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심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심가는 고려 말 정몽주가 지은 시조로, 조선 건국 세력의 회유에 대한 변치 않는 충절을 표현한 작품이다. 이 몸이 죽어 백 번 다시 죽어도 임금에 대한 한결같은 마음은 변치 않으리라는 내용으로, 다양한 판본과 한역본으로 전해진다. 이방원의 하여가에 대한 답가로, 조선 개국 후에는 충신을 상징하는 노래로 널리 불렸으며, 고려 말 시조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2. 내용

단심가는 고려 말 충신 정몽주가 지은 시조로, 그의 충절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원문'''

: 이 몸이 죽고 죽어


: 일백 번 고쳐 죽어


: 이 되어


: 넋이라도 있고 없고


: 임 향한 이야


: 가실 줄이 있으랴[1]

'''한역'''

:


:


: [1]

'''해석'''

: 이 몸이 죽고 또 죽어


: 백 번이나 다시 죽어


: 백골(白骨)이 흙과 먼지가 되어


: 넋이야 있건 없건


: 임금님께 바치는 충성심이야


: 변할 리가 있으랴?[1]

《포은집》에는 “此身死了死了 一百番更死了 白骨爲塵土 魂魄有也無 向主一片丹心 寧有改理也歟.”와 같이 한역(漢譯)되어 실려 있다.[1]

이 시조는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 충성스러운 신하의 마음을 간결하면서도 강렬하게 표현하고 있다.

2. 1. 원문 및 번역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이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향한 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1]

  • 한역








[1]

  • 해석


이 몸이 죽고 또 죽어


백 번이나 다시 죽어


백골(白骨)이 흙과 먼지가 되어


넋이야 있건 없건


임금님께 바치는 충성심이야


변할 리가 있으랴?[1]

2. 2. 여러 판본

《청구영언》과 《가곡원류》의 여러 이본에 두루 실려있다. 그밖에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 일석본(一石本)과 주씨본(周氏本) 《해동가요》, 《시가(詩歌)》, 서울대학교본 《악부(樂府)》, 《근화악부(槿花樂府)》, 《동가선(東歌選)》, 《해동악장(海東樂章)》, 《협률대성(協律大成)》, 《화원악보(花源樂譜)》, 《대동풍아(大東風雅)》 등에도 실려 있다. 《고금가곡(古今歌曲)》, 《영언유초(永言類抄)》, 《흥비부(興比賦)》 등에는 작자를 밝히지 않고 실었다. 《포은집》, 《해동악부(海東樂府)》, 《약천집(藥泉集)》, 《순오지(旬五志)》, 《조선악부(朝鮮樂府)》, 《소문쇄록》 등에는 한역시가 전한다.[1]

《포은집》에는 “此身死了死了 一百番更死了 白骨爲塵土 魂魄有也無 向主一片丹心 寧有改理也歟.”와 같이 한역(漢譯)되어 실려 있다.

3. 배경

정몽주가 〈단심가〉를 지은 배경은 고려 왕조가 멸망할 무렵, 뒤에 조선 태종이 된 이방원이 정몽주를 초대한 자리에서 〈하여가(何如歌)〉를 지어 그의 마음을 떠본 것에 대한 응답이었다. 이방원은 만수산 드렁칡과 같이 서로 얽혀 백 년까지 누리자고 하였으나, 정몽주는 일백 번 고쳐 죽더라도 뜻이 변하지 않으리라고 하였다.[1]

3. 1. 창작 배경

고려 멸망 직전, 훗날 조선 태종이 되는 이방원이 정몽주를 초대해 〈하여가(何如歌)〉를 지어 그의 마음을 떠보았다. 이에 정몽주는 〈단심가(丹心歌)〉로 답하였다. 이방원은 만수산 드렁칡처럼 서로 얽혀 백 년까지 함께 누리자고 회유했으나, 정몽주는 백 번을 다시 죽더라도 고려를 향한 자신의 마음은 변치 않을 것이라고 하였다.[1]

조선 건국 과정에서 반대파의 주장을 대변했던 이 노래는 역설적으로 조선 건국 이후 신하의 충성심을 상징하는 노래로 널리 퍼졌다. 이는 조선이 내세운 유교적 지배 질서와 부합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 노래는 절박한 상황에서도 묘미 있는 표현을 개척함으로써, 고려 말 새로운 갈래로 등장한 시조가 정착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1]

3. 2. 시조에 담긴 의미

정몽주가 지은 시조 단심가는 다음과 같다.

: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고려가 멸망할 무렵, 훗날 조선 태종이 된 이방원은 정몽주를 초대하여 <하여가>를 지어 그의 마음을 떠보았다. 이방원은 만수산 드렁칡과 같이 서로 얽혀 백년까지 누리자고 하였으나, 정몽주는 위에 시조로 응답하여 자신의 뜻이 변하지 않을 것이라 하였다.

조선 건국 과정에서 반대파의 주장을 대변하였던 이 노래는 건국 이후에는 신하의 충성심을 나타내는 노래로 널리 퍼졌다. 이는 조선이 내세운 유교적 지배 질서와 부합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 노래는 절박한 상황에서도 묘미 있는 표현을 개척함으로써, 고려 말 새로운 갈래로 등장한 시조가 정착하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

3. 3. 문학사적 의의

정몽주가 이방원의 하여가에 대한 응답으로 지은 이 노래는, 고려 말 새로운 갈래로 등장한 시조가 정착되는 데 묘미있는 표현을 개척함으로써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1] 조선 건국 과정에서 반대파의 주장을 대변하였으나, 조선 건국 후에는 신하의 충성심을 나타내는 노래로 널리 퍼졌다.[1] 이는 조선이 내세운 유교적 지배 질서와 부합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