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일홍은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60~90cm 크기로 자란다. 6~10월에 다양한 크기와 색상의 두상화 형태로 꽃이 피며, 설상화와 관상화로 구성된다. 재배 품종은 꽃의 크기, 색깔, 형태에 따라 다양하며, 흰색, 분홍색, 빨간색, 보라색, 녹색 등 거의 모든 색상을 띠며 겹꽃 형태도 있다. 18세기 말 유럽에 전래되어 관상용으로 재배되었으며, 한국에서는 1800년 이전에 도입되었다. 백일홍은 재배가 용이하며, 건조하고 따뜻한 환경을 좋아한다. 백일홍은 후지코나카이가라쿠로바치를 유인하여 감나무 해충 방제에 활용되기도 하며, '백일 동안 붉게 피어 있다'는 의미로 장수를 상징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상징 -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은행나무목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현존하는 유일한 은행나무목 식물이며, 잎 모양 때문에 압각수, 열매 때문에 은행나무라 불리고,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하며 가로수 등으로 널리 심어지나 은행은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이지만 독성 성분에 주의해야 한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상징 - 까치
까치는 까마귀과에 속하는 조류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흑백의 뚜렷한 색상 대비와 긴 꼬리가 특징이고, 잡식성이며 나뭇가지 등으로 둥지를 짓고, 한국에서는 길조로 여겨지며 높은 지능을 가진 새로 알려져 있다. - 경상북도의 상징 - 느티나무
느티나무는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교목으로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정자나무, 가로수 등으로 이용되고 한국에서는 마을을 지키는 상징으로 여겨지는 나무이다. - 경상북도의 상징 - 경상북도기
경상북도기는 녹색 바탕에 경상북도의 영문 이니셜과 태양, 백색 곡선 등을 조합하여 도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을 나타내는 깃발이며, 2001년 1월 1일에 제정되었다. - 해바라기족 - 돼지풀
돼지풀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1년생 초본식물로, 한국전쟁 이후 국내에 유입되어 전국에 분포하며, 알레르기성 비염을 유발하는 외래 침입종으로 알려져 있지만, 약용 식물이나 토양 정화에 활용되기도 한다. - 해바라기족 - 단풍잎돼지풀
단풍잎돼지풀은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 식물로, 단풍잎처럼 갈라진 잎과 빽빽한 털, 큰 키가 특징이며, 빠른 번식력과 알레르기 유발, 농작물 생산성 감소 등의 문제로 유해 잡초로 분류되지만,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전통 의학 재료로 활용하기도 했다.
백일홍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Zinnia elegans Jacq. |
이명 | Zinnia violacea Cav. Crassina elegans (Jacq.) Kuntze Zinnia australis F.M.Bailey |
과 | 국화과 |
아과 | 국화아과 |
족 | 해바라기족 |
속 | 백일홍속 |
종 | 백일홍 |
영어 이름 | Common zinia, youth-and-old-age |
일본어 이름 | 히야쿠니치소우 |
분포 | |
원산지 | 멕시코 |
기타 지역 |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 |
생태 | |
개화 시기 | 여름, 가을 |
기타 | |
관련 도서 | 366일 誕生花の本 Common Zinnia |
2. 생태
백일홍은 한해살이풀로, 높이는 30~90cm이며 줄기에는 딱딱하고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기를 하고 타원형이며 길이는 4~10cm, 너비는 3~6cm이다. 잎자루가 없고 밑부분은 줄기를 약간 감싸며, 딱딱한 털이 나 있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털이 있어 거친 느낌을 준다. 피침형 잎은 두상화서에 마주난다. 여름철에 개화한다.
2. 1. 꽃
꽃은 6-10월에 피고 긴 꽃줄기 끝에 한 개씩 달리며 두상화서 형태이다. 지름은 5-15cm로 가지각색이다. 총포편은 둥글고 끝이 둔하며 윗가장자리가 검은색이다.[23] 꽃의 초장은 60~80cm 정도이고, 직경은 5~7cm 내외로서 꽃이 다화성이다. 재배되지 않은 식물은 높이 약 약 13.39cm 정도 자라며, 지름 약 약 5.08cm 정도의 두상화서가 단생한다. 보라색 설상화가 검은색과 노란색의 통상화를 둘러싼다.줄기 끝에는 하나의 두상화서가 달린다. 꽃차례의 바깥쪽에는 한 줄의 설상화(꽃잎처럼 보이는 부분)가 달리는데, 이것은 암꽃이다. 안쪽에는 관상화가 많이 달리는데, 이것은 양성화이다. 어느 꽃이든 모두 결실한다. 설상화는 원종에서는 붉은 기가 도는 보라색에서 연한 보라색이다. 관상화는 노란색에서 주황색이다. 총포는 원형이고, 총포편은 비늘 모양이며, 윗부분은 검게 된다.[23]
2. 2. 재배 품종
품종은 주로 꽃의 크기에 따라 대륜, 중륜, 소륜으로 나뉜다. 꽃은 본래 자주색 또는 보라색이었으나 원예품종에는 초록색 및 하늘색을 제외한 여러 가지 색깔이 있다. 독일 출신의 진(Zinn)이 발견한 이래 인도, 프랑스, 영국, 미국의 화훼가들의 손을 거쳐 개량되었다.[11]꽃 색깔은 흰색과 크림색에서 분홍색, 빨간색, 보라색, 녹색, 노란색, 살구색, 주황색, 연어색, 청동색까지 다양하다. 줄무늬가 있거나 얼룩덜룩하거나 두 가지 색깔이 섞인 것도 있다. 폼폼처럼 생긴 다알리아와 비슷한 형태도 있다. 크기는 키가 15cm 미만인 왜성 품종부터 90cm까지 다양하다.
왕립 원예 학회의 정원 공로상을 수상한 품종은 다음과 같다.
품종명 |
---|
베너리 자이언트 살몬 로즈[11] |
베너리 자이언트 스칼렛[12] |
드림랜드 믹스드[13] |
드림랜드 로즈[14] |
드림랜드 스칼렛[15] |
드림랜드 옐로우[16] |
퍼플 프린스[17] |
숏 스터프 오렌지[18] |
진데렐라 피치[19] |
조위! 옐로우 플레임[20] |
백일홍은 본래 자주색 또는 보라색이었으나 원예 품종에는 초록색 및 하늘색을 제외한 여러 가지 색이 있다. 독일 출신의 찐(Zinn)이 발견한 이래 인도, 프랑스, 영국, 미국의 화훼가들의 손을 거쳐 개량되었다. 한국에서는 이재위의 <물보(物譜)>에 나오는 것으로 보아 정확한 도래 경로는 알 수 없으나 1800년 이전부터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10]
백일홍은 재배가 비교적 쉬운 편이며, 배수가 잘 되는 양토와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선호한다. 건조하고 따뜻한 기후에 강하며, 가뭄에도 잘 견딘다. 파종 시기는 3~5월이며, 개화 시기는 6~10월이다. 발아 온도는 15~20℃이며, 본잎이 4~5매 정도 자랐을 때 30cm 간격으로 정식한다. 토양은 크게 가리지 않으나, 꽃이 계속해서 피는 만큼 거름기가 끊어지지 않도록 깻묵 썩은 것을 주는 것이 좋다. 과습한 환경에서는 노균병에 걸리기 쉽다.
그 외에도 '마젤란', '엔비 더블', '파이어웍스', '블루 포인트 퍼플', '프로퓨전 체리', '프로퓨전 오렌지', '스타 골드', '스타 오렌지', '크리스탈 화이트', '퓨리티', '프로퓨전 화이트'와 같은 여러 가지 흰색 꽃이 피는 종류가 있다. 여러 색깔이 섞인 씨앗도 판매하고 있다.
3. 역사
1789년 세세와 모시뇨에 의해 티크스트라(Tixtla), 게레로(Guerrero)에서 처음 채집되었다. 1791년에 카바닐레스는 이를 ''Zinnia violacea''로 기술하였다. 야킨은 1792년에 다시 ''Zinnia elegans''로 기술하였는데, 이는 세세와 모시뇨가 1890년까지 출판되지 않은 ''Plantae Novae Hispaniae'' 원고에서 사용했던 이름이었다. 이 속의 이름은 독일 식물학자 찐의 이름을 따서 린네가 지었다. 찐은 현재 ''지니아 페루비아나(Zinnia peruviana)''로 알려진 종을 1757년에 ''Rudbeckia foliis oppositis hirsutis ovato-acutis, calyce imbricatus, radii petalis pistillatis''로 기술하였다. 린네는 그것이 루드베키아(Rudbeckia)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백일홍의 원산지는 멕시코이며, 코스모스나 달리아와 같은 고향이다.[21]
4. 재배
4. 1. 해충 방제
개화 중인 백일홍은 말벌의 일종인 "후지코나카이가라쿠로바치"를 유인하는 효과가 있다.[30] 이 말벌은 감 열매에 그을음병이나 불룩병과 같은 피해를 주는 해충인 "후지코나카이가람시"의 천적이다.[30] 따라서 감 과수원에 백일홍을 심어 해충 발생을 억제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30] 이는 화학적 농약 사용을 줄이는 친환경적인 해충 방제 방법으로,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서 추구하는 친환경 농업 방식과도 일맥상통한다.
5. 문화
백일홍의 한자 이름은 '백일 동안 붉게 피어 있다'는 뜻으로, 장수를 상징하기도 한다.[31] 카니발에서는 춤추는 사람에게 백일홍을 던지는 풍습이 있다.[31] 브라질 영화 흑인 오르페에 백일홍이 등장하는 장면이 있다.[31]
6.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Tropicos, Zinnia elegans Jacq.
http://www.tropicos.[...]
[2]
웹사이트
The Plant List, Zinnia violacea Cav.
http://www.theplantl[...]
[3]
간행물
BSBI 2007
2014-10-17
[4]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4 county distribution map
http://bonap.net/Map[...]
[5]
웹사이트
Altervista Flora Italiana, Zinnia elegans Jacq.
http://luirig.alterv[...]
[6]
웹사이트
Zinnia elegans : Zinnia – Atlas of Living Australia
http://bie.ala.org.a[...]
[7]
서적
Listado básico de la Flora Salvadorensis: Dicotyledonae, Sympetalae (pro parte): Labiatae, Bignoniaceae, Acanthaceae, Pedaliaceae, Martyniaceae, Gesneriaceae, Compositae
Cuscatlania
[8]
서적
La Flora de Jauneche: Los Ríos, Ecuador
Banco Central del Ecuador
[9]
서적
Checklist of the vascular plants of Belize
Memoirs of The New York Botanical Garden
[10]
논문
Proposal to conserve the name Zinnia elegans against Z. violacea
[11]
웹사이트
Zinnia elegans 'Benary's Giant Salmon Rose' (Benary's Giant Series)
https://www.rhs.org.[...]
RHS
2021-03-05
[12]
웹사이트
Zinnia elegans 'Benary's Giant Scarlet' (Benary's Giant Series)
https://www.rhs.org.[...]
RHS
2021-03-05
[13]
웹사이트
Zinnia elegans 'Dreamland Mixed' (Dreamland Series)
https://www.rhs.org.[...]
RHS
2021-03-05
[14]
웹사이트
Zinnia elegans 'Dreamland Rose'
https://www.rhs.org.[...]
RHS
2021-03-05
[15]
웹사이트
Zinnia elegans 'Dreamland Scarlet' (Dreamland Series)
https://www.rhs.org.[...]
RHS
2021-03-05
[16]
웹사이트
Zinnia elegans 'Dreamland Yellow' (Dreamland Series)
https://www.rhs.org.[...]
RHS
2021-03-05
[17]
웹사이트
Zinnia elegans 'Purple Prince'
https://www.rhs.org.[...]
RHS
2021-03-05
[18]
웹사이트
Zinnia elegans 'Short Stuff Orange' (Short Stuff Series)
https://www.rhs.org.[...]
RHS
2021-03-05
[19]
웹사이트
Zinnia elegans 'Zinderella Peach'
https://www.rhs.org.[...]
RHS
2021-03-05
[20]
웹사이트
Zinnia elegans 'Zowie! Yellow Flame'
https://www.rhs.org.[...]
RHS
2021-03-05
[21]
서적
(제목 없음)
[22]
서적
366日 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23]
서적
園芸植物大事典
[24]
서적
園芸植物大事典
[25]
서적
園芸植物大事典
[26]
서적
(제목 없음)
[27]
서적
園芸植物大事典
[28]
서적
(제목 없음)
[29]
서적
(제목 없음)
[30]
웹사이트
ヒャクニチソウを用いたカキ園の点滴温存型管理技術
https://www.naro.go.[...]
NARO 農研機構
2024-12-22
[31]
서적
물망초의 꽃말은 무엇일까요?
아동교육미디어
2008-01-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배롱나무: 여름꽃도, 가을단풍도 사시사철 매력 [황금비의 수목원 가드닝 다이어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