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스타길 사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스타길 사르는 파키스탄 카라코람 산맥에 있는 산으로, 여러 차례 등반 시도 끝에 1960년 오스트리아 원정대에 의해 초등되었다. 1957년과 1959년에는 영국과 스위스 원정대가 등반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1980년에는 폴란드 원정대가 동쪽 봉우리를 최초로 등반했고, 1980년과 1982년에 서쪽 봉우리가 재등정되었다. 1988년과 1998년에는 북쪽 면 등반이 시도되었으나 실패했으며, 2008년에는 지형 변화로 인해 북쪽 능선 등반 시도가 취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코람산맥의 7000미터 봉우리 - 초골리사
  • 카라코람산맥의 7000미터 봉우리 - 라카포시
    라카포시는 파키스탄 북부 길기트 발티스탄 지역의 '안개의 어머니'라고도 불리는 산으로, 베이스 캠프와 정상 사이의 고도 차이가 매우 크며, 1958년 초등 이후 다양한 등반 경로가 존재하고, 주변 지역은 지역 사회 공원으로 관리되고 있다.
  • 파키스탄의 산 - K2
    K2는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산으로, 험준한 지형과 기후로 등반이 매우 어렵고 많은 사망 사고가 발생하여 "무자비한 산"이라고 불리지만, 다양한 등반 시도와 함께 새로운 기록이 세워지고 있으며 환경 및 안전 문제가 중요한 산이다.
  • 파키스탄의 산 - 가셔브룸 2봉
    가셔브룸 2봉은 파키스탄과 중국 국경에 위치한 8,034m 높이의 산으로, 카라코람산맥의 일부이자 가셔브룸 산군에서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이며, 1956년 오스트리아 등반대에 의해 초등된 이후 다양한 등반 방식으로 도전받고 있다.
디스타길 사르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우주에서 본 디스테길 사르
우주에서 본 디스테길 사르
파키스탄의 카라코람 산맥
파키스탄
기본 정보
이름디스테길 사르
로마자 표기Diseuteogil Sareu
현지 이름}}
중국어 표기迪斯特吉峰 (Dìsītèjí fēng)
다른 이름디スタギール・サール (Disutagīru Sāru)
지리
위치파키스탄 길기트-발티스탄 주 나지마바드 시슈카트
산맥카라코람 산맥 히스파르 무스타그
등반 정보
높이7885m
순위세계 19위
돌출 높이2525m
첫 등정1960년 6월 9일, 오스트리아 팀 (귄터 슈타르커, 디터 마르하르트)
쉬운 등반 경로빙하/눈/얼음 등반

2. 등반 역사

디스타길 사르에 대한 첫 등반 시도는 1957년 알프 그레고리가 이끈 영국 원정대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악천후로 실패했다.[3][4] 1959년 레이먼드 램버트의 스위스 원정대 역시 등반에 성공하지 못했다.[6]

최초 등정은 1960년 볼프강 슈테판이 이끈 오스트리아 원정대의 귄터 슈테르커와 디터 마르차르트에 의해 남서쪽 능선을 통해 이루어졌다.[5][6] 가장 높은 서봉은 이후 20년 이상 지나 재등정이 이루어졌는데, [http://www.alpine-club.org.uk/hi/ 히말라야 인덱스]는 1980년 등반 기록과 함께 1982년 스페인 팀이 1960년 오스트리아 원정대가 개척한 경로와 유사한 루트로 등정에 성공했음을 기록하고 있다.[8]

동봉은 1980년 타데우스 피오트로프스키 등이 포함된 폴란드 원정대가 동쪽 면을 통해 처음 등정했으며,[7] 1983년에 다시 등정되었다.

험준한 북쪽 면 등반은 1988년과 1998년에 시도되었으나 실패했으며,[9] 2008년 북쪽 능선 등반 시도 역시 변화된 지형과 위험한 조건으로 인해 포기되었다.[10][11]

2. 1. 초기 등반 시도 (1957년 ~ 1959년)

1957년, 알프 그레고리가 이끈 영국 원정대가 디스타길 사르 등반을 처음 시도했다. 그들은 남쪽과 서쪽에서 산을 오르려 했으며, 약 6492.24m까지 도달했지만 악천후로 인해 등반에 실패했다.[3][4] 1959년에는 레이먼드 램버트가 이끈 스위스 원정대가 동남쪽 능선 등반을 시도했지만, 역시 악천후로 인해 실패하고 철수해야 했다.[6]

2. 2. 1960년 오스트리아 원정대의 초등정

디스타길 사르의 첫 등반 시도는 1957년 앨프리드 그레고리가 이끈 영국 원정대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들은 남쪽과 서쪽 사면을 통해 접근하여 약 6492.24m 높이까지 도달했으나, 악천후로 인해 더 이상 나아가지 못하고 등반을 포기해야 했다.[3][4] 2년 후인 1959년에는 레이먼드 램버트가 이끄는 스위스 원정대가 남동쪽 능선을 통한 등반을 시도했지만, 이들 역시 악천후를 만나 실패했다.[6]

디스타길 사르의 초등정은 이러한 실패 이후 1960년에 마침내 이루어졌다. 볼프강 슈테판이 이끈 오스트리아 원정대의 귄터 슈테르커와 디터 마르차르트가 그 주인공이었다. 이들은 남쪽 면의 서쪽 부분을 통해 등반을 시작하여 남서쪽 능선으로 진입했고, 1960년 6월 9일 디스타길 사르의 정상에 처음으로 오르는 데 성공했다.[5][6]

2. 3. 동봉 등정 (1980년, 1983년)

동쪽 봉우리는 주 봉우리인 서쪽 봉우리와 독립되어 있으며 약 100m 더 낮다. 1980년, 타데우스 피오트로프스키를 포함한 폴란드 원정대가 동쪽 면을 통해 최초로 등반에 성공했다.[7] 이 원정에서는 참가자 전원이 정상에 도달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후 동봉은 1983년에 다시 등정되었다.

2. 4. 서봉 재등정 및 북벽 도전 (1980년대 ~ 현재)

1980년 타데우스 피오트로프스키를 포함한 폴란드 원정대가 동쪽 면을 통해 동봉을 처음으로 등반했다. 원정대의 모든 참가자가 정상에 도달했다.[7] 동봉은 1983년에 다시 등반되었다.

가장 높은 서봉의 경우, 초등 이후 20년 이상이 지나서야 재등정이 이루어졌다. [http://www.alpine-club.org.uk/hi/ 히말라야 인덱스]는 1980년에 서봉 등반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8] 1982년에는 스페인 팀이 1960년 오스트리아 원정대가 개척한 경로와 유사한 경로를 따라 서봉 등정에 성공했다.[8]

한편, 험준한 북벽 등반은 1988년과 1998년 두 차례 시도되었으나 모두 실패로 끝났다.[9] 2008년에는 북쪽 능선 등반이 시도되었지만, 지난 10년 동안 지형이 크게 변화하여 등반 조건이 매우 위험해진 탓에 원정대가 도착한 직후 등반을 포기해야 했다.[10][11]

참조

[1] 웹사이트 High Asia I: The Karakoram, Pakistan Himalaya and India Himalaya (north of Nepal) http://peaklist.org/[...] Peaklist.org 2014-05-27
[2] 웹사이트 Hispar area expeditions http://echidna.rutge[...] 2022-01-15
[3] 간행물 Disteghil Sar, 1957 https://www.himalaya[...] 1958
[4] 웹사이트 Disteghil Sar 1957 https://www.mef.org.[...]
[5] 간행물 Disteghil Sar, 25,868 feet - The account of the Austrian Karakorum Expedition 1960 https://www.alpinejo[...] 1961
[6] 간행물 Disteghil Sar, 1960 https://www.himalaya[...] 1960
[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Polish climbing – Karakorum. Cz.I (1969-1980) https://wspinanie.pl[...] 2010-07-13
[8] 간행물 Asia, Pakistan, Distaghil Sar, Second Ascent http://publications.[...] 1983
[9] 웹사이트 1998 British Distaghil Sar N Face https://www.mef.org.[...]
[10] 웹사이트 UK-Canadian Distaghil Sar 2008 https://www.mef.org.[...]
[11] 간행물 Asia, Pakistan, Karakoram, Hispar Muztagh, Disteghil, Sar, Attempt http://publications.[...] 2009
[12] 웹사이트 High Asia I: The Karakoram, Pakistan Himalaya and India Himalaya (north of Nepal) http://peaklist.org/[...] Peaklist.org 2014-05-27
[13] 웹인용 High Asia I: The Karakoram, Pakistan Himalaya and India Himalaya (north of Nepal) http://peaklist.org/[...] Peaklist.org 2014-05-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