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풀아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돼지풀아족은 국화과의 한 아족으로, 도꼬마리속, 돼지풀속, 돼지풀아재비속 등을 포함한 여러 속으로 구성된다. 전 세계에 분포하며, 일부 종은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생산하거나 가축에게 독성을 나타낸다. 대한민국에는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등이 생태계교란 야생생물로 지정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돼지풀아족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학명 | Ambrosiinae |
| 명명자 | Less. |
| 상위 분류 | 해바라기족 |
| 생태 | |
| 분포 지역 | 북아메리카 |
| 특징 | 돼지풀아족 식물은 꽃가루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음 |
| 분류 | |
| 속 | 암브로시아속 (Ambrosia) 디클로차에나속 (Diclochaena) 이바타속 (Iva) 하프사우리아속 (Haplosauria) 헬레니움속 (Hellenium) 자놀타속 (Zanolta) 파트헨세움속 (Parthenium) 히스테로포루스속 (Hysteropporus) 일레세브라속 (Illecebra) 에우리브리키아속 (Eurybrica) 게아키아속 (Geackia) 나르발리아속 (Narvalina) 타테마이아속 (Tatemaya) 베르테미아속 (Berthemia) 델피니아속 (Delphinium) 세세시아속 (Sesechia) 토라네라속 (Toranera) 에이코속 (Eiko) 이레시아속 (Iresia) 지파리속 (Zipari) 엘리카속 (Elica) 헤켈리아속 (Hekelia) 코엘로필룸속 (Coelophyllum) 파라고노시아속 (Paragonoscia) 제네파속 (Genepa) 카스티글리아속 (Castiglia) 플라테아속 (Platea) 리비사속 (Libisa) 빌로사속 (Villosa) 이소도네시아속 (Isodones) 세로토니아속 (Serotonia) 미크로세로토니아속 (Microserotonia) 리게이아속 (Ligeia) 레피다필룸속 (Lepidapillum) 아코에시아속 (Akoesia) 바르텔리아속 (Bartellia) 나바레테아속 (Navarretea) 테크마이아속 (Techmaia) 페르디카이아속 (Perdicaea) 카르포파필루스속 (Carpopapillus) 오토니아속 (Othonia) 스클레롤레피스속 (Sclerolepis) 알바레스이아속 (Alvarezia) 나바레티오프시스속 (Navarretiopis) 아스테리페스속 (Asteripes) 산타마리아속 (Santamaria) 레비풀리아속 (Levipulia) 에메리시오필라속 (Emericiophila) 에반티아속 (Evantia) 마르세리아속 (Marcellia) 베르티에로필라속 (Bertierophyla) 루피오필라속 (Rupiophila) 프레데리카필라속 (Fredericapyla) 헬레니엘라속 (Heleniella) 브라키오파피라속 (Brachiopapira) 브라실리아속 (Brasilia) 카르도네시아속 (Cardonesia) 호르마리아속 (Hormaria) 피로필리아속 (Pyrophila) 로소필라속 (Rosophila) 파라모필라속 (Paramophila) 그라우필라속 (Grauphylla) 미필라속 (Myrophila) 에이레네필라속 (Eirenephila) 칼리오필라속 (Caliophylla) 리오필라속 (Riopyla) 로우리필라속 (Lowryphylla) 페트리아필라속 (Petriapyla) 코피아필라속 (Copiafila) 다니엘리아속 (Daniellia) 알리필라속 (Aliphila) 메르세데스필라속 (Mercedespylla) 카스테야노필라속 (Castellanopylla) 로필라속 (Lophyla) 트리사르타속 (Trisarta) 칼보필라속 (Calvophylla) 피필라속 (Piphila) 카스틸로필라속 (Castillopilla) 로타리아속 (Rotaria) 로필라속 (Lopilla) 카를로스필라속 (Carlospylla) 쿠에바필라속 (Cuevapilla) 포트레로필라속 (Potreropylla) 오필라속 (Ophylla) 에스필라속 (Espilla) 크리스티나필라속 (Cristinapilla) 파스코필라속 (Pascopylla) 프리무로필라속 (Primulopilla) 미켈리아속 (Mikellia) 테라노필라속 (Terranopylla) 로렌시아필라속 (Lorenciafila) 후고필라속 (Hugopylla) 아코에시아속 (Akoesia) 바르텔리아속 (Bartellia) 나바레테아속 (Navarretea) 테크마이아속 (Techmaia) 페르디카이아속 (Perdicaea) 카르포파필루스속 (Carpopapillus) 오토니아속 (Othonia) 스클레롤레피스속 (Sclerolepis) 알바레스이아속 (Alvarezia) 나바레티오프시스속 (Navarretiopis) 아스테리페스속 (Asteripes) 산타마리아속 (Santamaria) 레비풀리아속 (Levipulia) 에메리시오필라속 (Emericiophila) 에반티아속 (Evantia) 마르세리아속 (Marcellia) 베르티에로필라속 (Bertierophyla) 루피오필라속 (Rupiophila) 프레데리카필라속 (Fredericapyla) 헬레니엘라속 (Heleniella) 브라키오파피라속 (Brachiopapira) 브라실리아속 (Brasilia) 카르도네시아속 (Cardonesia) 호르마리아속 (Hormaria) 피로필리아속 (Pyrophila) 로소필라속 (Rosophila) 파라모필라속 (Paramophila) 그라우필라속 (Grauphylla) 미필라속 (Myrophila) 에이레네필라속 (Eirenephila) 칼리오필라속 (Caliophylla) 리오필라속 (Riopyla) 로우리필라속 (Lowryphylla) 페트리아필라속 (Petriapyla) 코피아필라속 (Copiafila) 다니엘리아속 (Daniellia) 알리필라속 (Aliphila) 메르세데스필라속 (Mercedespylla) 카스테야노필라속 (Castellanopylla) 로필라속 (Lophyla) 트리사르타속 (Trisarta) 칼보필라속 (Calvophylla) 피필라속 (Piphila) 카스틸로필라속 (Castillopilla) 로타리아속 (Rotaria) 로필라속 (Lopilla) 카를로스필라속 (Carlospylla) 쿠에바필라속 (Cuevapilla) 포트레로필라속 (Potreropylla) 오필라속 (Ophylla) 에스필라속 (Espilla) 크리스티나필라속 (Cristinapilla) 파스코필라속 (Pascopylla) 프리무로필라속 (Primulopilla) 미켈리아속 (Mikellia) 테라노필라속 (Terranopylla) 로렌시아필라속 (Lorenciafila) 후고필라속 (Hugopylla) |
2. 하위 속
글로벌 국화과 데이터베이스(Global Compositae Database)에서 2022년 11월 기준으로 인정하는 속은 다음과 같다.
- 도꼬마리속(''Xanthium'' L.)
- 돼지풀속(''Ambrosia'' L.)
- 돼지풀아재비속(''Parthenium'' L.)
- ''Cyclachaena'' Fresen.
- ''Dicoria'' Torr. & A.Gray
- ''Euphrosyne'' DC.
- ''Hedosyne'' Strother
- ''Iva'' L.
- ''Parthenice'' A.Gray
2. 1. 주요 속
- 도꼬마리속( ''Xanthium'' L.)
- 돼지풀속( ''Ambrosia'' L.)
- 돼지풀아재비속( ''Parthenium'' L.)
- ''Cyclachaena'' Fresen.
- ''Dicoria'' Torr. & A.Gray
- ''Euphrosyne'' DC.
- ''Hedosyne'' Strother
- ''Iva'' L.
- ''Parthenice'' A.Gray
2. 2. 기타 속
- ''Dicoria'' Torr. & A.Gray
- ''Euphrosyne'' DC.
- ''Hedosyne'' (A.Gray) Strother
- ''Iva'' L.
- ''Parthenice'' A.Gray
- ''Cyclachaena'' Fresen.
참조
[1]
논문
Ragweeds and relatives: Molecular phylogenetics of Ambrosiinae (Asteraceae)
https://www.scienced[...]
[2]
논문
Overview of the history of the Ambrosiinae insofar as it can be demonstrated by pollen grains
https://pubmed.ncbi.[...]
[3]
웹사이트
Asteraceae (tribe Heliantheae) subtribe Ambrosiinae in Flora of North America @ efloras.org
http://www.efloras.o[...]
[4]
논문
Cladistics of the Subtribe Ambrosiinae (Asteraceae: Heliantheae)
https://www.jstor.or[...]
[5]
웹사이트
Asteraceae (Tribe Heliantheae) subtribe Ambrosiinae - FNA
http://floranorthame[...]
[6]
논문
Ragweeds and relatives: Molecular phylogenetics of Ambrosiinae (Asteraceae)
https://www.scienced[...]
[7]
논문
Overview of the history of the Ambrosiinae insofar as it can be demonstrated by pollen grains
https://pubmed.ncbi.[...]
[8]
웹인용
Asteraceae (tribe Heliantheae) subtribe Ambrosiinae in Flora of North America @ efloras.org
http://www.efloras.o[...]
[9]
논문
Cladistics of the Subtribe Ambrosiinae (Asteraceae: Heliantheae)
https://www.jstor.or[...]
[10]
웹인용
Asteraceae (Tribe Heliantheae) subtribe Ambrosiinae - FNA
http://floranortham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