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봉그린아파트 화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봉그린아파트 화재는 2015년 1월 10일 오전 9시 15분경 의정부시의 대봉그린아파트 1층에서 발생한 화재 사건이다. 오토바이 키박스를 녹이기 위해 라이터를 사용하다 발생한 화재로 추정되며, 불법 주차로 인한 소방차 진입 지연, 스프링클러 미작동, 불법 증축 등 초기 대응 실패 및 건물 구조적 문제로 인해 피해가 커졌다. 소방 헬리콥터의 하향풍으로 인해 불길이 번졌다는 논란과 함께, 불법 개조 의혹, 미흡한 안전 조치 등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정부시의 역사 - 동두천·포천-의정부 전투
동두천·포천-의정부 전투는 한국 전쟁 초기 북한군의 남침으로 동두천, 포천, 의정부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로, 북한군의 압도적인 공격에 맞서 한국군이 고전하며 수도 서울 방어 실패와 전황 악화를 초래했다. - 2015년 화재 - 콜렉티브 나이트클럽 화재
2015년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의 콜렉티브 나이트클럽에서 굿바이 투 그래비티 밴드의 콘서트 중 발생한 불꽃으로 인해 가연성 물질로 마감된 클럽 내부에서 화재가 빠르게 확산되어 64명이 사망하고 146명이 부상당한 참사로, 루마니아 사회에 큰 충격을 주고 정치적 변화를 이끌었다. - 2015년 화재 - 더 마리나 토치
더 마리나 토치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위치한 마천루로, 2007년 착공하여 2011년에 완공되었으며, 화재와 투신 자살 사건으로 안전 문제가 제기되었다. - 주거용 건축물 화재 - 2023년 하노이 건물 화재
2023년 9월 12일 하노이의 9층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는 오토바이 주차장에서 시작되어 56명의 사망자와 37명의 부상자를 발생시켰으며, 오토바이 배터리 합선이 원인으로 밝혀져 건물주가 체포되는 등 인명 및 재산 피해와 함께 초기 대응 미흡에 대한 논란을 야기했다. - 주거용 건축물 화재 - 그렌펠 타워 화재
2017년 6월 14일 런던 그렌펠 타워에서 발생한 화재는 가연성 외장재로 인해 급속히 확산되어 72명의 사망자를 낸 참사로, 건물 안전 문제에 대한 우려와 비용 효율성을 우선시한 결정이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대봉그린아파트 화재 | |
---|---|
사건 개요 | |
![]() | |
사건 | 대봉그린아파트 화재 |
날짜 | 2015년 1월 10일 |
시간 | 9시 27분 (KST) |
위치 |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 |
최초 보고자 | 의정부소방서 |
원인 | 오토바이 배선 합선에 의한 실화 추정 |
인명 피해 | |
사망자 | 5명 |
부상자 | 125명 |
재산 피해 | |
재산 피해 | 90억원 |
2. 사건 전개
2015년 1월 10일 오전 9시 15분경 대봉그린아파트 1층에서 불이 났다. 한겨울이고 토요일 이른 아침이라 근처를 지나가던 사람이 없어 신고가 늦어졌고 불이 위층으로 순식간에 옮겨붙어 퍼졌다.[1] 이후 의정부소방서에 화재신고가 접수되었고 소방대가 출동했으나 아파트로 진입하는 길목이 불법주차로 인해 혼잡했고 초기 대응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1] 도착한 소방대가 진화 작전을 펼쳤지만 불은 이웃 건물로 옮겨붙어 급속히 확산되었다.[1] 화재는 발생 약 2시간 뒤인 11시 44분경 진화되었고, 이 진화 작전에 소방관 약 160명, 장비 약 80대, 헬기 4대 등이 투입되었으며 경찰에서도 약 1,000여 명을 투입하여 주변을 통제하고 진화를 도왔다.[1]
초기에는 한 입주민이 친구에게 빌린 4륜 오토바이를 만진 후 화재가 일어난 것으로 추측되었다. 조사 결과 방화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해당 입주민은 무면허 운전 사실이 드러나 입건되었다.[4] 경찰과 소방당국 등의 합동 검식에도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으나,[5] 건물 CCTV 분석 결과, 오토바이 운전자가 키박스를 녹이기 위해 라이터를 사용했고, 이후 해당 오토바이에서 불길이 일어나 옆의 다른 오토바이로 옮겨붙으며 건물 전체로 번져나간 사실이 확인되었다.[1] 경찰은 오토바이 키박스 가열 과정에서 배선 합선으로 인해 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해당 입주민을 실화 및 과실치사상 혐의로 구속영장을 신청하였다.[6]
대봉그린아파트 화재와 관련하여 불법 개조, 소방 헬리콥터, 초기 대응 실패 등 여러 논란이 발생하였다.
3. 원인
4. 논란
4. 1. 불법 개조 논란
대봉그린아파트와 드림타운아파트는 도시형 생활주택으로, 1층은 주차장, 2~9층은 원룸, 10층은 오피스텔로 허가를 받았다. 그러나 10층 오피스텔을 여러 개의 원룸으로 불법 개조하여 가구 수를 늘려 사람들이 입주했다는 증언이 나왔다.[7] 소방당국이 밝힌 두 건물의 가구 수는 건축 허가상의 가구 수보다 많았다. 주민들과 부동산 중개업소는 건물주가 오피스텔을 불법으로 개조하여 가구 수를 늘렸다고 증언했다.[7]
이처럼 기존 형태를 쪼개 불법 증축을 하면 이동 통로가 좁아지고, 화재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환기 시설과 소방 시설을 축소할 수밖에 없다. 또한, 가연성이 높은 건축 자재를 칸막이로 사용할 경우 화재 시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8]
4. 2. 소방 헬리콥터 논란
일부 주민들은 "처음 불이 난 대봉그린아파트는 30분 만에 불길이 잡혔는데, 소방헬기의 하향풍으로 인해 불이 다시 번졌다"라고 주장했다.[9] 그러나 의정부소방서장은 "고층 건물에서 불이 난 경우 소방헬기를 활용한 구조는 기본이고, 건물 외벽이 가연성이어서 외벽을 타고 불이 확대된 것"이라고 밝혔다.[10] 한편 우성천 강원대학교 교수는 "소방헬기가 바람을 날리면 전혀 영향이 없다고 볼 수는 없겠지만 이미 불길이 맹렬하게 타고 있는 상황이었다. 불은 밑에서 위로 올라갈 때 순식간에 올라가는 것이지 위에서 부는 바람이 아래로 내려온다고 해서 직접적인 영향이 있다고 보지는 않고, 신속하게 출동하려면 헬기만큼 빠른 게 없고 병원으로 이송할 때도 빠르기 때문에 진화 또는 인명구조를 위해 헬기가 출동하게 된다"면서 "헬기가 안 왔으면 안 왔다고 이유가 나올 것이고, 왔으면 왔다고 하고, 이런 이야기를 다 들어줄 수는 없다"라며 주민들의 주장을 일축했다.[11]
4. 3. 초기 대응 실패 논란
화재가 발생한 직후 주민들은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 화재 경보기나 대피 방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등 주민들의 안전을 위한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12] 또한, 화재 진압을 위해 출동한 소방 차량이 아파트 진입로 양옆에 늘어선 20여 대의 불법 주차 차량으로 인해 현장으로 접근할 수 없어 10여 분 이상 지체되었고, 골든 타임을 놓쳐 초기 진화 활동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논란이 제기되었다. 참고로, 화재 발생 후 5분 이내가 골든 타임으로 이 안에 화재 진압에 들어가지 못하면 화재가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되게 된다.[13]
참조
[1]
뉴스
'의정부 화재' 오토바이 운전자 왜 실화 혐의 적용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15-01-20
[2]
뉴스
'의정부 화재' 20대 여성 숨져…사망자 5명으로 늘어(종합)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1-24
[3]
웹인용
국민 안전관리 일일 상황보고
http://www.mpss.go.k[...]
2015-01-11
[4]
뉴스
'의정부 화재' 오토바이 운전자 압수수색..과실 수사
http://media.daum.ne[...]
연합뉴스
2015-01-12
[5]
뉴스
의정부 아파트 화재원인 못찾아
http://media.daum.ne[...]
매일경제
2015-01-12
[6]
뉴스
의정부 화재는 ‘실화’, 오토바이 운전자 영장…‘키박스에 불 붙여’ 왜?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5-01-20
[7]
뉴스
의정부 화재참사 건물 '불법 방쪼개기 개축'
http://media.daum.ne[...]
한겨레
2015-01-12
[8]
뉴스
의정부 아파트 화재 7개월…84%가 여전히 '불법'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7-30
[9]
뉴스
"<의정부 아파트 화재…주민 \"헬기 때문에 확대\" 주장>"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5-01-11
[10]
뉴스
의정부 아파트 화재, 주민들 "소방 헬기가 일을 더 키워..피해 양산" 주장 논란
https://web.archive.[...]
조선일보
2015-01-11
[11]
뉴스
"의정부 화재, 헬기 안 왔으면 안 왔다고 했을 것"
http://news1.kr/arti[...]
뉴스1
2015-01-12
[12]
뉴스
의정부 화재, 초기대응 실패 피해 키웠다…대봉그린아파트 주민들 “대피 방송 없었다” 증언
http://star.mbn.co.k[...]
MBN
2015-01-10
[13]
뉴스
불법주차와 골든타임
http://www.gnmaeil.c[...]
경남매일
2016-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