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당창건사적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당창건사적관은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상품진열소로 사용되었으며, 해방 후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과 조선노동당의 당사로 사용된 건물을 개조하여 1970년 10월에 박물관으로 개관한 곳이다. 1923년 11월 30일 준공되었으며, 당시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참석했다. 한국 전쟁 중 파괴되었다가 복구되었으며, 김일성이 집무하던 곳으로, 1980년대에 김정일에 의해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건물은 일본 국회의사당을 본떠 축소한 형태이며, 1층에는 사진과 유물 전시, 2층은 원래의 모습으로 보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0년 설립된 박물관 - 모에스고르 박물관
    덴마크 오르후스에 있는 모에스고르 박물관은 덴마크와 스칸디나비아의 선사 시대부터 중세 시대까지의 역사를 전시하며, 보룸 에쇠이 고분, 일레루프 오달 유물, 갈레후스 황금 뿔 복제품, 그라발레 남자 등의 주요 전시물과 룬 문자 비석, 스냅툰 석, 호르닝 교회 등의 유물을 소장하고 100헥타르의 자연으로 둘러싸여 있다.
  • 1923년 완공된 건축물 - 스톡홀름 시청사
    스톡홀름 시청사는 라그나르 외스트베리가 설계한 국민낭만주의 양식의 건축물로, 멜라렌호에 인접해 있으며, 노벨상 시상식 만찬이 열리는 푸른 방과 황금 방, 그리고 스웨덴 역사를 담은 106미터 높이의 탑이 특징인 20세기 건축의 걸작이다.
  • 1923년 완공된 건축물 -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은 1914년 설립된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12개 지역 연방준비은행 중 하나로, 중서부 지역의 경제 안정과 성장에 기여하며, 이사회와 총재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금융 교육에도 힘쓰고 있다.
  • 평양시의 박물관 - 조선혁명박물관
    조선혁명박물관은 평양에 위치한 북한의 박물관으로, 김일성과 조선 혁명 운동 관련 자료들을 전시하며 항일 빨치산 투쟁부터 북한 건국까지의 과정을 보여주고 주체사상 교육 및 체제 충성심 고취의 역할을 수행하는 북한 체제 상징 시설이다.
  • 평양시의 박물관 - 조선우표박물관
    조선우표박물관은 김일성 출생 100주년 기념으로 2012년 개관하여 6,000점이 넘는 우표와 관련 유물을 소장하고 있으며, 외화 획득 및 체제 선전의 장으로 활용되는 평양 소재의 박물관이다.
당창건사적관 - [지명]에 관한 문서
박물관 정보
이름당창건사적관
로마자 표기Dangchang'gŏnsajŏkwan
위치평양, 북한
개관1970년 10월
유형박물관
중앙에 입구가 있는 흰색 건물
당 창건 박물관 (2010년)

2. 건물의 역사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에 평안남도 상품진열소(平安南道 商品陳列所)였으며, 대동교 개통과 같은 날인 1923년 11월 30일 남정(南町) 5번지에[8] 준공되었다.[9][10] 사이토 마코토(齋藤 實) 당시 조선 총독이 평양에 와서 대동교 도교식(渡橋式)에 참석한 후, 이어서 상품진열소 낙성식에도 참석하였다.[11] 평안남도 도청에서 건축하고 관리하던 건물이며, 소장도 도청 직원이 맡았다. 당시는 각 도마다 상품진열소나 물산진열소(物産陳列所)가 하나씩 있었다. 건물의 외양은 일본 국회의사당을 본뜬 것으로 축소된 형태이다.[12]

이 건물은 1923년 11월 공표된 「조선총독부 평안남도 고시 제100호 평안남도 상품진열소규칙(朝鮮總督府平安南道吿示第100號平安南道商品陳列所規則)」에 의거하여 운영되었다.[13] 상품전시회를 열면서 판매를 하기도 하고,[14] 미술 전시회 등 각종 전시회 장으로도 이용되었다.[15] 1927년 7월에는 분수대도 세워져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도 이용되었다.[16]

해방 후에는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시기부터 노동당 초기 시절까지 당사로 이용되었고, 김일성도 이 건물에서 집무했다. 당시 김일성이 살던 자택도 이 건물에서 서쪽으로 100 m 정도 떨어진 지근 거리에 있었으며, 지금도 보존되어 있다고 한다.[17][18] 북한에서는 노동당 창건일을 1945년 10월 10일로 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조선공산당북조선분국이 결성된 날이다. 김정일의 동생이 익사한 곳이 바로 이 건물 앞 분수대로 보이며, 그 후 분수대는 철거되어 지금은 없다.[19] 건물은 한국 전쟁 중에 파괴되었다.[3] 전쟁 이후 1970년 10월에 복구되어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최초의 원형과는 조금 차이가 나는 것 같다. 조선로동당 창당 기념비는 1975년 10월 10일에 세워졌다

평양 출신 화가 김병기(1916~ )는 일제시대에 상품진열소는 평양에서 미술 작품 전시회를 열 수 있는 유일한 장소였으며, 자신의 부친 김찬영 화백도 여기서 전시회를 열었다고 하였다. 또 해방 후에는 김일성이 같은 건물의 사무실에서 화가들을 소집하기에 가서 만난 적이 있다고 하였다.[20]

1970년 10월 새로운 당사를 지으면서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당창건기념관'으로 만들어졌으나, 1980년대에 김정일에 의해 '당창건사적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18]

한편, 당창건사적관이 일제시대 박정식이라는 평양부호의 소유였으나 해방후 김일성에게 당사로 쓰도록 기증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18][19][21] 건물은 평안남도 도청 소유였으며, 상품진열소는 「조선총독부 평안남도 고시 제100호 평안남도 상품진열소규칙」에 의거하여 운영되었다.[13]

또한 북한 최고재판소장을 지낸 박명철(朴明哲, 1941~ )[22]이 박정식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으나, 그는 1958년 사형 당한 남파간첩 박정호의 아들이다.[23] 박정호는 김일성의 측근이었으나, 이 건물과는 관련이 없다.[23]

2. 1.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상품진열소

이 건물은 일제시대에 평안남도 상품진열소(平安南道 商品陳列所)였으며, 대동교 개통과 같은 날인 1923년 11월 30일 남정(南町) 5번지에[8] 준공되었다.[9][10] 사이토 마코토(齋藤 實) 당시 조선 총독이 평양에 와서 대동교 도교식(渡橋式)에 참석한 후, 이어서 상품진열소 낙성식에도 참석하였다.[11] 평안남도 도청에서 건축하고 관리하던 건물이며, 소장도 도청 직원이 맡았다. 당시는 각 도마다 상품진열소나 물산진열소(物産陳列所)가 하나씩 있었다. 건물의 외양은 일본 국회의사당을 본뜬 것으로 축소된 형태이다.[12]

이 건물은 1923년 11월 공표된 「조선총독부 평안남도 고시 제100호 평안남도 상품진열소규칙(朝鮮總督府平安南道吿示第100號平安南道商品陳列所規則)」에 의거하여 운영되었다.[13] 상품전시회를 열면서 판매를 하기도 하고,[14] 미술 전시회 등 각종 전시회 장으로도 이용되었다.[15] 1927년 7월에는 분수대도 세워져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도 이용되었다.[16]

평양 출신 화가 김병기(1916~ )는 일제시대에 상품진열소는 평양에서 미술 작품 전시회를 열 수 있는 유일한 장소였으며, 자신의 부친 김찬영 화백도 여기서 전시회를 열었다고 하였다.[20]

2. 2. 해방 이후: 조선로동당 당사

이 건물은 일제시대에 평안남도 상품진열소였으며, 대동교 개통과 같은 날인 1923년 11월 30일 남정(南町) 5번지에[8] 준공되었다.[9][10] 사이토 마코토(齋藤 實) 당시 조선 총독이 평양에 와서 대동교 도교식(渡橋式)에 참석한 후, 이어서 상품진열소 낙성식에도 참석하였다.[11]

해방 후에는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시기부터 노동당 초기 시절까지 당사로 이용되었고, 김일성도 이 건물에서 집무했다. 당시 김일성이 살던 자택도 이 건물에서 서쪽으로 100 m 정도 떨어진 지근 거리에 있었으며, 지금도 보존되어 있다고 한다.[17][18] 북한에서는 노동당 창건일을 1945년 10월 10일로 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조선공산당북조선분국이 결성된 날이다. 김정일의 동생이 익사한 곳이 바로 이 건물 앞 분수대로 보이며, 그 후 분수대는 철거되어 지금은 없다.[19] 건물은 6.25때 파괴되었다 복구되었으나 지금의 모습은 최초의 원형과는 조금 차이가 나는 것 같다.

평양 출신 화가 김병기(1916~ )는 해방 후 김일성이 같은 건물의 사무실에서 화가들을 소집하기에 가서 만난 적이 있다고 하였다.[20]

이 건물은 1970년 10월 새로운 당사를 지으면서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당창건기념관'으로 만들어졌으나, 1980년대에 김정일에 의해 '당창건사적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18]

한편 당창건사적관이 일제시대 박정식이라는 평양부호의 소유였으나 해방후 김일성에게 당사로 쓰도록 기증했다고 하는 사람들이 다수 있는데, 이는 잘못 안 것이다.[18][19][21]

2. 3. 한국전쟁과 복구

이 건물은 한국 전쟁 중에 파괴되었다.[3] 전쟁 이후 1970년 10월에 복구되어 박물관으로 개관하였다. 최초의 원형과는 조금 차이가 나는 것 같다. 조선로동당 창당 기념비는 1975년 10월 10일에 세워졌다.

2. 4. 당창건사적관

당창건사적관 건물은 일제시대에 평안남도 상품진열소(平安南道 商品陳列所)로, 대동교 개통과 같은 날인 1923년 11월 30일 남정(南町) 5번지에 준공되었다.[8][9][10] 사이토 마코토(齋藤 實) 당시 조선 총독이 평양에 와서 대동교 도교식(渡橋式)에 참석한 후, 상품진열소 낙성식에도 참석하였다.[11] 일본 국회의사당을 본뜬 축소된 형태였다.[12]

해방 후에는 조선공산당북조선분국 시기부터 노동당 초기 시절까지 당사로 이용되었고, 김일성도 이 건물에서 집무했다.[17][18] 북한에서는 노동당 창건일을 1945년 10월 10일로 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조선공산당북조선분국이 결성된 날이다. 건물은 6.25때 파괴되었다 복구되었으나 지금의 모습은 최초의 원형과는 조금 차이가 나는 것 같다.

1970년 10월 새로운 당사를 지으면서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당창건기념관'으로 만들어졌으나, 1980년대에 김정일에 의해 '당창건사적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고 한다.[18]

한편, 일제시대 박정식이라는 평양부호의 소유였으나 해방후 김일성에게 당사로 쓰도록 기증했다는 주장은 잘못된 것이다.[18][19][21] 또한 북한의 최고재판소장을 지낸 박명철(朴明哲, 1941~ )[22]이 박정식의 아들이라고도 하나, 그는 실제로는 "박정호(朴正鎬) 간첩사건"의 주역으로 1958년 사형 당한 남파간첩 박정호의 아들이다. 박정호는 김일성의 측근이었던 것은 맞으나 이 건물과는 별 관계가 없는 사람이다.[23]

2. 5. 건물 소유권 및 관련 인물 논란

이 건물은 일제강점기 평안남도 상품진열소로, 1923년 11월 30일 대동교 개통과 같은 날 준공되었다.[8][9][10] 사이토 마코토(齋藤 實) 당시 조선 총독이 평양에 와서 대동교 도교식과 상품진열소 낙성식에 참석하였다.[11] 평안남도 도청에서 건축 및 관리하였고, 일본 국회의사당을 본떠 축소한 형태이다.[12]

해방 후 조선공산당북조선분국 및 노동당 초기 당사로 이용되었으며, 김일성이 이 건물에서 집무했다.[17][18] 1970년 10월 '당창건기념관'으로 만들어졌으나, 1980년대에 김정일에 의해 '당창건사적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18]

한편, 당창건사적관이 일제시대 평양 부호 박정식의 소유였으나 해방 후 김일성에게 기증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18][19][21] 건물은 평안남도 도청 소유였으며, 상품진열소는 「조선총독부 평안남도 고시 제100호 평안남도 상품진열소규칙」에 의거하여 운영되었다.[13]

또한 북한 최고재판소장을 지낸 박명철(朴明哲, 1941~ )[22]이 박정식의 아들이라는 설도 있으나, 그는 1958년 사형 당한 남파간첩 박정호의 아들이다.[23] 박정호는 김일성의 측근이었으나, 이 건물과는 관련이 없다.[23]

3. 건물의 구조 및 전시 내용

건물의 건축 양식은 전형적인 일본 식민지 양식으로, 덩어리지고 형식적이며 짙은 회색 돌로 지어졌다. 건물 지붕은 도쿄의 국회의사당을 본떴다.[3]

1층에는 사진과 유물의 전시가 있으며, 2층은 원래의 역사적인 모습으로 보존되어 있다.[4]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Party Founding Museum http://www.tourismdp[...] National Tourism Administration 2021-05-25
[2] 웹사이트 Party Founding Museum http://www.kcna.co.j[...] Korean Central News Agency 2015-09-10
[3] 문서 Corfield (2014), p. 159
[4] 뉴스 North Korea: Celebration reinforces Kim dynasty's iron grip on power https://edition.cnn.[...] 2021-05-25
[5] 백과사전 당창건사적관 http://encykorea.aks[...] 한국학중앙연구원
[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Pyongyang http://books.google.[...] Anthem Press 2014-12-01
[7] 북한지역정보넷 해방산(解放山) http://www.cybernk.n[...]
[8] 뉴스 조선일보 1923년 12월 2일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23-12-02
[9] 뉴스 平南商品陳列所에 토산품위탁판매(土産品委託販賣) https://www.bigkinds[...] 每日申報 1923-11-29
[10] 뉴스 平南物産陳列所開館(平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23-12-05
[11] 해외사료 해외사료총서 15권 일본소재 한국사 자료 조사보고 Ⅲ > 미즈사와(水沢) 사이토마코토(斎藤実)기념관 소장 일제시기 사진자료 해제 > Ⅲ. 사이토의 식민통치 특성과 지방 순시 http://db.history.go[...]
[12] wikipedia 国会議事堂
[13] 관보 조선총독부 관보 제769호(昭和) http://gb.nl.go.kr/g[...] 조선총독부 관보할용시스템 1929-07-25
[14] 뉴스 優良生產品 宣傳即賣會 平壤서 開催 http://www.nl.go.kr/[...] 平安南道商品陳列所 [中外日報] 1930-04-05
[15] 뉴스 朝鮮美術會の東都名畵展, 平壤に開催 http://www.nl.go.kr/[...] 朝鮮新聞 1926-10-08
[16] 뉴스 平壤商品陳列所에 噴水臺設置 夜間에 開放 http://www.nl.go.kr/[...] 매일신보(每日申報) 1927-07-30
[17] 백과사전 당창건사적관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8] 라디오 ‘당창건사적관’의 숨겨진 계보 https://www.rfa.org/[...] 자유아시아방송 2017-10-17
[19] 라디오 (김씨 일가의 실체) 김경희의 불우한 삶 https://www.rfa.org/[...] 자유아시아방송 2011-11-08
[20] 뉴스 101세 현역 김병기 화백의 회고 『한 세기를 그리다』 http://www.hani.co.k[...] 한겨레
[21] 뉴스 김정은, '法'자도 모르는 역도산 사위를 최고재판소장에 임명 http://premium.chosu[...] premium.chosun 2014-10-20
[22] 웹사이트 박명철(朴明哲, 1941~ ) http://nkinfo.unikor[...] 통일부 북한정보 포털
[23] 백과사전 박정호간첩사건 http://encykorea.aks[...]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