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의사협회는 의료법 제28조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의사 단체이다. 1908년 한국의사회를 시작으로, 1948년 대한의학협회로 개칭되었고, 1995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의학용어의 표준화, 의학용어집 발간 등의 활동을 하며, 의료정책연구소 운영, 세계의사회(WMA) 서울총회 개최, 아이티 지진참사 의료지원단 파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쳐왔다. 조직으로는 대의원총회, 의학용어위원회 등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의학 단체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생화학분자생물학회는 1948년 대한생화학회로 시작하여 의학 분야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한국생화학분자생물학회와 통합되어 현재의 명칭으로, 학술 활동 및 연구 장려를 통해 생화학 및 분자생물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는 학술 단체이다. - 대한민국의 의학 단체 - 녹수회
녹수회는 한의학 전공 학생 및 졸업생들이 공중 보건 증진을 목표로 무료 진료 봉사, 건강 강좌, 학술 연구, 지역 사회 연계 활동 등을 하는 단체로, 의료 취약 계층 및 이주민 지원, 공동체 활동을 통해 사회 발전에 기여하여 사회 봉사 대상과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 - 1908년 설립된 단체 - 일본 천문학회
일본 천문학회는 1908년 설립된 일본의 천문학 관련 사단법인으로, 국제 교류 추진, 학술지 발간, 연구 지원, 젊은 연구자 육성 등을 통해 일본 천문학 발전에 기여하며 3,000명 이상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식민지배 시대 연구에 대한 성찰 부족 등의 비판도 존재한다. - 1908년 설립된 단체 - 서북학회
서북학회는 1908년 평안도, 황해도, 함경도 출신 인사들이 서우학회와 한북흥학회를 통합하여 창립한 단체로, 교육 운동을 펼치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로 해산되었다. - 특수법인 (보건복지부 소관) - 대한한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는 의료법에 따라 설립된 대한민국의 한의사 단체로서, 한의계의 구심점 역할을 하며, 회장, 중앙이사회, 위원회, 한의학정책연구원 등으로 구성되어 대의원 총회를 통해 주요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독립적인 기구를 통해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한다. - 특수법인 (보건복지부 소관)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한국사회복지사협회는 사회복지사업법에 따라 설립된 법정단체로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 및 권익 보호, 사회복지 발전을 위한 사업을 수행하며 전국 지방협회를 두고 사회적 약자 보호에 기여한다.
대한의사협회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대한의사협회 |
영어 명칭 | Korean Medical Association |
약칭 | KMA |
설립일 | 1908년 11월 15일 |
유형 | 사단법인 |
목적 | 의학 및 의술의 발전 보급 |
본부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46길 33 |
활동 지역 | 대한민국 |
사용 언어 | 한국어 |
협회장 | 이필수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주요 활동 | |
주요 활동 | 의료 정책 및 제도 개선, 의사 권익 보호, 국민 건강 증진 |
의사 파업 | 2000년 의약분업 파업 BBC News 2020년 의료 정책 반대 파업 KBS News Fox 44 News Wall Street Journal KBS News 2024년 의대 정원 확대 반대 파업 euronews |
원격 의료 반대 | 일본의사협회저널 |
2. 설립 근거
의료법 제28조[10]
다음은 주어진 지시사항에 따라 이전 결과물을 검토하고 수정한 내용입니다.
3. 연혁
```text3. 1. 협회 창립 이전 (1908년 ~ 1945년)
1908년 11월 15일 한국의사회가 창립총회를 열고 결성되었다.[1] 1930년 조선의학회와 조선의사협회가 창립되었다.[1] 1939년 국제회의에 한국 대표를 파견하였다.[1] 1945년 8월 건국의사회가 창립되었고,[1] 같은 해 12월 조선의사회가 창립되었다.[1]
3. 2. 협회 창립 및 초기 활동 (1945년 ~ 1949년)
1945년 8월 건국의사회가 창립되었고, 같은 해 12월에는 조선의사회가 창립되었다.[1] 1947년 5월 조선의학협회가 창립되었으며,[1]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동시에 대한의학협회로 개칭하였다.[1] 1949년 7월 세계의사회(WMA)에 가입하였다.[1]
3. 3. 대한의학협회 ~ 대한의사협회 (1949년 ~ 현재)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동시에 대한의학협회로 이름을 바꾸었다.[1] 1949년 7월 세계의사회(WMA)에 가입하였고,[1] 1995년 5월 대한의사협회로 이름을 다시 바꾸었다.[1]
대수 | 이름 | 취임일 |
---|---|---|
32 | 신상진 | 2001년 10월 27일 |
35 | 주수호 | 2007년 6월 28일 |
36 | 경만호 | 2009년 5월 1일 |
38 | 추무진 | 2014년 6월 19일 |
40 | 최대집 | 2018년 5월 1일 |
41 | 이필수 | 2021년 5월 1일 |
42 | 임현택 | 2024년 5월 1일 |
2002년 7월 6일 의료정책연구소를 개소하였다.[1] 2008년 10월 15일 세계의사회(WMA) 서울총회를 개최하였다.[1] 2010년 1월 30일 아이티 지진참사 의료지원단을 파견하였고,[1] 2013년 11월 26일 대한의사협회 의료배상공제조합을 출범하였다.[1]
4. 조직
대한의사협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중앙윤리위원회, 의학회(186개 전문학회), 의료정책연구소, 협의회, 지부 등으로 구성된다.[1] 협의회에는 개원의협의회, 공직의협의회, 전공의협의회, 공보의협의회, 병원의사협의회가 있고, 지부에는 시도지부, 해외지부, 군전지부가 있다.[1]
4. 1. 대의원총회
대한의사협회에는 감사가 있다.[1]4. 1. 1. 회장
대한의사협회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중앙윤리위원회, 의학회(186개 전문학회), 의료정책연구소, 협의회, 지부 등으로 구성된다. 협의회에는 개원의협의회, 공직의협의회, 전공의협의회, 공보의협의회, 병원의사협의회가 있다. 지부에는 시도지부, 해외지부, 군전지부가 있다.5. 의학용어위원회
대한의사협회는 1976년 의학용어제정위원회를 모태로 의학용어위원회를 설립했다. 이 위원회는 국민과 의료인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및 정보 공유를 목표로 하며, 의학용어의 표준화 및 정비, 한글 의학용어 개발 및 보급을 담당한다.
5. 1. 의학용어집 발간 역사
대한의사협회에서는 국민과 의료인 사이의 원활한 정보 전달,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를 위해 1976년 의학용어제정위원회를 모태로 의학용어위원회를 만들었으며, 의학용어의 표준화 작업 및 정비 작업, 한글 의학용어의 개발 및 보급 등을 맡고 있다.연도 | 내용 | 비고 |
---|---|---|
1977년 | 의학용어집 제1집 발간 | 2만여 개 용어 수록 |
1983년 | 의학용어집 제2집 발간 | 4만 8천여 개 용어 수록 |
1992년 | 의학용어집 제3집 발간 | 12만여 개 용어 수록, 1988년 한글 맞춤법 반영 |
2001년 | 의학용어집 제4판 발간 | 5만여 개 용어 수록 |
2006년 | 필수 의학용어집 발간 | 제4판 수정 보완판 |
2009년 | 의학용어집 제5판 발간 | 5만 7천여 개 용어 수록 |
2015년 | 의학용어집 제5-1판 (온라인) | 제5판 수정 보완판 (온라인 발행) |
2020년 | 의학용어집 제6판 발간 | 5만여 개 용어 수록 |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kma.org/[...]
[2]
뉴스
South Korea doctors strike
http://news.bbc.co.u[...]
BBC News
2000-06-20
[3]
논문
Conflict over Introduction of Tele-medicine and Effort to Restore the Health Care System
2014-08-01
[4]
웹사이트
Moon Calls for Stern Action against Doctors' Strike
http://world.kbs.co.[...]
2020-08-26
[5]
웹사이트
Asia Today: SKorea orders doctors to stop strike amid crisis
https://www.fox44new[...]
2020-08-26
[6]
뉴스
South Korea's Coronavirus Response Under Pressure as Doctors Plan Strike
https://www.wsj.com/[...]
2020-08-13
[7]
웹사이트
Prime Minister Urges Doctors on Strike to Immediately Return to Work
http://world.kbs.co.[...]
2020-08-26
[8]
웹사이트
Why are nearly 10,000 junior doctors in South Korea on strike?
https://www.euronews[...]
2024-06-12
[9]
웹사이트
JKMA
https://jkma.org
2017-05-04
[10]
법률
의료법 제28조 (중앙회와 지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필수의료법’ ‘지역의사양성법’, 당·정·대 “연내 정기국회 처리”
당정 “필수의료법·지역의사양성법 정기국회 처리”…의료격차 해소 해법 될까
“도수치료 진료비 병원마다 큰 차이”…환자 체감할 실손보험 개혁은
의협 "에토미데이트·아티반 의약품 공급 중단되면 극심 혼란"
자살위험·뇌전증 환자 약품 공급 중단 위기…의협 “대체약 없다”
전공의노조 공식 출범…“전공의 인권 보장 활동할 것”
“타투는 나, 그림, 순간, 사랑”…1300만명 불법 굴레 벗을까
의협 "공공의대 과거에 실패한 정책…재추진 의료계와 논의해야"
[단독] 부천W진병원 양재웅 병원장 등 의료진 11명 무더기 검찰 송치될 듯
안전한 임신중지 시급한데…“약은 위험” 합법화 막는 의협
문신사법 국회 복지위 통과…타투이스트 법제화 눈앞
8월25일 궂긴 소식
“돌아갈 생각 없다”던 박단, 세브란스 전공의 지원
문신사법 제정 움직임에 의협 "위험천만…국민 건강 위협할 것"
"의정사태 큰 전환점 앞에 서 있다"…'비대위 재신임' 결과 주목
의대 증원, 숫자 아닌 지역 필수의료진 양성이 관건
의사인력 수급추계위 첫 회의…2027년 의대 정원 논의 본격화
'의대정원 논의' 의사수급추계위 첫 회의…"과학적·객관적으로"
의사 수급추계위 첫 회의…“과학적·객관적 추계 최선 다할 것”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