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케다 노부시게 (139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케다 노부시게(1390년)는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으로, 아키 다케다 씨의 당주이다. 1422년 아키 사토군의 수호에 임명되었으며, 1430년에는 안난군과 야마가타군 수호도 겸임하여 아키 중앙부를 영유했다. 1431년 오우치 모리미 토벌에 대한 막부의 출진 명령에 불응하고 규슈로 향하기도 했으며, 야마토 에이쿄의 난에도 참여했다. 1440년에는 아들 노부히데가 잇시키 요시쓰라를 토벌했으나 사망하면서 차남 노부카타에게 가독을 물려주었다. 오우치 씨와의 분쟁을 겪었으며, 1465년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키 다케다씨 - 안코쿠지 에케이
    안코쿠지 에케이는 아키 다케다씨 출신으로 모리 씨의 외교를 담당하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급부상을 예측하고 귀순을 중재, 이요 국에서 6만 석의 영지를 받았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하여 처형당한 승려이자 정치적 수완가이다.
  • 1390년 출생 - 장 뷔로
    15세기 프랑스의 포병 전문가이자 군사 지도자, 행정가였던 장 뷔로는 샤를 7세 휘하에서 백년전쟁의 프랑스 승리에 기여하고 여러 공성전과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행정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낸 인물이다.
  • 1390년 출생 - 존 던스터블
    존 던스터블은 15세기 초 잉글랜드의 작곡가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르네상스 음악 발전에 기여했고 1453년에 사망했다.
  • 1465년 사망 - 이순지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천문학자, 역법학자인 이순지는 세종의 신임을 받아 《칠정산내편》과 《칠정산외편》을 완성하여 조선의 독자적인 역법 체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으며, 다양한 관직을 역임하고 천문학 관련 저술을 남겼다.
  • 1465년 사망 - 희령군
    희령군은 조선 태종의 열 번째 아들로, 이름은 타이며, 1433년에 군에 봉해졌고, 어린 나이에 사망하여 세조가 예장으로 장례를 치르도록 명할 정도로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다케다 노부시게 (139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족아키 다케다씨
이름다케다 노부시게
원어 이름武田信繁
가몬Japanese Crest Takeda Hisi.svg
생애
시대무로마치 시대
출생겐추 7년 / 메이토쿠 원년(1390년)
사망간쇼 6년 음력 11월 1일(1465년 11월 28일)
계명간센인덴 조코 닛산 다이코지 (寛泉院殿長光日山大居士)
관위종사위하
막부무로마치 막부 슈고
형제형: 노부모리(信守)
자녀노부히데(信栄), 노부카타(信賢), 구니노부(国信), 모토쓰나(元綱) 등
정치 경력
재임 시작1422년?
재임 종료1440년
전임다케다 노부모리
후임다케다 노부카타
관직
관위종오위하, 종사위하, 무쓰노카미, 지부쇼유, 이즈노카미, 다이젠다이부

2. 생애

오에이 29년(1422년) 아키 사토군 수호에 임명된 것을 시작으로, 에이쿄 2년(1430년)에는 안난군・야마가타군 수호도 겸임하며 아키 지역에서 세력을 확장했다.

무로마치 막부의 명령에 따라 규슈로 출진하기도 했지만, 독자적인 행동으로 막부와 갈등을 겪기도 했다. 아시카가 요시노리에게 무단 귀국을 책망받았으나, 호소카와 모치유키의 중재로 용서받았다.

아들 노부히데가 잇시키 요시쓰라를 토벌하는 공을 세웠지만, 노부히데는 곧 사망했고, 차남 노부카타가 가독을 이었다. 노부카타가 와카사 경영에 집중하는 동안, 노부시게는 계속해서 아키 지역을 다스렸다.

오우치 씨와의 갈등이 지속되어 여러 차례 전투를 벌였으며, 간쇼 6년(1465년) 11월 1일에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가독 상속과 초기 활동

오에이 29년(1422년), 종5위하에 서임되고 아키 사토군 수호에 임명되어 이 즈음부터 가독을 계승한 것으로 여겨진다. 에이쿄 2년(1430년)에는 안난군・야마가타군 수호도 겸임하여, 아키 일국은 아니었지만 중앙부를 영유하는 분군 수호가 되었다.

에이쿄 3년(1431년), 스오나가토 수호 오우치 모리미가 쇼니 미쓰사다・오토모 모치나오에게 토벌당하자, 무로마치 막부 6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는 아키 고쿠진들에게 출진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노부시게와 막부 호코슈고바야카와 노리히라는 아키 수호 야마나 도키히로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고, 요시노리의 직접 명령으로 이듬해인 에이쿄 4년(1432년)에 적자 노부히데를 데리고 규슈로 향했다. 이는 아키 다케다 씨가 토자마슈의 격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수호의 직접적인 지휘를 받는 입장이 아니었음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에이쿄 5년(1433년) 무단으로 귀국한 것을 요시노리에게 책망받았으나, 간레이호소카와 모치유키의 중재로 용서받았다. 에이쿄 9년(1437년) 야마토 에이쿄의 난에서도 아키의 군세를 이끌고 야마토로 출진했다.

2. 2. 무로마치 막부와의 관계

에이쿄 3년(1431년), 스오나가토 수호 오우치 모리미가 쇼니 미쓰사다・오토모 모치나오에게 토벌당하자, 무로마치 막부 6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는 아키 고쿠진들에게 출진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노부시게와 막부 호코슈 고바야카와 노리히라는 아키 수호 야마나 도키히로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고, 이에 요시노리는 직접 명령을 내려 이듬해인 1432년에 적자 노부히데를 데리고 규슈로 향하게 했다. 이는 아키 다케다 씨가 토자마슈의 격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수호의 직접적인 지휘를 받는 입장이 아니었음을 나타낸다고 여겨진다.

1433년에 무단으로 귀국한 것을 아시카가 요시노리에게 책망받았으나, 간레이 호소카와 모치유키의 중재로 용서받았다. 1437년의 야마토 에이쿄의 난에서도 아키의 군세를 이끌고 야마토로 출진했다.

2. 3. 잇시키 요시쓰라 토벌과 아들들의 활약

에이쿄 12년(1440년), 노부시게의 장남 노부히데는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밀명을 받아 5월에 와카사 수호 잇시키 요시쓰라를 토벌했으나, 같은 해 7월에 사망했다. 이로 인해 노부시게는 차남 노부카타에게 가독과 아키 분군 수호직을 물려주었다. 노부히데의 공적 덕분에 노부카타는 와카사 수호직에도 임명되었으나, 와카사 경영에 전념했기 때문에 노부시게가 계속 아키 분군을 다스렸다.

2. 4. 오우치 가문과의 갈등

에이쿄 3년(1431년), 스오나가토 수호 오우치 모리미가 쇼니 미쓰사다・오토모 모치나오에게 토벌당하자, 무로마치 막부 6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는 아키 고쿠진들에게 출진 명령을 내렸으나, 노부시게는 아키 수호 야마나 도키히로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

분안 4년(1447년), 아키 동부 히가시조(현재의 히가시히로시마시)를 영유하고 있던 오우치 씨가 아키에 침공하여 아키 다케다 군과 오우치 군이 충돌하였다. 초로쿠 원년(1457년) 3월, 이쓰쿠시마 신사 신주 사에키 지카하루가 노부시게와의 영지 문제로 장인 오우치 노리히로에게 의지했기 때문에 노리히로가 아키에 재침공하여 거성 사토긴잔성과 고이성이 공격받았으나, 막부의 명령을 받은 모리 히로모토・고바야카와 히라히라・요시카와 유키쓰네 등의 구원으로 함락은 면했다.

간쇼 2년(1461년), 막부로부터 노리히로를 대신하여 히가시조를 받았지만, 이에 반발한 노리히로・히라가 히로무네・고바야카와 모리카게 등이 히가시조에 출진, 호소카와 가쓰모토의 지지를 받은 고바야카와 히라히라와 함께 오우치 군과 싸웠다.

2. 5. 사망

応永일본어 12년(1440년), 아들 노부히데가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밀명을 받고 와카사 수호 잇시키 요시쓰라를 토벌했으나 같은 해 7월에 사망하였다. 노부시게는 차남 노부카타에게 가독과 아키 분군 수호직을 물려주었지만, 노부히데의 공적으로 노부카타는 와카사 수호직에도 임명되었다. 노부카타는 와카사 통치에 힘을 쏟았기 때문에, 노부카타를 대신해 노부시게가 계속 아키 분군을 다스렸다.

오우치 씨가 분안 4년(1447년)에 아키에 침공하여 아키 다케다 군과 오우치 군이 충돌하였다. 초로쿠 원년(1457년) 3월에는 이쓰쿠시마 신사 신주 사에키 지카하루가 노부시게와의 영지 문제로 장인 오우치 노리히로에게 의지하자, 노리히로가 아키에 재침공하여 거성 사토긴잔성과 고이성이 공격받았지만, 막부의 명령을 받은 모리 히로모토, 고바야카와 히라히라, 요시카와 유키쓰네 등의 지원으로 함락을 면했다.

간쇼 2년(1461년)에는 막부로부터 노리히로를 대신하여 히가시조를 받았지만, 이에 반발한 노리히로, 히라가 히로무네, 고바야카와 모리카게 등이 히가시조에 출진하여, 호소카와 가쓰모토의 지지를 받은 고바야카와 히라히라와 함께 오우치 군과 싸웠다.

간쇼 6년(1465년) 11월 1일에 사망하였다. 향년 76세. 노부시게의 사후에는 모토쓰나가 아키 분군의 지배를 계승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