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쿄도 사진미술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쿄도 사진미술관은 1990년 임시 개관 후 1995년 에비스 가든 플레이스로 이전하여 정식 개관한 일본 최초의 사진 갤러리 중 하나이다. 개관 이후 특정 사진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제의 전시회를 개최해왔으며, 2014년부터 2016년까지 리모델링을 거쳐 '톱 뮤지엄'이라는 애칭을 얻었다. 애니메이션, 비디오 게임 관련 전시와 함께 사진 관련 서적을 소장한 도서실을 운영하며, 후지모토 시하치, 브루스 길든 등 다양한 작가의 작품을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사진 박물관 - 다쿠신칸
    다쿠신칸은 홋카이도 비에이의 풍경을 담은 사진가 마에다 신조의 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로, 아름다운 정원과 함께 폐교된 초등학교 부지에 설립되었으며, 그의 아들 마에다 아키라의 작품도 감상할 수 있는 무료 관람 시설이다.
  • 1990년 설립된 미술관 - 이스트 사이드 갤러리
    이스트 사이드 갤러리는 베를린 장벽 동쪽에 조성된 세계에서 가장 길고 오래된 야외 갤러리로, 세계 각국 예술가들의 그림 105점으로 이루어져 변화와 희망을 표현하며 베를린 장벽 재단에서 관리하는 역사적 기념 장소이다.
  • 1990년 설립된 미술관 - 와타리움 미술관
    와타리움 미술관은 스위스 건축가 마리오 보타가 설계하여 1990년 개관한 일본 도쿄 소재의 현대 미술관으로, 국제적인 작가 전시 개최와 일본 및 아시아 작가 교류에 기여하고 있다.
  • 메구로구의 건축물 - 도쿄 공업대학
    도쿄 공업대학은 1881년 도쿄 직공학교에서 시작된 일본 국립대학으로, 이공계 분야에서 세계적인 교육 및 연구를 제공하며, 2024년 도쿄 과학 대학으로 교명 변경 및 도쿄 의과 치과 대학 흡수 합병을 앞두고 있다.
  • 메구로구의 건축물 - 도쿄 과학대학
    도쿄 과학대학은 2024년 10월 도쿄공업대학과 도쿄 의과치과대학의 합병으로 설립된 일본의 대학이며, 이공계 분야 교육 및 연구를 위해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고,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도쿄도 사진미술관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도쿄도 사진 미술관 입구 2011년 1월
도쿄도 사진 미술관 입구 (2011년 1월)
설립1990년
위치메구로구, 도쿄, 일본
방문객 수415,000명 (2008년)
관장후쿠하라 요시하루 (2000년–), 참조: 후쿠하라 아리노부
웹사이트topmuseum.jp
미술관 정보
종류미술관
분야사진, 영상 (동영상)
사업 주체도쿄도
관리 운영공익재단법인 도쿄도역사문화재단
소재지 우편번호153-0062
소재지도쿄도메구로구 미타 1초메 13번 3호 에비스 가든 플레이스 내

2. 연혁

1995년 정식 개관 이후,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어필하기 위해 ''애니메이션''과 비디오 게임 전시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갤러리 도서관에는 상당한 양의 사진 관련 서적이 소장되어 있다.[3]

2008년 말 현재, 이 갤러리에는 외부에서 이용 가능한 인쇄된 카탈로그나 전자 카탈로그가 없었다. 그러나 ''328 Outstanding Japanese Photographers''[3] 책에는 2000년대 초 갤러리의 영구 소장품에 포함된 300명 이상의 사진가들의 샘플 사진에 대한 설명과 작은 사진이 제시되어 있다.[4] 대부분의 개별 전시회에는 인쇄된 전시 카탈로그가 제공되지만, 일본에서는 관례적으로 이러한 카탈로그들 대부분은 ISBN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일반 서적처럼 유통되지 않고 박물관 자체에서만 판매된다.[3]

영구 소장품에는 후지모토 시하치, 브루스 길든[5], 이마이 히사에, 이와미야 타케지, 코모토 아키라, 쿠마가이 모토이치, 쿠라타 세이지, 마츠모토 미치코, 모리카와 아이조, 모리와키 에이이치, 나이토 타다유키, 니시야마 키요시, 오이시 요시노, 사토 코지, 사토 토키히로, 시미즈 부코, 시오미 미에코, 시오타니 테이코, 라구비르 싱, 타카나시 유타카, 토키와 토요코, 토미야마 하루오, 야마모토 칸스케 등의 작품이 포함되어 있다.[3]

2016년 현재, 건물이나 연구 시설의 입장료는 없지만, 각 전시회마다 입장료가 부과된다.

2. 1. 설립 배경

1986년 11월, 도쿄도는 제2차 장기 계획에서 "사진 문화 시설 설치"를 발표했다.[1]

2. 2. 임시 개관

1990년(헤이세이 2년) 6월, 시부야구 에비스 4초메 19-24에 있던 라이브 하우스 건물을 이용하여 임시 시설로 개관하였다.[6] (구 경계를 두고 있지만, 메구로구 미타의 현 소재지에서 300m 정도 떨어진 위치)[6] 당시 이 미술관은 한 사진가의 작품에만 전념하지 않는 일본 최초의 사진 갤러리 중 하나였다. 그 이후 대부분의 전시회는 특정 사진가가 아닌 주제별로 진행되었지만, 베레니스 애보트 (1990)와 하야시 타다히코 (1993–94)와 같은 과거의 사진가, 그리고 마틴 파 (2007)와 츠치다 히로미 (2008)를 포함한 생존 사진가들의 전시회도 열렸다.[3]

2. 3. 정식 개관

1990년 임시 건물에서 개관한 도쿄도 사진미술관은 1995년 에비스 가든 플레이스에 위치한 현재의 건물로 이전하며 "도쿄도 사진미술관"으로 정식 개관하였다.[6] 당시 이 미술관은 특정 사진작가의 작품만을 전시하는 것이 아닌, 일본 최초의 사진 갤러리 중 하나였다.[3] 1991년 8월에 에비스 가든 플레이스 및 미술관 종합 시설이 착공되어, 1994년 8월에 완공되었다.[6]

2. 4. 리뉴얼

2014년 9월 24일부터 2016년 8월 말까지 개수 공사를 위해 장기간 휴관하였다.[6] 리뉴얼 오픈은 2016년 9월에 하였으며, 이때 애칭을 "톱 뮤지엄(TOP MUSEUM)"으로 정하였다.

3. 주요 전시 및 소장품

도쿄도 사진미술관은 다양한 사진 및 영상 작품을 전시하고 소장하고 있다. 1990년 임시 건물에서 개관한 이후, 1995년 에비스 가든 플레이스의 현재 건물로 이전했다.

개관 초기에는 일본 최초의 사진 전문 미술관 중 하나로, 특정 사진작가의 작품뿐만 아니라 주제별 전시회도 개최했다. 베레니스 애보트(1990년), 하야시 타다히코(1993–94년), 마틴 파(2007년), 츠치다 히로미(2008년) 등 다양한 사진작가들의 전시회가 열렸다. 또한, ''애니메이션''과 비디오 게임 전시회도 개최하여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어필하고 있다.

전시 시설로는 3층(사진 공동 기획전 또는 대관 회장, 495㎡), 2층(사진 자체 기획전 회장, 495㎡), 지하 1층(사진 외 영상 일반전용 영상 전시실, 532㎡)이 있다.

아라키 노부요시, 우에다 쇼지, 키무라 이헤이, 스다 잇세이, 히가시마츠 조메이, 나라하라 이코, 하마야 히로시, 하야시 타다히코, 호소에 에이코, 모리야마 다이도, 와타나베 요시오 등 일본 대표 작가들의 작품을 다수 소장하고 있다.

3. 1. 주요 전시회

도쿄도 사진미술관은 1995년 에비스 가든 플레이스에 개관한 이후, 특정 사진가의 개인전과 주제별 전시회를 개최해 왔다.

개인전으로는 베레니스 애보트(1990년), 하야시 타다히코(1993–94년), 마틴 파(2007년), 츠치다 히로미(2008년) 등이 열렸다.[3]

또한, 어린이와 성인 모두를 위해 ''애니메이션''과 비디오 게임 전시회도 개최하여 사진 외 영상 문화도 다루고 있다.

대부분의 개별 전시회는 인쇄된 전시 카탈로그를 제공하지만, ISBN이 없어 박물관 자체에서만 판매된다.[4]

3. 2. 주요 소장 작가

아라키 노부요시, 우에다 쇼지, 키무라 이헤이, 스다 잇세이, 히가시마츠 조메이, 나라하라 이코, 하마야 히로시, 하야시 타다히코, 호소에 에이코, 모리야마 다이도, 와타나베 요시오 등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의 작품을 다수 소장하고 있다.

또한, 후지모토 시하치, 브루스 길든[5], 이마이 히사에, 이와미야 타케지, 코모토 아키라, 쿠마가이 모토이치, 쿠라타 세이지, 마츠모토 미치코, 모리카와 아이조, 모리와키 에이이치, 나이토 타다유키, 니시야마 키요시, 오이시 요시노, 사토 코지, 사토 토키히로, 시미즈 부코, 시오미 미에코, 시오타니 테이코, 라구비르 싱, 타카나시 유타카, 토키와 토요코, 토미야마 하루오, 야마모토 칸스케 등의 작가들의 작품도 소장하고 있다.

2000년대 초 갤러리의 영구 소장품에 포함된 300명 이상의 사진가들의 샘플 사진에 대한 설명과 작은 사진을 제시하는 ''328 Outstanding Japanese Photographers''[3][4]라는 책이 있다.

4. 시설

1990년 임시 건물에서 개관하여 1995년 에비스 가든 플레이스의 현재 건물로 이전한 도쿄도 사진미술관은, 개인의 이름을 딴 곳을 제외한 사진 일반 미술관으로는 일본 최초이다.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어필하기 위해 ''애니메이션''과 비디오 게임 전시회를 개최하며, 갤러리 도서관에는 상당한 양의 사진 관련 서적을 소장하고 있다. 2016년 현재, 건물이나 연구 시설의 입장료는 없지만, 각 전시회마다 입장료가 부과된다.

1차 개관 이후, 국내외 사진 작품을 소개하고 있으며, 애니메이션과 비디오 게임 등 사진 외의 영상 문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아라키 노부요시, 우에다 쇼지, 키무라 이헤이, 스다 잇세이, 히가시마츠 조메이, 나라하라 이코, 하마야 히로시, 하야시 타다히코, 호소에 에이코, 모리야마 다이도, 와타나베 요시오 등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의 작품을 다수 소장하고 있다.

4. 1. 전시 시설

도쿄도 사진미술관의 전시 시설은 3층, 2층, 지하 1층에 마련되어 있다. 3층은 공동 기획전 또는 대관 회장으로, 2층은 자체 기획전 회장으로 사용된다. 지하 1층은 사진 외 영상물을 위한 전시실이다.[1] 각 전시실의 면적은 다음과 같다.

층수용도면적
3층공동 기획전 또는 대관495m2
2층자체 기획전495m2
지하 1층영상 전시실532m2


4. 2. 도서실

4층 도서실에는 도서 36,500권, 잡지 1,400종이 소장되어 있다.[1]

도서실 소장 자료 현황[1]
구분수량
도서36,500권
잡지1,400종


4. 3. 기타 시설

1층 홀(283㎡)에서는 신작 영화를 개봉하고 있다. 그 외에 뮤지엄 숍, 카페 등도 갖추고 있다.[2]

5. 역대 관장

대수이름재임 기간
1와타나베 요시오1990년 6월 ~ 1995년 3월
2미키 타몬1995년 4월 ~ 2000년 3월
3도쿠마 야스요시2000년 4월 ~ 2000년 9월
4후쿠하라 요시하루2000년 11월 ~ 2016년 3월
5이토 신이치로2016년 3월 ~ 2021년 4월


6. 발행물

2012년 현재, 도쿄도 사진미술관 뉴스 "eyes"(계간), 도쿄도 사진미술관 기요(연간), 도쿄도 사진미술관 연보를 발행하고 있다.

7.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Annual Report: Tokyo Metropolitan Museum of Photography 2008-09 http://www.syabi.com[...] Tokyo Metropolitan Museum of Photography 2011-01-13
[2] 문서
[3] 서적 Nihon shashinka jiten Tankōsha 2000
[4] 문서
[5] 웹사이트 Collection http://digitalmuseum[...] Tokyo Metropolitan Museum of Photography 2014-09-02
[6] 웹사이트 Schedule http://syabi.com/e/c[...]
[7] 웹사이트 東京都写真美術館条例 https://www.reiki.me[...]
[8] 웹사이트 都立文化施設の指定管理者について http://www.seikatubu[...]
[9] 웹사이트 '『収集の基本方針』より' http://www.syabi.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