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돈 보더 투 노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돈 보더 투 노크'는 로이 워드 베이커가 감독하고 마릴린 먼로가 출연한 1952년 미국의 심리 스릴러 영화이다. 호텔 라운지 가수 린 레슬리는 조종사 제드 타워스와의 관계를 정리하려 하고,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베이비시터 넬 포브스는 제드에게 묘한 호기심을 느낀다. 넬은 과거의 상처로 인해 현실과 망상을 넘나들며 위험한 행동을 하고, 결국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영화는 개봉 당시에는 혹평을 받았지만, 현대에는 먼로의 연기를 재평가하며 심리 스릴러로서의 긴장감을 호평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영화 - 움베르토 디
    가난과 고독 속 은퇴 공무원 움베르토가 집주인에게 쫓겨날 위기에 처하며 하녀, 강아지와 고군분투하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움베르토 D.》는 사회적 약자의 어려움을 보여주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 1952년 영화 - 말 없는 사나이
    1952년 존 포드 감독의 영화 《말 없는 사나이》는 아일랜드로 돌아온 은퇴 권투 선수 션 손턴(존 웨인)의 사랑과 갈등을 그린 로맨틱 코미디 드라마로, 존 웨인과 모린 오하라가 주연을 맡아 아카데미 감독상과 촬영상을 수상하고 아름다운 풍경과 유쾌한 스토리로 사랑받았다.
  • 호텔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대니 콜린스 (영화)
    전성기가 지난 록스타 대니 콜린스가 존 레넌의 편지를 계기로 방탕한 과거를 반성하고 아들과의 관계 회복 및 새로운 삶을 찾아나서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 호텔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몬스터 호텔 2
    《몬스터 호텔 2》는 드라큘라가 손자 데니스를 몬스터로 만들기 위해 훈련시키고, 마비스는 데니스를 인간 세상에서 키우려 하면서 갈등이 생기지만, 몬스터와 인간이 서로를 이해하고 화합하는 내용을 담은 영화이다.
  • 누아르 영화 - 잃어버린 주말
    《잃어버린 주말》은 알코올 중독자의 고통스러운 주말을 그린 영화로, 술을 구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주인공의 절망적인 상황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며, 제18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러 부문을 수상했다.
  • 누아르 영화 - 야수 (2006년 영화)
    야수 (2006년 영화)는 이복동생 살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만난 형사와 검사가 거대 조직 보스를 처벌하려 하지만, 법의 한계에 부딪혀 그들만의 방식으로 제압하는 내용을 그린 영화이다.
돈 보더 투 노크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마릴린 먼로|먼로]]와 [[리처드 위드마크|위드마크]]
먼로위드마크
원제Don't Bother to Knock
감독로이 워드 베이커
각본대니얼 타라다시
원작샬럿 암스트롱의 "Mischief" (미스터리 소설)
제작줄리안 블로스타인
주연리처드 위드마크, 마릴린 먼로
음악라이오넬 뉴먼
촬영루시엔 발라드
편집조지 A. 기튼즈
제작사20세기 폭스
배급사20세기 폭스
개봉일1952년 7월 18일 (미국)
상영 시간76분
제작 국가미국
언어영어
흥행 수입150만 달러

2. 줄거리

뉴욕 맥킨리 호텔에서 엘리베이터 보이로 일하는 에디는 조카 넬을 호텔 투숙객 존스 부부의 어린 딸 베이비시터로 소개한다. 한편, 파일럿 제드는 연인 린에게 이별을 통보받고 기분이 언짢은 상태로 호텔 방에 돌아온다. 제드는 맞은편 방에 있는 넬을 보고 호기심을 느껴 전화를 걸고, 넬 또한 제드에게 호감을 느껴 그를 방으로 초대한다.

넬은 제드가 파일럿이라는 것을 알게 되자 태도가 돌변한다. 과거 파일럿이었던 연인을 잃은 넬은 정신적인 문제를 겪고 있었고, 제드를 죽은 연인으로 착각하며 비상식적인 행동을 하기 시작한다.

2. 1. 엇갈리는 만남

린 레슬리는 뉴욕의 맥킨리 호텔에서 라운지 가수로 일하며, 연인인 항공기 조종사 제드 타워스와의 관계를 끝냈다고 바텐더에게 이야기한다. 6개월간의 관계를 편지로 끝냈지만, 제드는 같은 호텔에 투숙하고 있었고 린에게 다가온다. 린은 제드의 냉정함이 "마음의 이해심 부족"을 보여주기 때문에 미래가 없다고 설명하지만, 제드는 이별을 강하게 거부하고 자신의 방으로 돌아간다.

한편, 엘리베이터 조작원 에디는 내성적인 조카 넬 포브스를 손님 피터와 루스 존스 부부에게 딸 바니의 베이비시터로 소개한다. 존스 부부가 아래층 시상식 연회에 간 사이, 넬은 루스의 잠옷, 보석, 향수, 립스틱을 착용해 본다. 제드는 통풍구를 통해 넬을 보고 호텔 전화를 걸어 말을 건다. 넬은 그의 접근을 거부하지만, 에디가 확인하러 왔을 때 넬이 루스의 물건을 착용한 것을 보고 경악하며 벗으라고 명령한다. 에디는 넬에게 과거 비행기 사고로 죽은 조종사 애인을 대신할 남자친구를 찾아 그런 사치를 누릴 수 있다고 말하고 떠난다. 넬은 다시 루스의 물건들을 착용하고 제드를 부른다.

제드는 위스키 한 병을 가져와 넬에게 따라준다. 넬은 자신을 부유한 세계 여행자로 묘사하며 거짓말을 한다. 넬은 제드가 조종사라는 것을 알고 깜짝 놀라며, 남자 친구 필립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폭격기를 하와이로 비행하다가 죽었다고 털어놓는다. 뭔가 잘못되고 있음을 알아챈 바니가 나타나 넬의 속임수를 깨뜨린다. 격분한 넬은 아이를 흔들며 침대에 들어가라고 명령한다. 제드는 그녀의 흐느낌을 듣고 위로하며 함께 있게 한다. 바니가 넬 옆 열린 창밖으로 몸을 내밀자, 넬은 그녀를 밀어낼 충동과 싸운다. 제드는 바니를 낚아채지만, 이 사건은 호텔에 오래 거주하며 소문이 자자한 엠마 발루에게 목격된다.

제드의 시야에서 벗어난 넬은 바니를 위협하며 다시 침대에 눕힌다. 사건과 넬의 변화에 충격을 받은 제드는 린을 생각한다. 넬은 그에게 떠나지 말라고 간청한다. 제드가 그녀의 키스를 피하려 할 때, 그녀의 손목에 칼로 그은 뚜렷한 흉터를 본다. 넬은 필립이 죽은 후 면도칼로 자살을 시도했다고 고백한다.

마릴린 먼로가 불안정한 베이비시터 ''넬'' 역을 맡았다.


에디가 근무가 끝난 후 넬을 확인하러 왔을 때, 넬은 제드를 욕실로 밀어 넣고 방을 정리한다. 넬이 여전히 루스의 물건을 입고 있는 것에 분노한 에디는 옷을 갈아입으라고 명령하고 립스틱을 거칠게 지운다. 넬은 에디가 억압적인 부모와 똑같다고 비난하며, 욕실에 누군가 있다고 의심하자 무거운 재떨이로 그의 머리를 때린다. 제드가 에디를 돌보는 동안 넬은 바니의 방으로 들어간다.

2. 2. 불안한 심리

넬은 과거의 상처와 현실을 혼동하며 불안정한 심리 상태를 보인다. 죽은 남자친구 필립을 잊지 못하고 제드를 필립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루스의 잠옷, 보석, 향수, 립스틱을 착용하며 현실 도피적인 행동을 보이고, 아이를 흔들거나 위협하는 등 위험한 행동을 한다.

제드는 넬의 행동에 의문을 품지만, 그녀에게서 눈을 떼지 못한다. 넬이 바니를 위협하는 모습을 목격한 제드는 넬의 손목에 있는 칼로 그은 흉터를 발견하고, 그녀가 과거에 자살을 시도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넬은 자살 시도 후 3년간 정신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지만, 여전히 불안정한 상태였다.

2. 3. 비극적 결말

넬은 점점 위험한 행동을 보인다. 바니를 위협하고, 제드가 린을 생각하며 떠나려 하자 그의 손목에 칼로 그은 흉터를 보여주며 필립이 죽은 후 자살을 시도했다고 고백한다.[1]

에디가 넬을 확인하러 왔을 때, 넬은 제드를 욕실에 숨기고 에디를 재떨이로 공격한다. 이후 넬은 바니를 묶고 입을 막는다.[1] 제드는 바니를 발견하지 못하고 넬의 방에서 나가지만, 발루 부부에게 침입자로 오해받는다. 넬은 제드를 필립이라고 착각할 정도로 망상에 빠진다.[1]

제드는 린에게 넬에 대해 이야기하고, 린은 그의 관심에 놀란다. 제드는 바니가 묶여 있는 것을 발견하고 위층으로 올라간다. 루스 존스가 먼저 도착해 바니를 발견하고 비명을 지른다. 제드는 넬을 제압하고 바니를 풀어주지만, 넬은 도망친다.[1]

에디는 넬이 자살 시도 후 3년간 정신 병원에 있었고, 치료를 받아야 했다고 설명한다. 넬은 면도날을 훔쳐 자해를 시도하려 한다. 린이 넬을 진정시키려 하고, 제드는 넬에게서 면도날을 받아내고 그녀를 설득하여 경찰과 함께 떠나도록 한다. 넬이 끌려가는 동안, 린은 제드의 진정한 공감에 감동받아 그와 화해한다.[1]

3. 등장인물


  • 넬 포브스: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베이비시터. 과거 연인을 잃은 상처를 가지고 있다. (마릴린 먼로)[1]
  • 제드 타워스: 항공 조종사. 넬에게 관심을 갖게 되지만, 그녀의 불안정한 행동에 당황한다. (리처드 위드마크)[4]
  • 린 레슬리: 호텔 라운지 가수. 제드의 연인이지만, 그의 냉정한 태도에 지쳐 이별을 통보한다. (앤 밴크로프트)[2][5]
  • 에디 포브스: 호텔 엘리베이터 보이. 넬의 삼촌으로, 그녀를 걱정한다. (엘리샤 쿡 주니어)[7]
  • 버니 존스: 넬이 돌보는 아이. (도나 코코란)[3][6]
  • 피터 존스: 버니의 아버지. (짐 배커스)[8]
  • 루스 존스: 버니의 어머니. (루렌 터틀)[9]

4. 제작진

역할담당
원작샬롯 암스트롱
감독로이 워드 베이커
각본다니엘 타라데쉬
세트토머스 리틀, 폴 S. 폭스
의상트라빌라


5. 평가

개봉 당시 영화는 엇갈린 평가를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재평가되고 있다. 특히, 마릴린 먼로의 연기는 비평가와 관객 모두에게 호평을 받았다.

뉴욕 포스트영어의 평론가는 먼로에 대해 "놀랍도록 훌륭하다"라고 묘사했다.[2] 올버니 타임스 유니온영어의 평론가는 먼로의 연기가 압도적이지 않다고 평가했다.[3]

영화 평론가 데니스 슈워츠는 2011년 영화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고, 먼로의 연기에 매료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뉴욕 호텔에서만 진행되는 정신 나간 심리 스릴러"라고 평했다.[5] 로튼 토마토에서는 2021년 기준으로 11건의 평론 모두 긍정적이며,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6.8점이다.[9]

5. 1. 비평

영화 평론가들은 배우들의 연기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했지만, 줄거리와 구성에 대해서는 혹평했다. ''뉴욕 포스트''는 메릴린 먼로와 리처드 위드마크의 연기를 칭찬했지만, 영화의 줄거리가 기계적이고 뻔하다고 지적했다.[2] 반면, ''올버니 타임스 유니온''은 먼로의 연기가 압도적이지 않으며, 영화의 이야기가 흥미롭지 않다고 평가했다.[3]

개봉 이후 영화에 대한 평가는 개선되었으며, 많은 현대 비평가들은 먼로의 연기가 과소평가되었다고 여긴다. 현재 먼로 팬들은 이 영화가 그녀의 최고 연기 중 일부를 담고 있다고 평가한다.[4] 영화 평론가 데니스 슈워츠는 2011년 영화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을 내렸고, 먼로의 연기에 매료된 듯 "뉴욕 호텔에서만 진행되는 정신 나간 심리 스릴러"라고 평했다.[5]

로튼 토마토에 따르면, 2021년 기준 11건의 평론 모두 긍정적이며,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6.8점이다.[9]

5. 2. 현대적 평가

현대 비평가들은 먼로의 연기가 처음에는 과소평가되었다고 평가한다. 현재 먼로의 팬들은 이 영화가 그녀의 최고 연기 중 일부를 담고 있다고 생각한다.[4] 영화 평론가 데니스 슈워츠는 2011년에 영화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을 내리면서, 먼로의 연기에 매료된 듯했다. 그는 "뉴욕 호텔에서만 진행되는 정신 나간 심리 스릴러"라고 칭하며, "감정적인 깊이가 부족하지만, 긴장된 에너지를 발산하며, 끝까지 볼 만하기 때문에 흥미롭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먼로가 정신적으로 혼란스러운 사람을 연기하면서, "그녀의 정신적으로 고통받는 어머니가 어떻게 행동했는지를 훌륭하게 보여주며, 믿을 만한 연기를 선보였다"라고 덧붙였다.[5]

로튼 토마토에서는 2021년 기준으로 11개의 리뷰를 기반으로 평론가 점수 100%라는 드문 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평균 점수는 10점 만점에 6.8점이다.[6][9]

6. 수상 및 후보

AFI가 선정한 AFI 선정 100년 100대 스릴러 목록에 후보로 올랐다.[7]

7. 한국과의 관계

대한민국에서는 "노크는 필요 없어"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었다. 1964년 4월 8일 일본 니혼 TV "일요 로드쇼"에서 더빙판이 방영되었으며, 카가 마리코가 넬 포브스 역을, 오오츠카 치카오가 제드 타워스 역을 맡았다.

일본어 더빙 (니혼 TV판)
배역성우
넬 포브스카가 마리코
제드 타워스오오츠카 치카오


참조

[1] 간행물 Top Grossers of 1952 https://archive.org/[...] 2021-02-15
[2] 뉴스 Archer Winsten’s Reviewing Stand: ’Don’t Bother to Knock’ at Globe New York Post 1952-07-20
[3] 뉴스 Heavy Dramatic Acting Not for Marilyn Monroe: Star of ‘Don’t Bother to Knock’ Seemingly Not Overwhelming Albany (NY) Times-Union 1952-08-21
[4] 웹사이트 The Heartbreak Of Marilyn Monroe's DON'T BOTHER TO KNOCK https://birthmoviesd[...] 2021-06-30
[5] 웹사이트 Schwartz, Dennis http://homepages.sov[...] Ozus' World Movie Reviews 2011-02-15
[6] 웹사이트 Don't Bother to Knock (1952) https://www.rottento[...] 2021-01-14
[7] 웹사이트 AFI's 100 Years...100 Thrills Nominees http://www.afi.com/D[...] 2016-08-20
[8] 간행물 Top Grossers of 1952 https://archive.org/[...] 2021-02-15
[9] 웹사이트 Don't Bother to Knock (1952) https://www.rottento[...] Rotten Tomatoes 2021-0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