://www.newsweek[...]
2024-03-28
[146]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calls invasion of Ukraine "holy war", Ukrainian church reacts
https://www.pravda.c[...]
2024-03-28
[147]
웹사이트
Ukrainian Lawmakers Approve Law Banning Religious Groups Tied To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www.rferl.or[...]
2024-08-20
[148]
웹사이트
Ukraine's parliament passes law banning Russian Orthodox Church
https://news.liga.ne[...]
2024-08-20
[149]
웹사이트
Ukrainian Parliament bans Russian-linked religious organizations, targets UOC-MP
https://english.nv.u[...]
2024-08-20
[150]
웹사이트
Parliament passes law banning religious organisations linked to Russia
https://www.pravda.c[...]
2024-08-20
[151]
웹사이트
The Ukrainian Parliament supported the draft law on banning the UOC MP
https://babel.ua/en/[...]
2024-08-20
[152]
웹사이트
Russia set to escalate fight against Ukrainian Orthodox independence in 2020
https://www.atlantic[...]
2020-01-03
[153]
간행물
Defender of the faith? How Ukraine’s Orthodox split threatens Russia
https://ecfr.eu/publ[...]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2019-05-30
[154]
웹사이트
A History and Introduction of the Orthodox Church in America
https://www.oca.org/[...]
[155]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Church Abroad (ROCA), Synod of Bishops
http://sinod.ruschur[...]
Sinod.ruschurchabroad.org
2010-01-25
[156]
웹사이트
The Russian Orthodox Church Outside Russia – Official Website
http://www.russianor[...]
2015-03-05
[157]
웹사이트
Білоруська православна церква хоче автономії від Москви | Українська правда
http://www.pravda.co[...]
2014-12-19
[158]
웹사이트
Belarusian Orthodox Church Seeks More Independence from Russia
http://belarusdigest[...]
2016-02-20
[159]
뉴스
The Russian Orthodox Church does not recognize the independence of Ukraine or the independence of the UOC
https://www.radiosvo[...]
2023-01-04
[159]
뉴스
The Charter of the UOC does not contain any provisions that could even hint at the connection with Moscow – the Head of the Legal Department
https://news.church.[...]
2022-12-31
[159]
뉴스
The UOC priest protested his inclusion in the ROC Publishing Council
https://news.church.[...]
2022-12-31
[160]
웹사이트
THE CANONIZATION OF THE NEW MARTYRS BY THE COUNCIL OF BISHOPS OF THE RUSSIAN ORTHODOX CHURCH OUTSIDE OF RUSSIA IN 1981. HOW IT HAPPENED
https://synod.com/sy[...]
2023-02-12
[161]
서적
Russian Copper Icons and Crosses From the Kunz Collection: Castings of Faith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62]
서적
Russian Icons
Rizzoli Publications
[163]
간행물
From Russia, with Love
http://www.christian[...]
2007-12-31
[164]
간행물
From Russia, with Love
http://www.christian[...]
2007-12-31
[165]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Mission in Haiti – Home
http://www.orthodoxh[...]
2015-03-05
[166]
웹사이트
The Russian Orthodox Church Outside Russia – Official Website
http://www.synod.com[...]
2015-03-05
[167]
기타
[168]
웹사이트
BBC - Religions - Christianity: Eastern Orthodox Church
https://www.bbc.co.u[...]
[169]
웹사이트
Документ не найден - "Интерфакс"
https://www.interfax[...]
[170]
웹사이트
Опубликована подробная сравнительная статистика религиозности в России и Польше, Religare.ru 6 June 2007
http://www.religare.[...]
2008-12-08
[171]
웹사이트
Большинство, напоминающее меньшинство
https://www.gazeta.r[...]
[172]
서적
Ethnic Groups of Europ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
[173]
서적
Becoming Muslim in Imperial Russia: Conversion, Apostasy, and Literacy
http://worldcat.org/[...]
Cornell University Press
2017
[174]
웹사이트
Religions in Russia: a New Framework : A Russian Orthodox Church Website
http://www.pravmir.c[...]
Pravmir.com
2012-12-22
[175]
웹사이트
Number of Orthodox Church Members Shrinking in Russia, Islam on the Rise – Poll : A Russian Orthodox Church Website
http://www.pravmir.c[...]
2012-12-18
[176]
웹사이트
Eastern and Western Europeans Differ on Importance of Religion, Views of Minorities, and Key Social Issues
https://www.pewresea[...]
2018-10-29
[177]
웹사이트
Великий пост — 2021
https://wciom.ru/ana[...]
Levada Center
2021-04-21
[178]
일반
[179]
일반
[180]
일반
[181]
일반
[182]
일반
[183]
웹사이트
OCA - Q&A - Greek Orthodox and Russian Orthodox
http://oca.org/quest[...]
[184]
웹사이트
正教会ってギリシャ正教会とロシア正教会ですよね?(よくある質問・誤解に答えます): 神田御茶ノ水草子
http://kliment.cocol[...]
2021-04
[185]
웹사이트
正教会関係の術語につき、よくある間違い解説: 神田御茶ノ水草子
http://kliment.cocol[...]
2021-04
[186]
웹사이트
ニコライ堂はロシア正教なんですよね?(よくある質問・誤解に答えます): 神田御茶ノ水草子
http://kliment.cocol[...]
2021-04
[187]
웹사이트
『ギリシャ正教』『東方正教会』の別称について教えて下さい
http://www.geocities[...]
[188]
뉴스
川村カオリさん死去、38歳がん闘病の末
https://www.nikkansp[...]
2009-07-29
[189]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Wiley-Blackwell
2001-12-05
[190]
서적
ソビエトとロシア
講談社現代新書
1989
[191]
서적
2004
[192]
서적
ソビエトとロシア
講談社現代新書
1989
[193]
서적
2004
[194]
서적
2004
[195]
서적
自壊する帝国
新潮社
[196]
웹사이트
RECONSTRUCTION_(1990-2000)
http://www.xxc.ru/en[...]
[197]
웹사이트
Politics in Orthodox Christianity
http://users.auth.gr[...]
[198]
웹사이트
Справедливость – духовная категория |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портал партии Справедливая Россия
http://www.spravedli[...]
2021-04-13
[199]
웹사이트
В Госдуме состоялась дискуссия представителей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и депутатов фракции «Справедливая Россия»
http://www.patriarch[...]
[200]
웹사이트
Russians want Church out of politics
http://rt.com/politi[...]
[201]
뉴스
Moscow Patriarchate tells Russian troops: “Your task is to wipe the Ukrainian nation off the face of the earth”
https://euromaidanpr[...]
Euromaidan Press
[202]
뉴스
狂ったプーチン、軍事侵攻の目的は「非ナチ化」から「悪魔祓い」に
https://www.newsweek[...]
ニューズウィーク日本版
2022-10-27
[203]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Wiley-Blackwell
2001-12-05
[204]
뉴스
ROCOR head named in Russian Church prayer for first time
http://www.interfax-[...]
2007-05-17
[205]
서적
"The Blackwell Dictionary of Eastern Christianity"
Wiley-Blackwell
2001-12-05
[206]
서적
2004
[207]
웹사이트
https://twitter.com/oostveenm/status/1501303089797685252
https://twitter.com/[...]
[208]
뉴스
"Молчанием предается Бог". Как в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реагируют на войну
https://www.bbc.com/[...]
2022-03-22
[209]
뉴스
焦点:ウクライナ侵攻による正教会の混乱、孤立するロシア総主教
https://jp.reuters.c[...]
2022-03-19
[210]
웹사이트
Russian Orthodox parishes in Europe pressured from both sides as war rages in Ukraine
https://religionnews[...]
2022-03-14
[211]
웹사이트
«Нельзя, чтобы религиозное подчинялось земному» О разрыве Амстердамской церкви с РПЦ и конфликте внутри православия из-за войны в Украине говорит священник русского прихода в Амстердаме Хилдо Бос
https://novayagazeta[...]
2022-05-26
[212]
서적
川又(2004: 173 - 180)
2004
[213]
웹사이트
世界キリスト教情報 2006/12/11号
http://theology.dosh[...]
2021-04-13
[214]
웹사이트
教皇、ロシア正教会のキリル府主教と会見
http://www.radiovati[...]
2021-04-13
[215]
웹사이트
日本正教会 The Orthodox Church in Japan
http://www.orthodoxj[...]
[216]
서적
牛丸(1978: 120-125)
1978
[217]
서적
牛丸(1978: 131-135)
1978
[218]
서적
牛丸(1978: 143-149)
1978
[219]
서적
牛丸(1978: 155-158)
1978
[220]
웹사이트
Подворье Русской Православной Церкви в Японии(ロシア正教会駐日ポドヴォリエ)
http://www.sam.hi-ho[...]
[221]
웹인용
The Baptism of Russia and Its Significance for Today
http://www.orthodox.[...]
2007-07-12
[222]
웹인용
Life of the Apostle Andrew
http://www.chrysosto[...]
chrysostom.org
2007-07-12
[223]
웹인용
The Baptism of Ukraine and Its Significance for Today
http://www.orthodox.[...]
orthodox.clara.net
2007-07-12
[224]
뉴스
소련과 사회주의 국가의 종교탄압
https://www.rfa.org/[...]
자유아시아방송
2018-07-10
[225]
뉴스
Russian Orthodox Church elects 16th patriarch
http://www.latimes.c[...]
Los Angeles Tim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