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레드스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더 레드스킨스는 1982년 잉글랜드 요크에서 결성된 밴드이다. 이들은 스킨헤드 스타일과 레드스킨 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결성되었으며, 사회주의적 메시지를 담은 음악을 연주했다. 1980년대 초반 CNT 레코드에서 첫 싱글을 발매한 후 런던 레코드와 계약하여 활동했으나, 공연 검열, 백인 우월주의자들의 공격 등 여러 사건을 겪었다. 1986년 해체 전까지 1장의 정규 앨범과 여러 싱글을 발표했으며,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음악에 담아 활동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킨헤드 - 막심 마르친케비치
막심 마르친케비치는 러시아의 네오 나치이자 극우 민족주의자로, 스킨헤드 조직을 이끌며 극단주의 활동과 폭력 관련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으며, 2020년 구치소에서 사망했다. - 스킨헤드 - 오이!
오이!는 1970년대 후반 영국에서 시작된 펑크 록의 하위 장르로, 노동자 계층과 청소년 사이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사회 문제에 대한 저항 정신과 거친 음악적 특징을 가진다. - 잉글랜드의 펑크 록 밴드 - 더 잼
1972년 결성되어 1982년 해체된 영국의 록 밴드 더 잼은 폴 웰러를 중심으로 모드 문화와 펑크 록을 결합한 음악, 사회 비판적인 가사, 에너지 넘치는 공연으로 인기를 얻으며 "In the City", "The Eton Rifles", "Going Underground", "Town Called Malice" 등의 히트곡과 6장의 정규 앨범으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잉글랜드의 펑크 록 밴드 - 슬리츠
슬리츠는 1976년 런던에서 결성된 영국의 여성 펑크 록 밴드로, 1979년 데뷔 앨범 《Cut》을 발표하고 펑크 록, 레게, 덥 등 다양한 음악 스타일을 시도하며 여성주의적 메시지를 전달했다. - 잉글랜드의 사회주의자 - 제러미 코빈
제러미 코빈은 1949년 윌트셔주에서 태어난 영국의 정치인으로, 노동당 당수와 야당 대표를 역임하고 이즐링턴 노스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활동했으며, 사회주의적 입장을 표방하며 진보적인 정책을 펼쳤다. - 잉글랜드의 사회주의자 - 버트런드 러셀
버트런드 러셀은 20세기 분석철학의 기초를 다지고 수학의 논리적 환원을 시도한 영국의 철학자, 논리학자, 수학자, 역사가, 사회 비평가, 정치 운동가로, 평화 운동에 참여했으며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여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더 레드스킨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출신지 | 잉글랜드, 요크 |
| 장르 | 펑크 록 소울 로커빌리 팝 아나코 펑크 |
| 활동 기간 | 1982년–1986년 |
| 레이블 | 데카 런던 폴리그램 |
| 구성원 | |
| 과거 구성원 | 크리스 딘 (Chris Dean) 마틴 휴스 (Martin Hewes) 닉 킹 (Nick King) 폴 훅햄 (Paul Hookham) 로이드 드와이어 (Lloyd Dwyer) 스티브 니콜 (Steve Nicol) 케빈 로빈슨 (Kevin Robinson) 트레버 에드워즈 (Trevor Edwards) 레이 칼레스 (Ray Carless) |
| 웹사이트 | |
| 웹사이트 | Neither Washington Nor Moscow |
2. 역사
더 레드스킨스는 1982년 영국 요크에서 결성되었으며, 초기에는 펑크 밴드의 영향을 받은 음악을 선보였다. 사회주의노동자당(SWP)과 깊은 연관성을 가졌으며, 멤버들이 직접 당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스킨헤드 문화 중에서도 좌파적 성향의 '레드스킨' 운동에 영감을 받아 밴드 이름을 짓고, 음악적 스타일에도 반영했다.
결성 초기 멤버는 크리스 딘, 마틴 휴스, 닉 킹이었으나, 1985년 닉 킹은 폴 후크함으로 교체되었다. 다만, 밴드의 첫 번째 EMI/Decca 싱글 "Bring it Down" 녹음에는 스타일 카운슬의 드러머 스티브 화이트가 참여했다.[11]
2. 1. 결성 초기 (1982-1983)
더 레드스킨스는 1982년 잉글랜드 요크에서 결성되었다. 이전에 활동하던 밴드 '노 스와스티카스'가 해체된 후, 크리스 딘(보컬/기타), 마틴 휴스(베이스/백 보컬), 닉 킹(드럼)이 모여 밴드를 만들었다.[4] 크리스 딘은 'X. 무어'라는 필명으로 NME에 글을 기고했으며, 딘과 휴스는 사회주의노동자당 당원이었다. 밴드 멤버들은 스킨헤드 스타일의 옷을 입었고, 레드스킨 운동에서 영감을 받았다.[20]1982년 CNT 레코드 레이블에서 첫 싱글 레프 브론슈타인을 발매했다.[5] 이후 런던 레코드와 계약하기 전 CNT에서 〈Lean On Me〉를 발매했는데,[6] 이 곡은 NME가 선정한 1983년 '올해의 트랙' 톱 10에서 6위를 차지했다.[7]
2. 2. 런던 레코드 시절과 사건사고 (1984-1986)
1984년 6월 10일, GLC가 후원하는 "변화를 위한 일자리" 축제가 주빌리 가든, 사우스 뱅크에서 열렸는데, 이때 백인 우월주의 스킨헤드 집단이 밴드와 관객을 공격했다.[8][9] 같은 해 11월, 채널 4의 ''The Tube''에 출연했을 때는 밴드가 공연 중 파업 중인 광부를 초대하여 연설을 하도록 했으나, 그의 마이크 연결이 끊겼다는 혐의로 검열 논란이 일기도 했다.[10]1985년에는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을 위한 자선 음반으로 싱글 "Kick Over The Statues"를 발매하려 했으나, 런던/데카가 발매를 거부하여 무명으로 독립 레이블에서 발매해야 했다.[11][12] 이후 밴드는 정규 앨범 ''Neither Washington Nor Moscow''와 마지막 싱글 두 장을 발매하고 1986년 말 해체했다.[13]
3. 구성원
| 이름 | 역할 | 활동 기간 |
|---|---|---|
| 크리스 딘 | 보컬, 기타 | 1982년–1986년 |
| 마틴 휴스 | 베이스, 보컬 | 1982년–1986년 |
| 닉 킹 | 드럼 | 1982년–1985년 |
| 폴 후컴 | 드럼 | 1985년–1986년 |
| 로이드 드와이어 | 색소폰 | 1982년–1985년 |
| 스티브 니콜 | 트럼펫 | 1982년–1985년 |
| 케빈 로빈슨 | 트럼펫 | 1986년 |
| 트레버 에드워즈 | 트롬본 | 1986년 |
| 레이 칼리스 | 테너 색소폰 | 1986년 |
4. 디스코그래피
=== 정규 음반 ===
| 음반 제목 | 발매 연도 | 발매사 | 비고 |
|---|---|---|---|
| Neither Washington Nor Moscow | 1986 | Decca FLP1 | 영국 음반 차트 31위[14] |
| Neither Washington Nor Moscow | 1997 | London Records 828864 | 보너스 트랙 2곡 포함 재발매[15] |
| Live | 1995 | Dojo | |
| Epilogue | 2010 | Insurgence | [5][16] |
=== 싱글 및 EP ===
| 발매 연도 | 싱글 및 EP 제목 | 비고 |
|---|---|---|
| 1982 | "Lev Bronstein" / "Peasant Army" | 7", CNT productions CNT007 |
| 1983 | "Lean on Me" / "Unionize" | 7", CNT productions CNT016, 영국 인디 차트 3위 |
| 1983 | "Lean on Me" (Northern Mix) / "Unionize" (Break Mix) | 12" CNTX16 |
| 1984 | "Keep on Keepin' On!" / "Reds Strike The Blues" | 7", Decca F1, 영국 싱글 차트 43위 |
| 1984 | "Keep on Keepin' On!" / "16 Tons" / "Red Strikes the Blues" | 12" Decca FX1 |
| 1985 | "Bring It Down (This Insane Thing)" | 2x7", Decca FDP2, 영국 싱글 차트 33위 |
| 1985 | "Bring It Down (This Insane Thing)" / "You Want It? They've Got It!" | 12" Decca FX2 |
| 1985 | "Kick Over The Statues" / "Young & Proud (Anthem of Mistake)" | 7" Abstract AD6 |
| 1986 | "The Power Is Yours" / "Ninety Nine and a Half (Won't Do)" | 7" Decca F3, 영국 싱글 차트 59위 |
| 1986 | "The Power Is Yours" / "Ninety Nine and a Half (Won't Do)" / "Take No Heroes!" | 12" Decca FX3 |
| 1986 | "It Can Be Done" / "K.O!K.O!" | 7" Decca F4, 76위 |
| 1986 | "It Can Be Done" / "Let's Make it Work" / "K.O!K.O!" / "A Plateful of Hateful" | 12" Decca FX4 |
| 1986 | "The Power Is Yours" (propaganda EP) / "It Can Be Done" / "Let's Make It Work" / "K.O!K.O!" / "A Plateful of Hateful" | 10", Decca FXT3 (propaganda EP), 10" Decca FXT4 (러시아 수입) |
| 1987 | "Peel sessions" | 12", Strange Fruit SFPS 030, 영국 인디 차트 23위 |
수정 내용:
1. 가독성을 위해 정규 음반과 싱글/EP 목록을 분리하여 각각 별도의 표로 작성.
2. 정규 음반 표에 '음반 종류' 열을 추가하여 라이브 음반과 구별.
3. 기존 표에서 중복되는 열 제목('발매 연도')을 제거하고, 필요한 정보 (발매사, 비고)를 추가하여 표의 가독성 및 정보 전달력 향상.
4. 1. 정규 음반
- ''Neither Washington Nor Moscow'' (1986, Decca FLP1) – (영국 음반 차트 31위)[14]
- ''Neither Washington Nor Moscow'' (CD, 1997, London Records 828864) [보너스 트랙 2곡 포함 재발매][15]
- ''Live'' (1995, Dojo)
- ''Epilogue'' (2010, Insurgence)[5][16]
4. 2. 싱글 및 EP
| 발매 연도 | 싱글 및 EP 제목 | 비고 |
|---|---|---|
| 1982 | "Lev Bronstein" / "Peasant Army" | 7", CNT productions CNT007 |
| 1983 | "Lean on Me" / "Unionize" | 7", CNT productions CNT016, 영국 인디 차트 3위 |
| 1983 | "Lean on Me" (Northern Mix) / "Unionize" (Break Mix) | 12" CNTX16 |
| 1984 | "Keep on Keepin' On!" / "Reds Strike The Blues" | 7", Decca F1, 영국 싱글 차트 43위 |
| 1984 | "Keep on Keepin' On!" / "16 Tons" / "Red Strikes the Blues" | 12" Decca FX1 |
| 1985 | "Bring It Down (This Insane Thing)" | 2x7", Decca FDP2, 영국 싱글 차트 33위 |
| 1985 | "Bring It Down (This Insane Thing)" / "You Want It? They've Got It!" | 12" Decca FX2 |
| 1985 | "Kick Over The Statues" / "Young & Proud (Anthem of Mistake)" | 7" Abstract AD6 |
| 1986 | "The Power Is Yours" / "Ninety Nine and a Half (Won't Do)" | 7" Decca F3, 영국 싱글 차트 59위 |
| 1986 | "The Power Is Yours" / "Ninety Nine and a Half (Won't Do)" / "Take No Heroes!" | 12" Decca FX3 |
| 1986 | "It Can Be Done" / "K.O!K.O!" | 7" Decca F4, 76위 |
| 1986 | "It Can Be Done" / "Let's Make it Work" / "K.O!K.O!" / "A Plateful of Hateful" | 12" Decca FX4 |
| 1986 | "The Power Is Yours" (propaganda EP) / "It Can Be Done" / "Let's Make It Work" / "K.O!K.O!" / "A Plateful of Hateful" | 10", Decca FXT3 (propaganda EP), 10" Decca FXT4 (러시아 수입) |
| 1987 | "Peel sessions" | 12", Strange Fruit SFPS 030, 영국 인디 차트 23위 |
5. 사회적 영향 및 평가
더 레드스킨스는 음악을 통해 사회주의적 이념을 전파하고 사회 운동에 적극 참여함으로써 1980년대 영국 사회에 영향을 미쳤다. 이들은 스킨헤드 문화와 사회주의를 결합한 독특한 정체성을 확립했고, 이는 당시 젊은 세대에게 큰 반향을 일으켰다.[20][4] 1984년 6월 10일, GLC가 후원하는 "변화를 위한 일자리" 축제에서 백인 우월주의 스킨헤드 집단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8][9] 1984년 11월 채널 4의 ''The Tube'' 출연 당시 파업 중인 광부를 초대하여 연설을 하게 했으나, 그의 마이크 연결이 끊겼다는 혐의로 검열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10]
이들의 활동은 음악을 통한 사회 참여의 한 형태로 평가할 수 있으며, 대한민국의 민중가요 운동과 유사성을 보인다.
참조
[1]
웹사이트
'Redskins | Biography, Albums, Streaming Link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0-06-01
[2]
웹사이트
'Home | Neither Washington Nor Moscow'
http://www.redskins.[...]
2020-06-01
[3]
웹사이트
The Redskins Tribute: A Flame That Can't Be Dimmed
https://web.archive.[...]
2020-06-01
[4]
웹사이트
The Redskins:Brothers Under The Skin
http://www.geocities[...]
2020-06-01
[5]
웹사이트
Struggling for soul-cialism
http://socialistwork[...]
2020-06-01
[6]
링크
https://web.archive.[...]
[7]
간행물
Albums and Tracks of the Year
https://www.nme.com/[...]
2018-02-23
[8]
웹사이트
Interview -> the Redskins – 1986
http://www.sozialism[...]
2020-06-01
[9]
웹사이트
'Nicky Crane: The secret double life of a gay neo-Nazi – BBC News'
https://www.bbc.co.u[...]
BBC
2020-06-01
[10]
웹사이트
The Redskins: Norman Strike Article
http://www.geocities[...]
2020-06-01
[11]
웹사이트
'Redskins – Kick Over The Statues! / Young And Proud (Anthem of Mistake) – Abstract Dance – UK – AD 6'
http://www.45cat.com[...]
2020-06-01
[12]
웹사이트
'Home | Neither Washington Nor Moscow'
http://www.redskins.[...]
2020-06-01
[13]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14]
Discogs
The Redskins – Neither Washington Nor Moscow (Vinyl, LP, Album) at Discogs
http://www.discogs.c[...]
[15]
Discogs
Redskins – Neither Washington Nor Moscow (CD, Album) at Discogs
http://www.discogs.c[...]
[16]
웹사이트
The Redskins Epilogue Album Review
http://soundsxp.com/[...]
2020-06-01
[17]
웹인용
'Redskins | Biography, Albums, Streaming Links'
https://www.allmusic[...]
AllMusic
2020-06-01
[18]
웹인용
'Home | Neither Washington Nor Moscow'
http://www.redskins.[...]
2020-06-01
[19]
웹인용
The Redskins Tribute: A Flame That Can't Be Dimmed
https://web.archive.[...]
2020-06-01
[20]
웹인용
The Redskins:Brothers Under The Skin
http://www.geocities[...]
2020-06-01
[21]
링크
https://web.archive.[...]
[22]
잡지
Albums and Tracks of the Year
https://www.nme.com/[...]
2018-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