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카사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카사국은 과거 일본의 행정 구역으로, 현재의 후쿠이현 남부에 해당한다. 7세기 후반에 와카사국과 와카사국으로 표기되었으며, 나라 시대에는 수도에 소금과 해산물을 공급하는 미케쓰쿠니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헤이안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교토의 외항으로 발전했으며, 가마쿠라 시대에는 호조씨가 슈고직을 맡았다. 센고쿠 시대를 거쳐 에도 시대에는 오바마 번이 설치되었고, 메이지 유신 이후 폐번치현을 거쳐 현재의 행정 구역으로 재편되었다. 와카사 만에는 원자력 발전소가 건설되어 '원전 긴자'로 불리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와카사국 - 오바마성 (후쿠이현)
오바마성은 와카사국 오바마 지역을 다스린 가문들의 거점이었으며, 강을 해자로 삼아 자연 방어에 유리한 해상성 형태를 갖추었고, 현재는 오바마 신사와 일부 해자, 성벽이 남아 후쿠이현 지정 사적으로 관리된다. - 호쿠리쿠도 - 사도국
사도국은 7세기 후반 일본 니가타현 사도섬에 설치된 행정 구역으로, 여러 군으로 구성되어 에치고국에 병합되기도 하고 독립하기도 하였으며, 막부 시대에는 수호가 파견되는 등 다양한 시설과 관직이 존재했다. - 호쿠리쿠도 - 에치고국
에치고국은 7세기 후반에 설치되어 현재의 니가타현 대부분을 포함했던 고대 일본의 국으로, 영토 확장과 여러 지배 세력의 변화를 거쳐 에도 시대에는 교통 요충지로 번성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니가타현으로 통합되었다. - 후쿠이현의 역사 - 마에다 도시이에
마에다 도시에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 활약한 일본의 무장이자 다이묘로, 오다 노부나가 휘하에서 이름을 알리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천하 통일 사업에 참여하여 가가번을 기반으로 백만 석의 영지를 얻었으며,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후견인으로서 도요토미 정권의 중신으로 활동했다. - 후쿠이현의 역사 - 야마우치 가즈토요
야마우치 가즈토요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에 걸쳐 활약한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섬기며 도사국을 얻어 다이묘가 되었고, 고치성을 축조하고 가다랑어 타다키의 유래를 만들었으며 20만 석의 영주가 되었으나 자식 없이 사망했다.
와카사국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와카사 국 |
로마자 표기 | Wakasa-no-kuni |
별칭 | 약슈 |
국가 | 일본 |
위치 | 후쿠이현 남부 (레이난 지역)에서 쓰루가시를 제외한 부분 |
수도 | 오바마 |
좌표 | 36°30′N 135°45′E |
역사 | |
설립 | 701년 |
설립 사건 | 율령 체제 |
폐지 | 1871년 |
정치 | |
정치 체제 | 영제국 |
행정 구역 | |
군 | 3군 20향 |
오늘날 | 후쿠이현 |
문화 | |
국부 | 오바마시 |
국분사 | 와카사 국분사 (후쿠이현 오바마시) |
국분니사 | (미상) |
일궁 | 와카사히코 신사 (후쿠이현 오바마시) |
기타 | |
소속 | 호쿠리쿠도 |
국력 | 중국 |
거리 | 긴고쿠 |
2. 연혁
- 1871년(메이지 4년)
- * 7월 14일 (1871년8월 29일) - 폐번치현에 의해 소하마현이 설치되었다.
- * 11월 20일 (1871년12월 31일) - 제1차 부현 통합에 의해 쓰루가현에 편입되었다.
- 1876년(메이지 8년) 8월 21일 - 제2차 부현 통합에 의해 시가현에 편입되었다.
- 1881년(메이지 14년) 2월 7일 - 후쿠이현이 설치되면서 후쿠이현의 관할이 되었다.
2. 1. 고대
4세기 후반, 야마토 왕권(ヤマト王權)의 지배하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7세기 율령제 하에서 와카사국이 성립될 당시에는 오뉴 군(遠敷郡)과 미카타 군(三方郡)으로 이루어졌지만, 덴초(天長) 2년(825년) 7월 10일에 오뉴 군의 서부가 오이 군(大飯郡)으로서 독립하면서 3개 군이 되었다. 농경을 위한 전답이 적은 장소가 구니의 단위로서 성립된 것은 당시 이들 지역이 가진 특수성을 보여주고 있다.
나라 시대 야마토 왕권의 동해(東海) 쪽 입구로서 와카사는 시마국이나 아와지국과 더불어 천황가와 조정이 소비하는 해산물을 조정에 주로 공급하는 ‘미케쓰쿠니’(御食國)에 해당되었다고 추정된다. 조(調)·용(庸)으로서 소금을 바치도록 규정되어 있었으며[11], 8세기에는 제염이 특히 번성했다. 8세기 이후에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제염 시설이 옛 오오이 군이었던 후나오카(船岡) ・ 오카쓰(岡津) 유적에서 발견되는데, 이들 제염 시설은 현지 주민들이 쓰기 위한 소금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시설이라기보다 당시 권력에 의한 강제적인 징발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소금을 당시 수도로 운반할 것을 지시한 목간이 1990년대까지 129점이 출토되었는데, 이 중 와카사 국이 가장 많은 49점으로 전체 목간의 38%를 차지하고 있다.[5]
나라의 도다이지(東大寺)에서 실시되는 물 긷기 의식인 ‘수이회’는 도다이지가 오바마시(小浜)에 가지고 있던 장원에서 유래한 제의이다. 헤이안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와카사 지방은 교토의 외항(外港)으로서 발전하였다.
2. 2. 중세
가마쿠라 시대에는 싯켄(섭정) 호조씨가 와카사의 슈고(수호)를 맡았다. 호조 씨가 멸망한 뒤에는 쇼군(장군) 아시카가씨의 분가 중 가장 유력했던 시바씨 등 무로마치 막부의 실력자나 그와 가까운 인물이 교토와 가까운 와카사의 슈고직을 맡았다.무로마치 초기 잇시키 노리미쓰 이후 잇시키씨가 와카사의 슈고를 세습했고, 잇시키 요시쓰라 살해 뒤에는 아키 슈고 아키 다케다씨의 분파인 와카사 다케다씨가 와카사의 슈고 직을 차지하고, 단고국으로 거점을 옮긴 잇시키 씨와 단고의 슈고 직을 놓고 경쟁을 벌였다. 와카사 다케다 씨는 센고쿠 시대에 쇼군가나 간레이(관령) 호소카와씨의 신임을 얻어 세력을 유지하며 오바마를 거점으로 교역을 전개했지만, 에이쇼의 착란 이후 기나이 지방의 전란과 함께 패색이 짙어져, 일족간의 내란 끝에 친족인 에치젠국 아사쿠라씨의 보호를 받아 그 꼭두각시로 전락한다.[6]
2. 3. 근세
에도 시대에는 교고쿠 다카쓰구가 와카사를 다스리게 되었고, 에치젠 쓰루가 군을 포함한 와카사 일대는 오바마 번의 영지가 되었다. 초기 번주는 교고쿠 씨였으나, 이후 사카이 씨가 번주 자리를 이어받았다.[7] 기타마에후네(北前船)가 와카사 지방을 본거지로 삼으면서 쓰루가, 오바마는 해상 운송의 거점으로 번성했다. 특히 고등어 어획량이 많아 오바마와 교토를 잇는 길은 '고등어 가도(鯖街道)'라고 불렸으며, 현재 일본 국도 367호선이 이 길에 해당한다.2. 4. 근현대
1871년 폐번치현으로 오바마번(小浜藩)이 폐지되고 오바마 현이 설치되었다가, 이후 쓰루가현(敦賀県)에 편입되었다.[8] 1876년 쓰루가 현이 분할되면서 시가현(滋賀県)에 편입되었다가, 1881년 후쿠이현(福井県)이 설치되면서 와카사 지역은 후쿠이 현에 속하게 되었다.[8]메이지 시대에는 마이쓰루 진수부(舞鶴鎭守府)가 설치되고, 오하마선(小浜線)이 개설되었다.[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와카사 만에는 원자력 발전소가 잇따라 건설되어 '원전 긴자'(原発銀座)라고 불리게 되었다.[8]
3. 지리
와카사국은 동해에 면한 리아스식 해안으로 복잡한 해안선이 특징이며, 대마난류의 영향으로 해산물이 풍부한 반면 농경을 위한 평야 면적은 한정되어 있었다.[11]
4. 주요 시설
오바마 시에 와카사국의 국부(国府)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다.[1] 와카사 국분사(Wakasa Kokubun-ji)와 와카사국의 일궁인 와카사히코 신사(Wakasahiko Shrine) 또한 오바마에 위치해 있다.[1]
5. 인물
6. 현대의 와카사
메이지 유신 직전 와카사 국의 영역은 현재의 후쿠이현 오바마시(구 온주 군일본어), 미카타군, 오이군, 미카타카미나카군에 해당한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와카사 만에는 원자력 발전소가 차례차례 건설되었으며, 그 이후로 ‘원전 긴자’라고 불렸다.[3]
6. 1. 행정 구역
메이지 유신 직전 와카사 국의 영역은 현재 다음과 같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자치체와 군 전체가 와카사 국의 영토에 해당한다.6. 2. 원자력 발전소 문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와카사 만에는 원자력 발전소가 차례차례 건설되었으며, 그 이후로 ‘원전 긴자’(原発銀座)라고 불렸다.[3]7. 한국과의 관계
고대부터 한반도와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신라 왕자 아메노히보코가 스이닌 천황 재위 시절 다지마에 정착했다는 전설이 있는데, 아메노히보코의 후손이 와카사를 다스렸다고 한다.
참조
[1]
서적
Wakasa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05
[2]
서적
一个人47都道府県 地名的謎と歴史
KKベストセラーズ
2021-03-16
[3]
논문
『古事記』と木簡に見える国名表記の対比
2012
[4]
서적
律令制国名表記の成立
塙書房
2001
[5]
논문
古代の塩の意義
[6]
간행물
若狭武田氏の誇り
2017
[7]
웹사이트
図説 福井県史|近世|1 近世の幕開け
https://www.library-[...]
2022-12-03
[8]
웹사이트
福井県史 嶺南4郡の滋賀県復帰運動
http://www.archives.[...]
福井県文書館
1994
[9]
웹사이트
図説 福井県史|近世|3 越前・若狭の諸藩(1)
https://www.library-[...]
福井県文書館
2022-12-03
[10]
백과사전
若狭国
2022-12-03
[11]
문서
당시 일본에서 조는 비단이나 마포 등 옷감으로 매기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것을 생각하면 이례적인 것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