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비전 시리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비전 시리즈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의 포스트시즌에서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진출을 결정하기 위해 치러지는 5전 3선승제 플레이오프 경기이다. 1981년 파업으로 인한 시즌 분할로 처음 도입되었으며, 1995년부터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정착되었다. 2022년 이후에는 각 리그의 6개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며, 디비전 시리즈는 와일드카드 라운드를 통과한 팀과 정규 시즌 성적이 좋은 상위 2개 팀이 겨루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시리즈는 승률에 따라 홈 어드밴티지를 부여받으며, 2차전과 3차전, 4차전과 5차전 사이에 이동일이 주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포스트시즌 -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포스트시즌에서 내셔널 리그 디비전 우승팀과 와일드 카드 팀이 5전 3선승제로 내셔널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진출을 놓고 경쟁하는 시리즈로, 1981년 처음 도입되어 1994년 리그 재편과 함께 정규 포스트시즌 제도가 되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포스트시즌 -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LCS)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월드 시리즈 진출 팀을 결정하는 플레이오프 시리즈로, 각 리그 디비전 시리즈 승리 팀들이 7전 4선승제로 맞붙는다. - 1995년 시작된 행사 - 광주 비엔날레
광주 비엔날레는 광주광역시와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가 공동 주최하여 2년마다 중외공원문화벨트 일원에서 열리는 국제 현대 미술 전시이며, 사회문화 현실과 미래 가치를 반영한 주제로 전시, 국제 학술회의, 특별 프로그램을 개최하여 국제적 위상 확립과 지역 문화 진흥을 목표로 한다. - 1995년 시작된 행사 - WCW 언센서드
WCW 언센서드는 월드 챔피언십 레슬링이 1995년부터 2000년까지 매년 3월에 개최한 페이 퍼 뷰 이벤트로, 헐크 호건, 릭 플레어, 랜디 새비지 등 최고의 프로레슬러들이 메인 이벤트를 장식하며 WCW의 주요 챔피언십 타이틀 경쟁과 흥미로운 스토리라인을 선보였다.
디비전 시리즈 | |
---|---|
개요 | |
![]() | |
스포츠 | 야구 |
리그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
주기 | 매년 |
참가 팀 수 | 8팀 |
상세 정보 | |
현재 챔피언 | 텍사스 레인저스 (아메리칸 리그) |
최다 우승팀 | 뉴욕 양키스 (아메리칸 리그, 13회) |
역사 | |
첫 시즌 | 1995년 |
관련 시리즈 | |
이전 시리즈 | 와일드 카드 시리즈 |
다음 시리즈 |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
2. 역사
1981년 선수들의 파업으로 인해 시즌이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뉘면서 "디비전 시리즈"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각 디비전(당시 동부와 서부)의 전반기와 후반기 우승팀이 5전 3선승제 시리즈에서 맞붙어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할 팀을 결정했다. 그러나 이 방식은 전반기 우승팀이 후반기에도 우승하려는 동기가 부족했고, 두 반기 모두 우승하지 못한 팀이 실제로는 디비전 전체에서 최고의 기록을 가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제로 신시내티 레즈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는 이러한 문제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
1993년, 구단주들은 디비전 시리즈를 영구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승인했다.[1] 이는 1981년 디비전 시리즈에서 4번 중 3번의 시리즈가 5차전까지 가는 접전이었기 때문이다.[2] 1994년에는 내셔널 리그와 아메리칸 리그가 재편되어 각 리그에 중부 디비전이 추가되면서 디비전 수가 3개로 늘어났다. 동시에 포스트시즌 진출 팀도 4개에서 8개로 늘어났다. 각 리그의 세 디비전 우승팀과 와일드카드 한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선수들의 파업으로 인해 1994년 포스트시즌은 취소되었다.
디비전 시리즈는 출범 이후 줄곧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지만, 홈 필드 어드밴티지를 부여하는 방식과 어떤 팀이 홈경기를 주최할지는 1998년에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2-3 방식(불리한 팀이 처음 두 경기, 유리한 팀이 나머지 경기 주최)으로 진행되었으나, 1998년부터는 정규 시즌 성적이 좋은 두 지구 우승팀에게 홈 경기 이점이 주어지고, 2-2-1 방식(홈 경기 이점이 있는 팀이 1, 2, 5차전 주최)으로 변경되었다.[3][4][5]
2012년부터는 각 리그에 두 번째 와일드카드 팀이 추가되면서 플레이오프 시스템이 다시 한번 개정되었다. 각 리그의 두 와일드카드 팀은 단판 플레이오프를 치러 승리한 팀이 디비전 시리즈에 진출했다. 2012년에는 2-3 방식을 사용했지만, 2013년부터는 다시 2-2-1 방식을 사용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플레이오프가 일시적으로 확대되면서 모든 경기가 중립 구장에서 진행되었고, 네 번의 디비전 시리즈 대결에서 모두 같은 지구 팀끼리 경기를 치르는 특이한 상황이 발생했다.
2022년부터는 포스트시즌이 각 리그당 6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승률이 가장 높은 두 팀만이 디비전 시리즈로 바로 진출하고, 나머지 팀들은 와일드카드 라운드를 거쳐 디비전 시리즈에 진출한다.
2. 1. 1981년 시즌
1981년 선수들의 파업으로 인해 시즌이 두 개의 반으로 나뉘었고, 각 디비전(당시에는 서부와 동부)의 각 반의 우승팀이 5전 3선승제 시리즈에서 서로 경기를 치러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서 해당 디비전을 대표할 팀을 결정했다. 이 때문에 "디비전 시리즈"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즌의 두 반은 서로 독립적이었기 때문에, 첫 번째 반의 우승팀은 두 번째 반에서도 우승하려는 실질적인 동기가 없었다. 또한 두 반 모두에서 우승하지 못한 팀이 실제로는 디비전 전체에서 최고의 기록을 가질 수도 있었다. 실제로 신시내티 레즈와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는 각각 내셔널 리그 서부와 동부에서 두 반을 합산한 승-패 기록이 가장 좋았고, 레즈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전체에서 최고의 승률을 기록했지만, 각 반에서 디비전 2위를 차지했기 때문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했다.1981년 50일간의 파업으로 6월 12일부터 8월 8일까지 시즌이 중단되었으며, 8월 9일 올스타전 이후 8월 10일에 시즌이 재개되기 전까지 전체 38%에 해당하는 713경기가 치러지지 않았다. 따라서 시즌을 전기(6월 12일 이전)와 후기(8월 10일 이후)로 나누어 각 지구에서 전기·후기 우승팀에 의해 지구 우승팀을 결정하기 위해 5전 3선승제로 디비전 시리즈를 치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리즈 | 지구 | 승리팀 | 승패 | 패전팀 |
---|---|---|---|---|
NLDS | 동부 지구 | 몬트리올 엑스포스 | 3-2 | 필라델피아 필리스 |
서부 지구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 3-2 | 휴스턴 애스트로스 | |
ALDS | 동부 지구 | 뉴욕 양키스 | 3-2 | 밀워키 브루어스 |
서부 지구 |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 3-0 | 캔자스시티 로열스 |
2. 2. 1993-1994: 제안, 재편, 그리고 1994년 포스트시즌 취소
1993년, 구단주들은 디비전 시리즈를 영구적으로 도입하는 것을 승인했다.[1] 1981년 단일 디비전 시리즈에서 4번의 시리즈 중 3번이 5차전까지 가는 접전이 벌어졌기 때문이다.[2] 원래 형식은 AL 동부의 1위 팀이 AL 서부의 2위 팀과 대결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1994년에는 내셔널 리그와 아메리칸 리그 모두 재편되어, 각 리그의 디비전 수가 2개에서 3개(중부 디비전 추가)로 늘어났다. 동시에 포스트시즌 진출 팀 수도 4개에서 8개로 두 배가 되었다. 각 리그의 세 디비전 우승 팀과 각 리그에서 한 팀의 와일드 카드 팀(정규 시즌 최고 성적을 거둔 2위 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확장된 플레이오프 형식은 선수들의 파업으로 인해 1994년 8월 12일에 시즌이 중단되면서 월드 시리즈와 함께 취소되었기 때문에 다음 해까지 재개되지 못했다.2. 3. 1995-1997: 사전 결정된 시드 배정
초기에는 홈 어드밴티지를 가진 팀이 3, 4, 5차전을 홈에서 치르는 2-3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동부, 중부, 서부 지구 우승팀들은 홈 경기 우선권을 번갈아 가졌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는 지구 우승팀이 홈 개최권을 얻는 지구가 미리 정해져 있었으며, 와일드카드가 같은 지구의 팀과는 만나지 않도록 대진표가 짜여졌다.[1]- 1995년: 내셔널 리그 중부 지구·동부 지구, 아메리칸 리그 서부 지구·동부 지구
- 1996년: 내셔널 리그 동부 지구·서부 지구, 아메리칸 리그 중부 지구·서부 지구
- 1997년: 내셔널 리그 서부 지구·중부 지구, 아메리칸 리그 동부 지구·중부 지구
1997년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1]
구분 | 팀 | 지구 | 승 | 패 | 승률 |
---|---|---|---|---|---|
승률 1위 | 볼티모어 오리올스 | 동부 지구 우승 | 98 | 64 | .605 |
승률 2위 | 시애틀 매리너스 | 서부 지구 우승 | 90 | 72 | .556 |
승률 3위 |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 중부 지구 우승 | 86 | 75 | .534 |
와일드카드 | 뉴욕 양키스 | 동부 지구 2위 | 96 | 66 | .593 |
오리올스와 양키스가 같은 동부 지구 소속이고, 이 해의 홈 개최권을 얻는 지구가 동부 지구와 중부 지구였기 때문에, 와일드카드인 양키스가 지구 우승팀 중 승률이 가장 낮지만 홈 개최권을 가진 인디언스와 대결했고, 오리올스는 지구 우승팀 중 승률 2위지만 홈 개최권을 갖지 못한 매리너스와 대결했다.[1]
2. 4. 1998-2011
정규 시즌 성적이 좋은 두 지구 우승팀에게 홈 경기 이점이 주어졌다. 이에 따라 성적이 가장 나쁜 지구 우승팀은 원정 경기를 한 경기 더 치르게 되었다. 또한, 홈 경기 이점이 있는 팀이 1, 2, 5차전(필요한 경우)을 홈에서 개최하는 2-2-1 형식으로 변경되었다.[3][4][5]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에서 세 지구 우승팀은 기록에 따라 1~3번 시드를 자동으로 배정받았고, 와일드 카드 팀은 기록과 관계없이 4번 시드를 받았다. 1번 시드는 4번 시드와, 2번 시드는 3번 시드와 경기를 치렀다. 그러나 1번 시드와 4번 시드가 같은 지구에 속해 있을 경우, 첫 라운드에서 같은 지구 팀끼리는 경기를 할 수 없었기 때문에 1번 시드는 3번 시드와, 2번 시드는 4번 시드와 경기를 치렀다. 모든 경우에서 상위 두 시드는 홈 경기 이점을 가졌다.1998년부터 2011년까지는 승률 1위 팀과 와일드 카드가 같은 지구에 소속된 경우, 승률 1위 팀은 승률 3위 팀과 대결하고, 승률 2위 팀과 와일드 카드가 대결하여 디비전 시리즈에서 같은 지구에 소속된 구단끼리 대결하지 않는 시스템이었다. 와일드 카드 입장에서 보면, 대전 상대는 반드시 다른 지구의 지구 우승 2팀 중 승률이 높은 팀이었다. 또한, 지구 1위에 2개 구단이 동률로 포스트 시즌에 진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해당 팀 간의 상대 전적에서 우위를 점한 팀이 지구 우승팀, 다른 팀은 와일드 카드가 되었다. 동시에 개최 구장도 1, 2, 5차전은 승률 1, 2위의 홈 구장, 3, 4차전은 상대 홈 구장이라는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005년 내셔널 리그 디비전 시리즈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다.
구분 | 팀명 | 지구 | 승패 | 승률 |
---|---|---|---|---|
승률 1위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중부 지구 | 100승 62패 | .617 |
승률 2위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 동부 지구 | 90승 72패 | .556 |
승률 3위 | 샌디에이고 파드리스 | 서부 지구 | 82승 80패 | .506 |
와일드 카드 | 휴스턴 애스트로스 | 중부 지구 | 89승 73패 | .549 |
원래라면 지구 우승팀 중에서 승률 1위인 카디널스가 와일드 카드인 애스트로스와 대결하지만, 카디널스와 애스트로스가 같은 중부 지구 소속이기 때문에 카디널스는 지구 우승팀 중에서 승률이 가장 낮은 파드리스와 대결하고, 애스트로스는 지구 우승팀 중에서 승률 2위인 브레이브스와 대결했다.
2. 5. 2012-2019, 2021
2012 시즌부터 각 리그에 두 번째 와일드카드 팀이 추가되면서 플레이오프 시스템이 개정되었다. 각 리그의 두 와일드카드 팀은 단판 플레이오프를 치러 승리한 팀이 디비전 시리즈에 진출했다. 이때, 같은 지구 소속 여부와 관계없이 리그 1번 시드 팀과 맞붙었다. 2012년 디비전 시리즈는 정규 시즌 일정이 발표된 후 형식이 추가되었기 때문에 2-3 방식(앞의 두 경기는 하위 시드팀 홈구장, 이후 세 경기는 상위 시드팀 홈구장)을 사용했다. 2013년부터 2019년, 그리고 2021년 디비전 시리즈는 이전처럼 2-2-1 방식(앞의 두 경기와 마지막 경기는 상위 시드팀 홈구장, 나머지 두 경기는 하위 시드팀 홈구장)을 사용했다.[1]2. 6. 2020
2020년 포스트시즌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60경기 단축 시즌으로 진행되면서, 플레이오프가 일시적으로 확대되어 기존 형식에서 변경되었다. 3전 2선승제의 와일드 카드 시리즈 이후, 1번 시드와 8번 시드의 승자는 4번 시드와 5번 시드의 승자와 대결하고, 2번 시드와 7번 시드의 승자는 3번 시드와 6번 시드의 승자와 대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네 번의 시리즈 모두 중립 구장에서 며칠 연속으로 진행되었으며, 일반적인 2-2-1 구조를 사용하여 지정된 홈 팀을 결정했다. 모든 중부 지구 팀이 패배하면서, 네 번의 디비전 시리즈 대결에서 모두 같은 지구 팀끼리 경기를 치르게 되었는데(예: 동부 지구 대 동부 지구, 서부 지구 대 서부 지구), 이는 1981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었다.2. 7. 2022년 이후
시즌부터 포스트시즌이 각 리그당 6개 팀으로 확대되면서, 승률이 가장 높은 두 팀만이 디비전 시리즈로 바로 진출한다. 와일드카드 라운드는 3전 2선승제로 확대되었고, 이 라운드의 승자는 디비전 시리즈로 진출한다. 디비전 시리즈에서 1번 시드는 와일드카드 시리즈 4/5번 시드 승리 팀과, 2번 시드는 3/6번 시드 승리 팀과 대결하며, 대진은 재조정되지 않는다.[8][9][10][11][12]2022년부터 플레이오프 참가 팀은 12팀(각 리그당 6팀)으로 늘어났다. 각 지구 2위 이하 팀 중 승률 상위 3팀까지 와일드카드 자격이 주어지며, 지구 우승팀 중 승률 1, 2위 팀은 디비전 시리즈에 직행(각각 1, 2시드)하고, 승률 3위 팀(3시드)은 와일드카드 시리즈에서 와일드카드 팀 중 승률이 가장 낮은 팀(6시드)과 3전 2선승제로 대결한다. 여기서 승리하면 디비전 시리즈에 진출한다.
이에 따라 디비전 시리즈 대진은 "승률 1위 팀 대 (와일드카드 승률 1위(4시드) 대 2위(5시드) 팀 간의 대결 승자)", "승률 2위 팀 대 (승률 3위 팀 대 와일드카드 승률 3위 팀 간의 대결 승자)"로 변경되었고, 이전처럼 5전 3선승제로 진행된다. 홈 어드밴티지(1, 2, 5차전 개최 권리)는 승률 1, 2위 팀에게 주어진다.
3. 경기 방식
현재 디비전 시리즈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된다. 각 리그의 세 지구 우승팀 중 승률 1, 2위 팀은 와일드카드 시리즈를 거치지 않고 바로 디비전 시리즈에 진출한다. 승률 3위 팀은 와일드카드 팀 중 승률이 가장 낮은 팀과 와일드카드 시리즈를 치르고, 여기서 승리하면 디비전 시리즈에 진출한다.[3]
디비전 시리즈는 "우승팀 승률 1위 팀 대 (와일드카드 승률 1위(4번 시드) 대 2위(5번 시드) 팀 간의 대결 승자)", "우승팀 승률 2위 팀 대 (우승팀 승률 3위 팀 대 와일드카드 승률 3위 팀 간의 대결 승자)"의 대진으로 이루어진다.[3] 상위 시드 팀은 1차전, 2차전, 5차전을 홈구장에서 개최할 권리인 홈 어드밴티지를 받는다.[2]
2차전과 3차전, 4차전과 5차전 사이에는 각각 하루씩 이동일이 주어진다. 2006년까지는 이동일 없이 4차전 다음 날 바로 5차전을 치렀다. 예를 들어 2005년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는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가 뉴욕 양키스와 4차전을 뉴욕에서 치른 바로 다음 날 애너하임으로 이동해 5차전을 치르기도 했다.[17]
3. 1. 조합
각 리그의 세 지구 우승팀은 승률에 따라 1, 2, 3번 시드를 받는다. 와일드카드 세 팀은 승률에 따라 4, 5, 6번 시드를 받는다. 지구 우승팀과 와일드카드 팀을 결정할 때 승률이 같은 팀이 있으면 타이브레이커를 적용한다.[1] 3번 시드와 6번 시드, 4번 시드와 5번 시드가 각각 와일드카드 시리즈를 치르고, 1, 2번 시드는 와일드카드 시리즈를 면제받는다.[1] 4번 시드와 5번 시드의 승자가 1번 시드와, 3번 시드와 6번 시드의 승자가 2번 시드와 디비전 시리즈를 치른다.[1]상위 시드 팀은 홈 어드밴티지를 받아 1차전, 2차전, 5차전을 홈구장에서 개최할 권리를 얻는다.[2]
2022년부터 플레이오프 참가 팀이 12팀(각 리그당 6팀)으로 늘어났다. 와일드카드는 각 지구 2위 이하 팀 중 승률 3위까지로 확대되었고, 우승팀 중 승률 1, 2위 팀은 각각 1, 2번 시드를 받아 해당 시리즈에 진출한다. 승률 3위 팀(3번 시드)은 와일드카드 시리즈에서 와일드카드 팀 중 승률이 가장 낮은 팀(6번 시드)과 3전 2선승제로 대결하고, 여기서 승리하면 디비전 시리즈에 진출한다.[3]
따라서 디비전 시리즈의 조합은 "우승팀 승률 1위 팀 대 (와일드카드 승률 1위(4번 시드) 대 2위(5번 시드) 팀 간의 대결 승자)", "우승팀 승률 2위 팀 대 (우승팀 승률 3위 팀 대 와일드카드 승률 3위 팀 간의 대결 승자)"로, 이전과 같이 5전 3선승제로 진행된다. 홈 어드밴티지(1, 2, 5차전 주관 권리)는 1, 2번 시드 팀에게 주어진다.[3]
3. 2. 이동일
2차전과 3차전 사이, 4차전과 5차전 사이에는 하루의 이동일이 주어진다. 2006년까지는 이동일 없이 4차전 다음 날 5차전을 치렀지만, 2경기-2경기-1경기로 진행된 1998년 이후(2012년 제외)에는 경기가 길어지는 경우 장거리 이동까지 포함하여 일정상 매우 빡빡해졌다. 처음 3년과 2012년은 2경기-3경기로, 5차전이 4차전과 같은 구장에서 개최되었기 때문에 이동일을 굳이 둘 필요가 없었다. 따라서 2007년부터 4차전과 5차전 사이에도 이동일이 생겼다.예를 들어 2005년 아메리칸 리그 디비전 시리즈에서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오브 애너하임와 뉴욕 양키스가 대결했을 때, 10월 9일 뉴욕의 양키 스타디움에서 4차전을 치른 다음 날인 10월 10일에 이동일 없이 서부 해안의 애너하임으로 이동하여 5차전을 치렀다. 승리한 에인절스는 다음 날 시카고로 이동하여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 1차전을 치렀다.
한편 2020년에는 코로나19 감염 확산 방지 대책을 이유로, 와일드카드를 포함한 각 리그의 포스트 시즌 진출팀을 8팀으로 확대하고, 집중 개최를 한다는 관점에서 기존의 경기 방식을 유지하면서 중립 지역에서 개최하며, 아메리칸 리그는 다저 스타디움과 펫코 파크, 내셔널 리그는 글로브 라이프 필드와 미닛메이드 파크의 각 2개 구장에서 개최하였다. 또한 이동 및 휴식일을 두지 않고 진행하였다.[17]
4. 역대 디비전 시리즈 결과 (1995년 이후)
1995년부터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디비전 시리즈가 시작되었다. 아메리칸 리그와 내셔널 리그에서 각각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할 두 팀을 결정한다. 각 리그는 3개의 지구(동부, 중부, 서부)로 나뉘며, 각 지구 1위 팀과 와일드카드 상위 2개 팀이 디비전 시리즈에 진출한다. 디비전 시리즈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되며, 여기서 승리한 두 팀은 리그 챔피언십 시리즈에 진출하여 월드 시리즈 진출권을 놓고 경쟁한다.
4. 1. 내셔널 리그 (NLDS)
4. 2. 아메리칸 리그 (ALDS)
참조
[1]
웹사이트
Complete history of baseball’s postseason formats
https://www.mlb.com/[...]
Major League Baseball
2022-10-04
[2]
뉴스
Owner Approve to Expand Playoffs to 8 teams
https://news.google.[...]
The Milwaukee Journal Sentinel
[3]
웹사이트
Baseball Changes Playoff Format
https://apnews.com/a[...]
2021-04-08
[4]
뉴스
BASEBALL: NOTEBOOK; 3 Playoff Teams Are Packed Up and Ready to Go, but to Where?
https://www.nytimes.[...]
1998-09-20
[5]
웹사이트
Change in Playoff Format Becomes a Matter of Record
https://www.latimes.[...]
1998-03-20
[6]
MLB
2010 MLB Postseason Schedule
http://mlb.mlb.com/m[...]
[7]
웹사이트
Addition of Wild Card berths finalized for 2012
http://mlb.mlb.com/n[...]
2012-03-02
[8]
웹사이트
MLB playoff picture: Bracket, standings, new format explained with 12-team postseason field set
https://www.cbssport[...]
2023-01-02
[9]
웹사이트
2022 MLB playoffs: New postseason format explained, and why there are no more Game 163 tiebreakers
https://www.cbssport[...]
2023-01-23
[10]
웹사이트
New MLB postseason format, explained
https://www.mlb.com/[...]
2023-03-09
[11]
뉴스
Baseball’s Postseason Is Evolving, for Better or Worse
https://www.nytimes.[...]
2022-10-06
[12]
웹사이트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22 season
https://www.mlb.com/[...]
2022-03-10
[13]
웹사이트
Mailbag: Was Penny the right choice?
http://losangeles.do[...]
2006-10-04
[14]
뉴스
Blame it on TV — but not always Baseball, too, wants top draw for prime time
http://www.sfgate.co[...]
2005-10-14
[15]
뉴스
TV'S COVERAGE OF PLAYOFFS A 'WHO'S ON?' ROUTINE
http://nl.newsbank.c[...]
1995-10-01
[16]
뉴스
Baseball strikes out - again Series: TV / RADIO; FANFARE
https://pqasb.pqarch[...]
1994-09-29
[17]
기사
월드 시리즈는 텍사스주 알링턴에서 개최 76년 만의 1개소 개최
https://www.sponich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