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동호대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동호대교는 서울특별시의 다리로, 1980년 6월 5일 남광토건이 착공했으나 1979년 석유 파동으로 서울시가 공사를 인수했다. 착공 당시 금호대교였으나 1984년 11월 16일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1985년 2월 2일 준공되었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사고 이후 긴급 점검과 보수 공사를 거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5년 완공된 교량 - 피낭 대교
    말레이시아 페낭주의 페낭섬과 세베랑 페라이를 잇는 13.5km 길이의 피낭 대교는 1985년 개통되었으며, 교통사고와 자살 시도가 잦은 곳이기도 하다.
  • 1985년 완공된 교량 - 메이코니시 대교
    메이코니시 대교는 나고야항의 이세만안 도로 일부로, A자형 주탑과 육각형 다실 상자형 주형이 특징이며, 레인 바이브레이션 대책과 확폭 공사가 적용된 사장교이다.
  • 트러스교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트러스교 - 당산철교
    당산철교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한강 횡단 교량으로, 개통 후 안전 문제로 인해 재시공을 거쳐 재개통되었으며 현재는 지속적인 관리와 보수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 서울 성동구의 건축물 - 영동대교
    영동대교는 서울 성동구와 강남구를 잇는 다리로, 강남 개발 시기 '영동'에서 유래되었으며 강변북로와 연결되어 강북과 강남 동부 지역을 잇는 간선도로이자 국도 제47호선의 일부이고, 문화적으로도 의미를 지닌다.
  • 서울 성동구의 건축물 - 군자차량사업소
    군자차량사업소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의 전동차 정비 및 관리 기지로서, 성수지선 용답역 인근에 위치하며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및 2000호대 전동차의 입·출고 시 신설동역 유령 승강장을 경유하고 노후 전동차 폐차 관리 업무를 수행하며 심야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성수지선 전동차가 주박한다.
동호대교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동호대교
한글동호대교
한자東湖大橋
로마자 표기Dongho daegyo
위치서울특별시 강남구와 성동구 사이의 한강
횡단논현로, 동호로
관리서울특별시청
구조
철도교트러스교
도로교거더교
길이 및 너비
길이1,095m
너비35m
철도교 너비11m
도로교 너비각 10.5m
건설 정보
착공일1980년 6월 5일
완공일1985년 2월 2일
개통일1985년 2월 2일
기타 정보
투신 방지 시설난간 높이, 그물망, 철책 https://www.asiae.co.kr/article/2024013115510715713
통행량 및 자살률서울 한강 다리 중 통행량과 자살률 1위 http://www.newsspace.kr/news/article.html?no=1524
이미지
동호대교 위를 지나는 기차

2. 역사

1980년 6월 5일 남광토건이 민자사업으로 동호대교를 착공했으나, 1979년 석유 파동 여파로 자금난에 빠지자 서울시가 공사를 인수했다. 착공 당시 명칭은 '''금호대교'''(金湖大橋)였으나 1984년 11월 16일에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5] 1985년 2월 2일 준공되었다.

1994년 10월 성수대교 붕괴사고 이후 전문가 긴급 점검 결과에 따라 안전 우려 부분을 긴급 보수하고, 추가 점검을 통해 다리 수명 연장 및 기능 향상을 위한 보수공사를 실시했다.[6]

2. 1. 건설 과정

남광토건이 1980년 6월 5일에 민자사업으로 착공한 다리였으나, 제2차 석유 파동 여파로 자금난에 빠지자 서울시에서 공사를 인수했다. 착공 당시 명칭은 '''금호대교'''(金湖大橋)였으나 1984년 11월 16일에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5] 1985년 2월 2일 준공되었다.

성수대교 붕괴사고 여파로 1994년 10월 전문가의 긴급 점검을 실시하고 그 결과에 따라 1995년 3월 15일부터 1996년 9월 30일까지 안전에 우려되는 부분을 긴급보수하였다.[6] 추가 점검 결과에 따라 다리의 수명 연장이나 기능 향상을 위하여 1997년 9월 5일부터 1998년 6월 30일까지 보수공사를 실시하여 이용 시민의 안전에 이상이 없을 뿐 아니라 다리 기능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2. 2. 보수 및 관리

성수대교 붕괴사고 여파로 1994년 10월 전문가 긴급 점검을 실시, 그 결과에 따라 1995년 3월 15일부터 1996년 9월 30일까지 안전 우려 부분을 긴급 보수하였다.[6] 추가 점검 결과에 따라 다리 수명 연장 및 기능 향상을 위해 1997년 9월 5일부터 1998년 6월 30일까지 보수공사를 실시, 이용 시민의 안전과 다리 기능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였다.

3. 사진

참조

[1] 논문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14
[2] 웹사이트 https://www.grandcul[...] 2024-07-14
[3] 뉴스 https://www.asiae.co[...] 2024-06-23
[4] 뉴스 http://www.newsspace[...] 2024-06-23
[5] 간행물 서울특별시공고 제673호 http://theme.archive[...] 1984-11-16
[6] 뉴스인용 내달중 한강 8개 교량 교통통제 https://n.news.naver[...] 1995-03-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