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항 계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항 계수는 음이 아닌 정수들의 합이 주어졌을 때 정의되는 계수이며, 이항 계수를 일반화한 개념이다. 다항 계수는 조합론적으로 특정 함수의 개수, 중복 집합의 순열 개수, 격자 경로의 개수 등과 관련되며, 다항 정리 및 다항 분포와 같은 수학적 개념에 활용된다. 다항 정리에서는 다항식의 전개를 나타내며, 다항 분포는 여러 범주에 대한 확률 분포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2. 정의

음이 아닌 정수들의 합 n=k_1+k_2+\cdots+k_m이 주어졌을 때, '''다항 계수''' \textstyle\binom n{k_1,k_2,\dots,k_m}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inom n{k_1,k_2,\dots,k_m}=\frac{n!}{k_1!k_2!\cdots k_m!}=\prod_{i=1}^m\binom{k_1+k_2+\cdots+k_i}{k_i}=\prod_{i=1}^m\binom{k_i+k_{i+1}+\cdots+k_m}{k_i}

다항 계수를 단체에 나열한 표를 '''파스칼의 단체'''(Pascal의單體, Pascal's simplex영어)라고 한다.

3. 성질

다항 계수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갖는다.[1]


  • |P^{-1}(i)|=k_i (i=1,2,\dots,m)을 만족시키는 함수 P\colon\{1,2,\dots,n\}\to\{1,2,\dots,m\}의 수.
  • 중복집합 k_1\{1\}+k_2\{2\}+\cdots+k_n\{n\}순열의 수
  • \mathbb Z^m 위의, 시작점이 0, 끝점이 (k_1,k_2,\dots,k_m), 보폭이 표준 기저인 격자 경로(lattice path영어)의 개수

3. 1. 항등식

다음과 같은 점화식이 성립한다.

:\binom n{k_1,k_2,\dots,k_m}=\binom n{k_1+\cdots+k_i,k_{i+1},k_{i+2},\dots,k_m}\binom{k_1+k_2+\cdots+k_i}{k_1,k_2,\dots,k_i}

다음과 같은 합 공식이 성립한다. 이는 다항 정리의 따름정리이다.

:\sum_{k_1,k_2,\dots,k_m\in\mathbb N}^{k_1+k_2+\cdots+k_m=n}\binom n{k_1,k_2,\dots,k_m}=m^n

다항 정리라고 불리는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 (x_1+\dotsb+x_r)^n = \textstyle\sum\limits_{k_1+\dotsb+k_r=n} \dbinom{n}{k_1,\dotsc,k_r} \cdot {x_1}^{k_1} \dotsm {x_r}^{k_r}

특히 x_1 = x_2 = \dots = x_r = 1 로 놓으면 다음을 얻을 수 있다.

: r^n = \textstyle\sum\limits_{k_1+\dotsb+k_r=n} \dbinom{n}{k_1,\dotsc,k_r}

3. 2. 수론적 성질

다항 계수의 소인수의 중복도를 쿠머 정리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3. 3. 조합론적 성질


  • |P^{-1}(i)|=k_i (i=1,2,\dots,m)을 만족시키는 함수 P\colon\{1,2,\dots,n\}\to\{1,2,\dots,m\}의 수.
  • * 즉, n개의 공을 크기가 각각 k_im개의 상자에 넣는 방법의 수
  • 중복집합 k_1\{1\}+k_2\{2\}+\cdots+k_n\{n\}순열의 수
  • * 즉, n글자 단어가 각각 k_i번 나오는 m가지 글자로 이루어졌을 때, 그 단어의 어구전철의 수
  • \mathbb Z^m 위의, 시작점이 0, 끝점이 (k_1,k_2,\dots,k_m), 보폭이 표준 기저인 격자 경로(lattice path영어)의 개수[1]
  • 다항 전개의 계수

다항 계수 \binom n{k_1,k_2,\dots,k_r}n개의 대상을 r개의 구별되는 상자에 분할하여 넣을 때, 각 i번째 상자에 k_i개만의 대상이 포함되도록 넣는 방법의 총수이다.

다항 계수 \binom n{k_1,k_2,\dots,k_r}1 \le i \le r에 대해 각각 정확히 k_i개의 구별 불가능한 대상이 포함된 n개의 대상의 순열의 총 개수와 같다.

예시로, "MISSISSIPPI"의 아나그램 문자를 재배열하여 얻을 수 있는 서로 다른 "단어"의 개수를 생각해보자.

이 11개의 문자의 순열의 총 개수를 세어야 하는데, 문자 M은 1개, 문자 I는 4개, 문자 S는 4개, 문자 P는 2개이므로 다항 계수는 다음과 같다.

:\binom{11}{1,4,4,2}=\frac{11!}{1! \cdot 4! \cdot 4! \cdot 2!}=34650

이와 대조적으로, 만약 11개의 문자가 모두 구별 가능하다면, 그 총 개수는 11! = 39,916,800으로 훨씬 많아진다.

4. 응용

다항 계수는 다항 정리와 다항 분포에 응용된다. 다항 정리는 다항식의 전개를 나타내는 공식이며, 다항 분포는 여러 범주에 대한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하위 섹션 내용과 중복되어 최대한 간결하게 작성됨)

4. 1. 다항 정리

'''다항 정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항식의 전개가 성립한다.

:(x_1+x_2+\cdots+x_m)^n=\sum_{k_1,k_2,\dots,k_m\in\mathbb N}^{k_1+k_2+\cdots+k_m=n}\binom n{k_1,k_2,\dots,k_m}x_1^{k_1}x_2^{k_2}\cdots x_m^{k_m}

다중지표 표기법을 사용하여 다항 정리를 다음과 같이 적을 수 있다.

:(x_1+x_2+\cdots+x_m)^n=\sum_{K\in\mathbb N^m}^

4. 2. 다항 분포

다항 분포는 여러 범주에 대한 확률 분포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다항 분포의 확률 질량 함수는 다음과 같다.

:P(X_1=k_1, X_2=k_2, \dotsc, X_r=k_r) = \binom{n}{k_1, \dotsc, k_r} \cdot p_1^{k_1} \cdot {p_2}^{k_2} \dotsm {p_r}^{k_r}

이는 이산 확률 변수에 관한 확률 분포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